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져온 문서/좌파도서관]] ||<table align=center><-2> {{{+2 '''호치민''' }}}[br]{{{+1 Hồ Chí Minh}}} || ||<-2> [[외부:https://i.imgur.com/P3HVsPLh.jpg|width=300]] || || 생년월일 [br] (별자리) || 1890년 5월 19일 [br] (황소자리) || || 사망일 || 1969년 9월 2일 || || 출생 || 베트남 응에안 성 || || 사망 || 베트남 하노이 || >"자유와 독립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 호치민은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국부다. 일본과 프랑스 미국과 같은 제국주의 국가들의 침략에 맞서 베트남의 자주독립을 이루는 데 큰 기여를 한 인물로, 식민지 해방 투쟁사를 새로 쓴 인물 중 한 사람이다. 68혁명 시기 마오쩌둥, 체게바라와 더불어 서구 좌파들의 우상이기도 했으며, 적국이던 남베트남 사람들 중에도 독립운동가로 존경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가명도 매우 많았으며, 총 150개 이상의 가명을 사용했다고 한다. 현실 사회주의권 지도자들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매우 호평받는 쪽에 해당되는 인물이다. == 생애 == 호치민은 1890년 5월 19일 베트남 응에안 성에서 태어났다. 당시 그의 이름은 응우옌 신 꿍으로 아버지가 지어준 이름이었다. 이후 과거시험에 합격한 아버지를 따라 옛 황궁의 수도 후에로 갔고, 10살이 되던 해 응우옌 탓 타인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청소년 시절 프랑스식 국립학교인 국학에서 공부했고, 그 시기 조세 반대를 요구하는 반프랑스 시위에 참여했다가, 학교에서 쫓겨났다. 이후 베트남을 떠돌다가 1911년 사이공에 있는 프랑스 기선 아미랄 라투셰 트레빌 호를 타고 해외로 나간다. 이렇게 해서 30년 간의 해외생활을 시작한다. 당시 호치민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유럽 국가들, 미국, 남아메리카 등을 돌아다녔고, 미국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에서 잡일을 하며 살았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참이던 1917년에 프랑스에서 활동했고,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인 1919년 안남애국자 연합을 결성하여‘안남 민족의 요구’라는 8개조 조항을 베르사유 조약 당시 청원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기댄 것이었지만, 강대국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결과 1917년 레닌이 일으킨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가 주장하는 민족해방이론에 감명받아 1920년 프랑스 공산당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922년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프랑스 식민주의를 비판하는 신문인 <르 파리아>를 창간하고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르 파리아의 신문사는 주로 프랑스의 식민정책을 비판하고 특히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를 비판했다. 이후 프랑스 결찰 당국의 감시가 심해지자 1923년 6월 소련의 수도 모스크바로 가서 제3인터내셔널에서 활동했다. 1924년 레닌이 사망한 이후 그의 장례식에도 참가했다고 한다. 소련 코민테른에서 공부하며 유학하다가 중국으로 가서 1925년에 베트남 혁명 청년회를 결성했었다. 이후 중국과 태국에서 여러 독립활동을 했고, 1930년 베트남 공산당 즉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창당하기에 이른다.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창당한 이후 베트남에서 반프랑스 봉기가 일어났는데, 그의 조직 또한 봉기를 일으켰으나 프랑스 당국의 잔혹한 진압으로 실패했다. 그리고 1년 뒤인 1931년 영국당국에 체포되었고, 1년 뒤 영국 공산당 인사의 도움으로 석방됐다. 1934년에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와 대숙청이 한참이던 1938년까지 소련에서 지냈다. 이후 다시 중국으로 갔고, 1940년부터 베트남의 독립운동 조직을 만드는데 헌신을 다했다. 그렇게 해서 1941년에 만들어진 조직인 베트남 독립 동맹 줄여서 베트민이다. 