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SCP-819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SCP]]
[Include(틀:SCP)]
||<table align=center> 일련번호 || SCP-819 ||
|| 등급 || [[안전 등급|Safe(안전)]][* [[유클리드 등급]] 재분류 거부됨] ||
|| 별명 || Vital Suckers(생명 흡수 사탕) ||
|| 작가 || Bremma ||
|| 주소 || [[http://www.scpwiki.com/scp-819|원문]] [[https://blog.naver.com/wkddydrnr123/220566356004|번역]] ||

== 발견 및 격리과정 ==
아이들이 시력 손실, 심한 코 통증, 특발성 실신 등의 증상으로 급히 재입원했다는 몇가지 보고 후 ███████, ███████의 소아과 사무실에서 발견되었다. 파견된 요원들이 아이들에게 제공된 막대사탕(SCP-819)이 체액을 사라지게 만들었다는 것을 알아내 압수하고, 사무실 직원과 피해 아동 및 보호자에게 치료와 함께 A급 기억 소거를 실시하였다.

== 격리현황 ==
[[제19기지]]의 보안 사물함에 보관한다. SCP-819-A ~ -F에 접근하기 위해선 드레인 박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설명 ==
[편집됨]에 의해 생산된, 큰 상자 안에 담긴 막대사탕들. 회수된 여러 상자 중 단 하나에 들어있는 사탕들만이 변칙성을 보였다. SCP-819는 총 6가지 맛으로 이뤄져 있으며, 개별 포장된 상태로 이들은 각각 SCP-819-A에서 SCP-819-F까지로 분류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총 개수는 ███개이며, ██개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사탕들은 겉보기에는 평범해보이며,  물리, 화학적으로도 정상적으로 다른 막대사탕들처럼 파괴되고 소비할 수 있다. 맛 또한 평범한 막대사탕으로, 같은 브랜드의 비변칙적인 사탕과 같다. 실험 결과 맛에 따라 다른 체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table align=center> 분류 || 색 || 맛 || 영향을 받는 체액 ||
|| SCP-819-A || 빨강 || 체리 || 혈액 ||
|| SCP-819-B || 주황 || 오렌지 || 위산 ||
|| SCP-819-C || 노랑 || 레몬 || 소변 ||
|| SCP-819-D || 초록 || 라임 || 가래 ||
|| SCP-819-E || 파랑 || 블루 라즈베리 || 안방수, 유리체액 ||
|| SCP-819-F || 보라 || 포도 || 뇌척수액 ||

영향을 받는 체액은 SCP-819를 소비하는 동안 빠져나가기 시작하며, 이후 신체의 표준 생산 속도에 의해 원래 양으로 돌아가기에 생산 기능에는 손상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SCP-819를 먹게 만드려는 강제성이나, 영향을 주는 것이 감소하더라도 생존할 수 있는 체액의 경우 먹는 것을 멈추고자 하는 충동을 주지도 않았다. 실험 간 SCP-819 섭취로 직접적인 사망자를 낸 것은 SCP-819-A와 SCP-819-F 뿐이었다.

체액의 감소량은 SCP-819-A와 SCP-819-F의 사망 시간 차이에서 입증되듯 체액의 전체량이 아닌 일정한 양으로 보인다. SCP-466과 교차실험 결과 사라진 체액은 다양한 영역에서 임의의 인간에게 전달되었음이 나타나며, 체액이 전달되는 수단이나 시스템을 찾는 것과 무관한 연구 및 요청은 무기한 보류 상태에 있다. 추가 연구에는 막대사탕을 먹은 뒤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 대한 병원 및 의료 기록을 모니터링이 포함될 수 있다.

||<table align=center> 분류 || 색 || 즉상 ||
|| SCP-819-A || 빨강 || 초고혈압, 동맥이 붓거나 터짐, 혈액량 증가 ||
|| SCP-819-B || 주황 || 심한 산역류, 특발성 위산 구토 ||
|| SCP-819-C || 노랑 || 방광의 팽창 또는 폭발, 방광 배설 기능 불능, 비정상적 소변량 ||
|| SCP-819-D || 초록 || 심한 콧물, 가래 구토, 가래 축적에 따른 호흡곤란 ||
|| SCP-819-E || 파랑 || 안구 및 수정체의 팽창 또는 파열, 안와로부터 안구 이탈 ||
|| SCP-819-F || 보라 || 뇌부종, 복시, 두통, 언어나 지각 이상 ||

=== 실험 ===
실험은 다양한 색깔의 SCP-819가 각 체액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증상을 관찰하기 위해 D계급 인원을 이용해 진행되었다. 피험자들은 바이탈의 모니터링을 위해 펄스 산소 측정기, 호흡 기록기, 심전도 등 여러 모니터링 도구를 연결해 놓았다.

