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헛리버 공국 (r4)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web.archive.org/web/20180222184435/http://red.wi.kiwi/%ED%97%9B%EB%A6%AC%EB%B2%84_%EA%B3%B5%EA%B5%AD|링크]])]

헛리버 공국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위치한 [[초소형국민체]]이다.

== 개요 ==
||<-2> 헛리버 공국의 국가 정보 ||
||<-2> [[외부:https://i.imgur.com/qwVf8Jy.png|width=300]] ||
|| 국명 || 헛리버 공국(Principality of Hutt River) ||
|| 건국일 || 1970년 4월 21일 ||
|| 표어 || Dum Spiro Spero ||
|| 국가 || [[https://www.youtube.com/watch?v=SEaiWRDjVwI|It's a Hard Land]] ||
|| 면적 || 75 제곱킬로미터 ||
|| 위치 || 28°4′28″S 114°28′14.5″E ||
|| 수도 || 나인(Nain) ||
|| 정치체제 || 공국, 입헌군주정 ||
|| 정부수반 || 수상 이안 캐슬리 공세자 ||
|| 공용어 || 영어, 프랑스어, 에스페란토 ||
|| 정부 홈페이지 || [[http://www.principality-hutt-river.com/|principality-hutt-river.com]][* 아에리칸 제국과 맞다이떠도 꿀리지 않을 정도로 정부 홈페이지의 상태가 별로다.] ||

== 역사 ==
1969년 11월, 호주 정부가 국내에 지나치게 많은 잉여 밀 생산량 때문에 고민하다가 내놓은 밀 쿼터제 법안이 헛리버 공국의 신호탄이었다. 이로 인해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 약 4000헥타르의 농장을 가지고 있던 캐슬리 일가는 오직 40헥타르분의 토지에서 수확한 밀만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그대로 앉아서 망할 수는 없었던 레너드 캐슬리는 정부에 5200만 오스트레일리아 달러의 손해배상을 청구하였고[* 레너드 캐슬리는 변호사 자격을 갖고 있었다.], 그와 동시에 사문화되긴 했지만 아직 호주 법률상으로 남아있던 영국 반역법의 조항과 호주 헌법의 헛점[* 경제권을 박탈당한 상태에서 토지의 소유권을 위협당하면 자위권을 행사하고 정부를 구성할 수 있다]을 이용하여 독립을 선언했다. 처음에 레너드 캐슬리는 왕을 칭하였지만, 곧 자신의 작위를 공(Prince)으로 낮춘 후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신하로 들어가겠다는 서한을 보내었고, 결국 명목상 영국 국왕을 군주로 받들고 있는 호주는 헛리버를 대충 인정하고 넘어갈 수밖에 없었다.

== 지리 ==
헛리버 공국의 면적은 약 75 제곱킬로미터이며, 이는 울릉도(72.56 제곱킬로미터)보다 조금 큰 수준이다. 실효지배하는 영토가 있는 초소형국민체 중에서는 매우 넓은 영토를 가진 편에 속한다.

헛리버 공국의 수도는 나인(Nain)으로, 성경에 나오는 갈릴리의 지명인 나인에서 본따온 이름이다.

== 외교 ==
호주 정부는 내부적으론 헛리버를 인정하지만, 실제 대외적으로 헛리버를 승인하지는 않는 이중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 군사 ==
헛리버 공국은 국가 방위를 위해 [[시랜드 기사단]]처럼 헛리버 공국 방위군(The Royal Hutt River Defence Forces, RHRDF)이라는 군대 조직을 보유하고 있다. 헛리버 공국의 주장에 따르면 방위군은 현재 공국 내의 치안 유지와 각종 사회 서비스에 종사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 실상에 대해서는 설명할 필요가 없다. 차라리 돈이라도 벌고 있는 시랜드 기사단이 훨씬 나아보일 수준.

== 정치 ==
아무래도 시작부터가 가족 농장이었고, 지금도 사실상 캐슬리 일가의 농장이기 때문에 정부 요직은 전부 레너드 공의 아들들이 몇 개씩 겹쳐서 맡고 있다. 레너드 공이 시랜드 공국의 로이 공과 비교하면 비교적 다산한 편으로 아들만 4남이기 때문에 겸직 현상이 아주 심하지는 않다.
각 아들들이 맡고 있는 직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장남 이안 조지 캐슬리 공세자 : 수상, 경제개발부 장관, 우편부 장관, 가장 훌륭한 예루살렘의 십자군 십자가 기사단의 나이트 커맨더
* 차남 아서 '웨인' 캐슬리 : 외무부 장관
* 3남 레너드 '리처드' 캐슬리 : 재무부 장관, 민트[* 조폐국에서 갓 나온 동전] 발행 책임자
* 4남 그레미 에른스트 캐슬리 : 교육부 장관, 국립 문장학교 총장

심지어 군주의 작위가 공(Prince)인 주제에 아들들에게는 공작(Duke)의 작위를 남발해서 네 아들이 전부 공작이다… 딸 셋도 전부 여공작.

== 역대 헛리버 공 ==
|| || 이름 || 생몰년 || 재위기간 || 배우자 || 자녀 ||
|| 1대 || 레너드 공(레너드 캐슬리) || 1925 ~ || 1970년 4월 21일 ~ || 셜리 공비 || 4남 3녀 ||
|| 공세자 || 이안 캐슬리 || 1947 ~ || - || 아네트 공세자빈 || 4녀 ||

이안 공세자에게 아들이 없고, 사실상 아들을 볼 가망도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3대 헛리버 공은 여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레너드 공에게는 이안 공세자 외에도 아들이 더 있으므로 그쪽 계열로 공위가 넘어갈 수도 있다.

== 경제 ==
오스트레일리아 달러와 1:1로 페그된 [[헛리버 달러]]라는 자체 통화를 발행하고 있다. 지폐와 동전 모두 발행하고 있으며, 사실상 관광기념품이긴 하지만 타 초소형국민체에 비해 비교적 정성을 들이고 있는 편이다. 동전만 해도 매년 민트를 발행하고 홈페이지에서 판매하는 등 상당히 열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1973년에 헛리버 우정국을 세워 우표 발행에도 힘쓰고 있는데, 이는 레너드 공의 수집 취미 탓이 크다.

관광업도 성업하는 중인데, 미리 예약을 해야 공국에 입국할 수 있으며, 원한다면 수도 나인의 캠핑장에서 묵었다 갈 수도 있다. 입국 비자 발급료는 4달러이다.

=== 기업 유치 ===
공국은 경제 발전과 재정수입 증대를 위해 해외 기업들을 유치하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그다지 성공적이지는 못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헛리버 기업청]] 참조.

== 기타 ==
[[로열 헛리버 이글스]](Royal Hutt River Eagles)라는 권총사격팀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크리켓, 사이클링 등 각종 체육경기가 활발하다고…

한편 헛리버 공국은 [[헛리버 문장원]]을 2004년에 설립하는 등 시랜드 공국과 함께 초소형국민체 중에선 문장학 연구에 힘을 쏟고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