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SI 단위계'''(프랑스어: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 '''SI''')는 도량형의 하나로, 1960년 10월에 열린 제 11차 국제 도량형 총회(general conference of weights and measures)에서 SI 단위계가 결정되었다.[* 고영하; 권혁칠, 조성갑, 정운철 (2012). 《유체역학》 (한국어) 초판. 북스힐. 11쪽. ISBN 89-5526-286-8.] == 기본 단위 == SI 단위계에는 7개의 기본 단위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 기호 || 이름 || 물리량 || 정의 || || m || 미터 || 길이 || 진공에서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거리 || || s || 초 || 시간 || 절대 영도에서 세슘-133 원자의 바닥 상태 (6S1/2) 에 있는 두 개의 초미세 에너지준위 (F=4, F=3)간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빛이 9,192,631,770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 || kg || 킬로그램 || 질량 || 표준 원기의 질량[* 이 정의를 수정하려는 두 가지의 움직임이 있었으며, 플랑크 상수가 채택되었다.] || || A || 암페어 || 전류 || 지름을 무시할 수 있는 무한한 길이의 두 직선 도선이 1m 떨어져 있고, 같은 크기의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1m 당 $2 \times 10^{-7} N$의 힘이 작용할 때 두 도선 각각에서 흐르는 전류 || || K || 켈빈 || 온도 || 빈 표준 평균 바닷물의 삼중점의 온도를 273.16K으로 정의 || || mol || 몰 || 물질량 || 탄소-12가 12g있을 때의 원자 개수 || || cd || 칸델라 || 광도 || 진동수 $540×10^{12} Hz$인 단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의 복사도가 어떤 주어진 방향으로 매 스테라디안 당 $\frac{1}{683} W$일 때 이 방향에 대한 광도 || == 영상 == [youtube(7feW9Nktzpc)]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