[[분류: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801093851/https://wiki.nex32.net/%EC%9A%A9%EC%96%B4/%ED%82%A4%EC%B9%98|링크]])] kitsch 키치(kitsch)는 비전문적이고 대체로 저속하며 대중적인 것이나 행위 등을 두루 뜻하는 말. == 어원 == ‘키치’의 어원은 몇 가지 설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거리의 쓰레기를 끌어 모으다’ 또는 ‘낡은 것으로 새가구를 만든다’는 의미인 독일어 ‘kitschen’ 에서 나왔다는 설, 싸구려 물건을 헐값으로 마구 팔아 치우는 일종의 ‘덤핑판매’나 ‘불량품을 속여서 팔다’는 의미의 독일어 ‘verkitschen’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 혹은 뮌헨에 온 영국과 미국의 미술품 구매상들이 살 만한 그림이 없을 경우 값싼 스케치화를 사들이길 좋아했는데 이를 뮌헨의 예술가들이 잘못 발음하여 스케치(sketch)에서 키치(kitsch)라는 독일어가 사용되어 발생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키치의 기원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던 간에 대체로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며, 진지함과는 거리가 먼, 쓰레기나 폐품으로 여겨질 정도로 가볍고 저속한 취향과 맥락을 같이 한다는 점, 비교적 값이 싸서 누구나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어쨌건 이렇게 등장한 ‘키치’는 19세기에 독일에서 문화현상의 한 방향성으로서 유행했는데, 통속적이고 값싼 예술 작품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1971년 가을에는 파리의 패션계에서 히피 패션의 변형으로 ‘키치 패션’이 유행하기 시작했는데, 저질의 드레스나 소녀복 스타일 등이었다. == 일상에서의 키치 == 일반인들보다는 키치스러움을 일종의 방향성으로 차용한 연예인 등이 적잖이 등장하고 있다. ‘키치’ 는 의도적으로 유치하고 저속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문화를 풍자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거나, 재미를 위한 것으로 쓰이기 때문. 몰개성 시대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되려 개성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하나의 선택지로서 활용되고 있는 것. 방송에서 연예인들이 아주 촌스럽거나 어울리지 않는 독특한 옷을 입고 출연하면 이런 컨셉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어원에서 느낄 수 있듯, 뭔가 잡다한 부연을 다 포함한 좀 복잡한 단어라서 한국어로 옮기기가 좀 어렵다. 촌스럽다고 표현하기에도, 반항적이라고 표현하기에도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 그냥 키치라는 단어를 쓰는데, 많이 쓰이는 표현이 아니라서 일반인들이 잘 못알아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단어 자체에 약간 부정적 의미가 내포되기 때문에 의도하고 키치스런 행동을 하는 사람이 아닌데 ‘너 키치스럽다’ 등의 표현을 쓰면 단숨에 ‘너 찐따같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싸움이 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물론 표현의 의미가 다르긴 하지만, 널리 사용되지 않는 말이라 오해를 사기 쉬우므로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