|| 실험 기록 819-1 || 모든 색 ||
|| 목적 || 맛 비교 ||
|| 대상 || D-6338 ||
|| 절차 || 맛별로 막대사탕 2개. 하나는 SCP-819였고 다른 하나는 동일 브랜드의 평범한 막대사탕이었다. [br] 대상에게 각각의 막대사탕을 간단히 맛본 뒤 맛의 차이점에 대해 말하도록 하였다. ||
|| 결과 || 막대사탕 간 어떤 맛의 차이도 없음이 확인되었다. 실수로 뒤섞이지 않기위해 표시를 해둘 것이 권고되었다. ||

|| 실험 기록 819-A-1 || 빨강 ||
|| 목적 || 소비 효과 ||
|| 대상 || D-3634 ||
|| 결과 || 처음 몇 분 동안은 심박이 약간 증가하는 것을 빼면 아무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br] 약 5분 뒤엔 창백해지기 시작했으며, 심박이 좀 더 빨라지고 이완기와 수축기의 혈압차가 줄어들었다. [br] 몇 분에 걸쳐 혈압이 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에 대응해 심박 수는 계속해서 증가했다. [br] 10분 후 피험자는 저혈량성 쇼크의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혈압의 하락으로 의식이 흐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3분도 채 지나지 않아 의식을 잃었다. [br] SCP-819-A 샘플은 ⅔이 소비되어 회수되었으며, 피험자는 의식을 잃은 뒤 1분 후에 사망하였다. [br] 부검 결과 사인은 혈액 부족이었으며, 실험 간 절반 이상의 혈액이 손실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 실험 기록 819-B-1 || 주황 ||
|| 목적 || 소비 효과 ||
|| 대상 || D-9078 ||
|| 결과 || 피험자는 오렌지 맛을 싫어해 마지못해 먹기 시작했다. [br] 처음 몇 분 동안은 아무런 증상이 없었으나, 5분이 지나자 속쓰림을 호소했다. 바이탈은 안정적이었다. [br] 30분이 지나도 통증이 약간 증가한 것을 빼면 증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전부 섭취한 뒤 36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br] 피험자는 식사 후 심한 복통과 설사, 약간의 영양실조를 일으켰다. 이는 무산증의 증상과 일치했다. [br] 위산의 자연 분비로 수일 뒤 회복되었으나, 실험 간 위벽을 보호하는 점액이 손실되어 소화성 위궤양이 생겼다. ||

|| 실험 기록 819-C-1 || 노랑 ||
|| 목적 || 소비 효과 ||
|| 대상 || D-9948 ||
|| 결과 || 피험자는 막대사탕을 계속 소비했다. 15분이 지나도 바이탈에 변화가 없었으며, 피험자도 이상을 느끼지 못했다. [br] 계속 질문을 하자 피험자는 소변을 보고 싶다는 느낌이 이전보다 덜하다고 답했다. [br] 대상에게 1L의 물을 섭취하게 한뒤 소변이 마려울 때까지 기다리라고 지시한 후 실험은 잠시 보류되었다. [br] 이후 다시 SCP-819-C를 섭취하도록 했고, 2분 뒤 피험자는 소변을 누고싶은 느낌이 줄어들었다고 보고했다. [br] 10분이 지나도 피험자는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없었고, 소변을 누도록 명령했으나 피험자의 방광엔 소변이 남아있지 않았다. [br] ※ 현장 요원이나 기밀 임무 수행에 높은 유용성이 있으나, 직원들이 레크리에이션 용도로 요청하진 않았으면 한다. - 드레인 박사 ||

|| 실험 기록 819-D-1 || 초록 ||
|| 목적 || 소비 효과 ||
|| 대상 || D-1151 ||
|| 결과 || 약 3분 후 피험자는 콧속이 시원해지는 것 같다고 행복하게 말했다. [br] 다시 3분이 지나자 피험자는 코가 매우 건조해졌으며 조금 아프다고 보고했다. [br] 추가로 사탕을 섭취하자 코 속의 통증이 심해졌으며, 인후통과 호흡이 어려워졌다. [br] 이후에는 침을 삼키는 것이 고통스러워 졌으며, 호흡이 더 힘들어졌고, 통증이 더욱 심해졌다. [br] 실험 종료 후 5일간 피험자를 감시한 결과, 초기 검사에서 코와 부비동, 식도에 염증이 확인되었다. [br] 호흡기 검사 결과 폐에도 유사한 염증이 발견되었으며, 빠르게 비루가 발병했고 위통과 코감기 바이러스에 걸렸다. [br] 오랜 기간 가래가 나오지 않아 분비샘의 일부가 손상되었다는 설이 나오기도 했으나, 피험자 자체는 병에서 회복된 뒤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

|| 실험 기록 819-E-1 || 파랑 ||
|| 목적 || 소비 효과 ||
|| 대상 || D-8381 ||
|| 결과 || 15초만에 피험자는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호소했으며, 1분 만에 시력을 상실하였다. [br] 신체 검사 결과 안방수의 고갈로 안구의 질량이 감소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br] 사탕을 계속 소비하자 안구의 질량은 계속 감소했으며 유리체를 잃게 만들었다. [br] 4분 뒤 안구는 완전히 유리체를 잃고 쪼글쪼글해졌다. [br] 피험자는 안구가 움츠러드는 것을 느낄 순 있었으나, 안구가 시신경을 당기는 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아무런 통증을 느끼지 않았다. [br] 유리액은 재생되지 않는 체액이었기에 실험 종료 후에도 안구는 마른 상태였다. 대상은 처분되었다. ||

|| 실험 기록 819-F-1 || 보라 ||
|| 목적 || 소비 효과 ||
|| 대상 || D-2941 ||
|| 결과 || 섭취한지 20초만에 피험자는 강한 두통과 힘이 없어지는 증상을 호소했다. [br] 몸을 편히 눕히자 통증이 줄어든 것으로 보건데, 기립성 두통으로 보였다. [br] 피험자에게 계속된 섭취를 지시했으며, 피험자는 현기증과 어지러움, 복시를 호소했다. [br] 실험 시작 3분만에 피험자는 의식을 잃었으며, 30초 후 사망 선고를 받았다. [br] SCP-819-F 샘플은 약간만 소비되었으며, 부검 결과 뇌척수액 부족으로 뇌의 부력이 떨어지면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수축되어 혈액이 순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 관련 SCP ==
* [[SCP-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