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트로츠키주의 (r2)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좌파도서관]]
볼셰비키-레닌주의.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중 하나이다. 타칭 '트로츠키주의'라고 부른다.

== 상세 ==
트로츠키주의는 기존의 마르크스,엥겔스, 레닌의 이론이 트로츠키가 주도한 국제좌익반대파에 의해서 계승되었다고 하며, 스탈린주의자들이 볼셰비키당과 코민테른을 관료적으로 교살하였다고 한다. 또한 트로츠키 운동은 일국사회주의론을 반동적 유토피아 이론이라고 하며, 트로츠키주의도 일국사회주의론에 대항하여 혁명적 국제주의를 옹호하는 투쟁 과정에서 탄생했다고 하고, 국제적 혁명조직의 건설이 필요하다고 한다.

== 스탈린주의와의 비교 ==
강학적으로 따질 때 트로츠키주의와 스탈린주의의 가장 큰 차이를 꼽으라고 할 때, 영구혁명론과 보나파르티즘적 관료에 대한 태도에 있다.

물론 스탈린은 세계혁명을 부정한 바가 없다. 스탈린주의자들은 레닌의 견해를 인용해서 일국사회주의의 성립은 세계혁명의 일부로서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이를 이론과 전망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레닌이 ‘유럽합중국’이라는 슬로건을 반대하고 그것을 ‘세계합중국’이라는 대안 슬로건으로 대치했을 때, 그는 후자의 슬로건과 관련하여 “그러나 별도의 슬로건으로서 세계합중국 슬로건은 올바른 것이 아닐 것이다. 첫째, 그 슬로건은 사회주의와 합쳐지기 때문이고[* 레닌은 이 세계합중국 슬로건은 “이것은 공산주의의 완전한 승리가 민주주의 국가를 포함한 국가의 총체적인 소멸을 가져올 때까지이다”라고 말하였다. 레닌은 낮은 수준의 공산주의, 즉 사회주의 단계에서 이 슬로건은 맞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단 한나라에서 사회주의의 승리가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잘못 해석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일국 사회주의와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V.Lenin, Marx, Engels Marxism; Foreign Languages Press Peking; p.338] 즉 이론적으로 일국사회주의는 세계사회주의에 복무하는 과정이다. 혹자는 그 근거로 1914년부터 1918년까지의 對제국주의 전쟁을 예시로 들고는 한다.

[Include(틀:가져옴, O=좌파도서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deed.ko|CC BY 4.0]], L=[[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BRXmj7_AFMwJ:https://leftlibrary.kr/index.php?title%3D%25ED%258A%25B8%25EB%25A1%259C%25EC%25B8%25A0%25ED%2582%25A4%25EC%25A3%25BC%25EC%259D%2598%26mobileaction%3Dtoggle_view_desktop|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