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컴퓨터 (r1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목차]

|| [[외부:https://i.imgur.com/UYITsfU.jpeg|width=400px]] ||
|| Windows 2.03을 인텔 80286 기반 시스템에 올린 컴퓨터. ||

== 개요 ==
컴퓨터란, 입력된 자료를 처리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우리가 흔히 '컴퓨터'라고 생각하는 PC부터,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게임기나 임베디드 시스템까지 모두 컴퓨터라는 개념 아래에 있을 수 있다.

== 역사 ==
초기의 컴퓨터는 현재와 같은 다기능이 아닌 연산 기계 정도에 불과했으며, 그마저도 속도와 크기 모두 수십에서 수백배에 이르렀다. 현대 컴퓨터의 구조는 앨런 튜링과 폰 노이만 두 인물이 중심적 역할을 했는데, 튜링이 기본적 설계를, 노이만이 이를 전자식으로 구현하였으며, 후자가 유명한 폰 노이만 구조다.

=== PC ===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PC)는 애플의 Apple I이었으며, 이후 아미가와 아타리 같은 게임용 컴퓨터가 등장했고, IBM이 8086 기반의 PC 호환 규격을 제품과 함께 발표하며 빠르게 보급되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GUI]] 운영체제를 개발했다.

== 부품 ==
* CPU
* ROM
* RAM

== 종류 ==
=== 데스크탑 ===
책상이나 탁자에 두고 사용하는 컴퓨터. 컴퓨터하면 떠오르는 가장 일반적인 것이며, 조립식과 완제품으로 나뉜다.

=== 랩톱(노트북) ===
휴대하기 용이한 컴퓨터.

==== [[넷북]] ====
저사양 노트북.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 PC 보급과 [[인터넷]] 접근 기회를 늘리자는 시도에서 시작되었으며, 한때는 비싼 노트북 가격의 거품을 걷어낼 정도로 인기가 좋았으나 스마트폰의 등장과 성능 한계에서 이어지는 용도 한계로 외면받으며 인기가 떨어졌다. ~~최신 게임을 못하기도 하고~~ 

이로 인해 컴퓨터나 노트북과는 달리 과거 인기가 좋았던 시절에 잔뜩 생산된 제품들이 현재는 실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동영상은 HD 이상이라면 불가능하고, 게임도 고전게임 정도이며, 웹서핑도 탭을 많이 열면 어려울 정도니…

==== 울트라 씬 ====
인텔의 노트북 가이드라인. 이름은 울트라지만 넷북의 후발주자에 가까우며, 노트북과 넷북의 중간 성격을 띄며 가격도 그 사이에 있다.

==== 게이밍 랩톱(노트북) ====
고사양 노트북. 이름처럼 고사양 게임이 가능하지만, 그만큼 가격이 비싸고 쿨링 문제가 있다.[* 데스크탑도 쿨링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비슷한 사양을 오밀조밀하게 넣어 놓고 작은 쿨러들로 해결하는 건 어불성설이기 때문.] 노트북 제조사들이라면 보통 제품군이 따로 마련되어 있으니, 전성비나 쿨링을 고려해서 구매하는 것이 좋다.

=== 태블릿 PC & 스마트폰 ===
저전력 소형 CPU와 각 운영체제의 램-배터리 체계로 휴대성에 있어서는 제일이라고 할 수 있는 컴퓨터. 원류를 따라가면 UMPC, 팜탑, [[https://www.youtube.com/watch?v=DaQR4jk1voQ&t|Dauphin DTR-1]] 등 다양한 시도와 제품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안드로이드와 iOS로 양분되었다.

=== 워크스테이션 ===
컴퓨터 사양의 발달로 점점 희미해지고 있으나, 그래도 여전히 나름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 [[서버]] ===
메인프레임이라고도 한다.

== 규격 ==
주변장치나 장치의 드라이버나 펌웨어, 운영체제, 바이오스,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이 규격에 따라 개발되며, 과거에는 저마다 다른 규격에 따라 작동했으나 현재는 [[inter:나무위키:IBM PC 호환기종]]이 거의 기본 규격이 되었다. 반대로 게이밍 콘솔은 여전히 여러 제조사들이 자사의 규격으로 기기를 개발하고 게임과 주변장치도 이에 맞춰 만들어지고 있다.

=== IBM PC 호환 ===
PCI 소켓의 그래픽 카드-이더넷 카드, DDR 소켓의 램, S-ATA의 하드디스크와 SSD, USB, PS/2, 시리얼포트 케이블 등 우리가 쓰는 컴퓨터 규격이다.

=== MSX ===
[[일본]]의 아스키에서 내놓은 규격. 규격 공개를 통한 제품 개발과 완성/양산을 희망했으며 초기에는 가성비가 괜찮은 컴퓨터로 각광받으며 문자열 처리를 위해 사양도 높아지면서 여러 소프트웨어, 게임이 만들어졌다. 

=== NEC PC ===
NEC에서 만든 독자규격 컴퓨터. PC88, PC98 등이 있으며 일본의 PC 수요층을 노렸다. 이 플랫폼에서 태동해 현재도 명맥을 잇고 있는 것이 [[동방 프로젝트]]다.

=== [[Macintosh]] ===
IBM의 경쟁자였으나 맥북에 이르러서는 IBM 호환기종이 되었다.

=== 안드로이드 ===
[[구글]]에서 GMS 인증을 한다. 카메라, GPS 등의 조건을 준수해야 가능하다.

=== 게임 콘솔 ===
일종의 규격이긴 하다. 각 기종의 사양이 일정해서 소프트웨어 개발이 용이하며, 최적화나 하드웨어 차이 문제점도 PC와 비교하면 자유로우며, 가격 조정과 보급 또한 유리하다. 그래서 장치(게임기)보단 소프트웨어(게임)의 질이 더 중요시 된다.

== 영상 ==
[youtube(nIe7w0GI4F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