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탄저병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외부:https://pbs.twimg.com/media/BZnSa25CIAAdU8P.jpg|width=400]]
anthrax

탄저균(Bacillus anthracis)에 의해 일어나는 급성 질병이다. 이 질병은 대부분 치명적인 형태이며, 인간과 다른 동물에게도 영향을 준다. 탄저균은 내생포자를 형성할 수 있는데, 휴면기의 내생포자는 혹독한 환경에서도 수십년 혹은 수 세기에 걸쳐 생존할 수 있다.[* "Crossrail work stopped after human bones found on site". London Evening Standard.] 이러한 포자들은 남극을 비롯해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포자들은 흡입, 섭취, 숙주의 피부 병변에 접촉 등의 경로로 체내에 들어오면 다시 활성화하여 급격하게 증식한다. 

탄저병은 일반적으로 야생과 가축 초식 포유동물들이 풀을 뜯을 때 포자를 흡입하거나 섭취함으로써 발병한다. 섭취는 초식동물에게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칩입 경로로 알려져 있다.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육식동물들도 감염된 동물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될 수 있다. 감염된 동물들은 탄저병을 인간에게 전파할 수 있다. 

탄저병은 포자를 통해 전파된다. 이 포자들은 옷이나 신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사망 당시 활성화된 탄저균이 있는 동물의 몸도 탄저균 포자의 원천(source)이 될 수 있다. 20세기까지 탄저병은 매년 수백만의 사람과 동물을 죽였다. 루이 파스퇴르가 1881년 최초로 효용성이 입증된 백신을 개발했다. 한 세기에 걸쳐 동물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현재 가축의 탄저병 감염은 거의 드물다. 21세기에도 탄저병은 여전히 저개발 국가 등에서는 문제이다.

== 증상 ==
상처나 피부 접촉을 통해 감염되면 초기에는 가려움증과 함께 붉은 반점이 나타나고, 점차적으로 물집이 생기며 검은색의 괴사된 궤양이 형성될 수 있다. 궤양은 통증이 없으나 크기가 커지면서 주변이 부풀어 오른다.

=== 폐 ===
인간의 호흡기 감염은 비교적 드물다. 감염시 초기에는 감기나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이후에 폐렴이나 호흡기의 심각한(종종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한다. 역사적으로 사망률은 85%가 넘지만[* USAMRIID (2011). "USAMRIID's Medical Management of Biological Casualties Handbook" (7th ed.).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ISBN 9780160900150. For the attacks of 2001, CFR was only 45%, while before this time CFRs for IA were >85% (Page 37)], 초기에 치료할 경우(2001년 탄저균 공격의 사례에서 볼 때) 사망률은 45%로 감소했다.[* Bravata, DM; Holty, JE; Liu, H; McDonald, KM; Olshen, RA; Owens, DK (February 2006). "Systematic review: a century of inhalational anthrax cases from 1900 to 2005".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4 (4): 270–80. doi:10.7326/0003-4819-144-4-200602210-00009. PMID 16490913.] 호흡기 질환에 의한 증상과 탄저균에 의한 증상을 구별하는 것이 진단 및 증상 개선에 필수적이다. 이 목적을 위한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다.[* Kyriacou, DN; Yarnold, PR; Stein, AC; Schmitt, BP; Soltysik, RC; Nelson, RR; Frerichs, RR; Noskin GA, SM et al. (February 2007). "Discriminating inhalational anthrax from community-acquired pneumonia using chest radiograph findings and a clinical algorithm". Chest 131 (2): 489–96. doi:10.1378/chest.06-1687. PMID 17296652.]

== 진단 ==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해 B. anthracis의 직접적인 식별을 한다. 먼저, 표본들은 그람 염색을 할 수 있다. Bacillus spp. 는 큰 편이며(3-4 μm), 그람 양성이다. PCR 기반 분석법 및 면역 형광 현미경 등 신속한 진단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 생물학 무기 ==
척박한 환경에 강하다는 것과, 시험관 내(in vitro) 생산이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생물 병기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분말(powdered) 혹은 분무식(aerosol) 형태가 있으며, 이러한 무기화는 최소한 5개국의 생화학 무기 프로그램들에서 이뤄졌다.[* 영국, 일본, 미국, 러시아, 이라크] 특히 구소련은 탄저균 포자를 양산하여 ICBM에 탑재한 무기를 배치하고 있었다고 한다. 

과거 옴진리교가 탄저균을 배양해 살포하려 한 카메이도 악취 사건도 있다. 그러나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실패하였고, 이를 대신해 1995년 3월 20일 도쿄 지하철에서 사린가스를 살포했다. 2001년 미국에서 탄저균 분말을 우편으로 보낸 '탄저균 공격'(2001 anthrax attacks)이 일어났다.

== 영상 ==
[youtube(2wpBiflLrqk)]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