베트민은 1940년에 베트남에 들어온 일본과 기존의 지배자 프랑스에 맞서 독립투쟁을 전개했다. 1941년 30년 만에 귀국하여 베트민 활동을 전개했다. 태평양 전쟁 와중에 연합국의 지원을 얻고자 했는데, 국민당 측에게 스파이로 오인받아 감옥살이를 보내기도 했다. 1943년에 석방된 이후 지속적으로 반프랑스 반일투쟁을 전개했으며, 미국의 OSS팀과 협력하여 대일전을 준비하기도 했었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8월 봉기를 일으켜 베트남 전국을 접수했고, 그해 9월 2일 하노이 바딘광장에서 독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의 프랑스가 다시 들어왔고, 1946년에는 그들과 협상하여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지만, 1946년 11월 하이퐁에서 프랑스 군함이 선제공격을 하게 되면서 침략자 프랑스에 맞서 전쟁을 치렀다. 이것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8년간 지속되었고, 1950년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으면서 그가 이끄는 베트민도 정규군대로 성장했다. 이 전쟁은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가 베트민측의 승리로 끝나면서 베트민이 승리하게 되었다.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 최정예 부대를 섬멸하는 민족해방투쟁사에 있어서 전무후무한 업적을 남겼다. 프랑스가 물러난 이후엔 미국이 개입했고, 미국에 맞서 반미투쟁을 전개했다. 이후 17도선을 중심으로 남북이 분단되자, 토지개혁을 완수했다. 제네바 협정에 따라 2년 이내에 총선을 치러야 했지만 응오딘지엠 정권과 미국 아이젠 하워 대통령이 이를 파기하면서 결국 무산되었다. 응오딘지엠 독재와 부패정치가 계속되면서 1960년에는 베트콩이 탄생했고, 호치민과 북베트남 공산당 또한 이를 지원했다. 이렇게 되자 믹국은 케네디 정부때부터 군사고문단을 보내는 형식으로 맞섰지만, 남베트남이 무너질 기미가 보이자 1964년 통킹만 사건을 조작하여 베트남을 침략했다. 침략전쟁에서 미국의 최신식 폭격기와 고엽제 투하, 융단 폭격같은 전쟁범죄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제국주의에 맞서 항전했다. 그의 존재와 그가 하는 감동적인 연설은 베트남의 수많은 젊은이들을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우게 하는 원동력이었다. 1960년대 호치민은 건강이 안좋아 중국에 들려 요양하는 날이 적지 않았지만, 반미투쟁을 지속적으로 이끌고자 했다. 1968년 구정 공세 이후 남베트남에 내려가 해방전사들을 격려하고자 했지만, 건강상의 문제로 그러지 못했다. 1969년에도 그는 북베트남 공산당 동료들과 함께 해방전쟁을 이끌었지만, 그해 9월 2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나이 79세였다. == 평가 == 호치민에 대한 보편적인 평가는 앞에서 짧게 언급한 바와 같이 대체로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그의 독립운동 행적과 강대국들의 침략을 막아낸 지도자로써의 좋은 평가들이 많다. 사회주의권에서의 호치민에 대한 평가는 매우 좋다. 대체로 그가 독립운동의 지도자였다는 점과 프랑스와 미제국주의에 맞서 침략을 무찌르고 통일을 이룩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서방에서 내리는 호치민에 대한 평가도 좋은 편이며, 심지어 반공주의적 정서가 강한 미국에서도 호치민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좋은편에 속한다. 무엇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OSS와 협력했다는 점을 들어 호치민이라는 인물을 통해 베트남 전쟁이라는 미국의 실책을 비판하는 추세이다. 한국 또한 민주화가 된 이후 호치민에 대한 평가가 좋은 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평가는 어린이 위인전에서도 잘 나타난다. 당연하게도 현재 베트남에서 내리는 호치민에 대한 평가는 국부의 이미지다. 따라서 호치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항상 앞서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베트남인들은 찾아보기 힘들정도다. 중국의 마오쩌둥만 보더라도 긍정적인 평가가 앞서더라도 과오를 비판하는 경우가 있지만, 호치민의 경우는 그렇지도 않다. 따라서 호치민에 대한 베트남에서의 평가는 한국으로 치자면 거의 세종대왕이나 이순신만큼 된다고 할 수 있다. 호치민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들은 대체로 미국이나 캐나다 프랑스 등에 있는 보트피플 출신들이거나 한국의 아스팔트형 반공주의자들과 같은 이들 뿐이다. 물론 이들이 내리는 호치민에 대한 평가는 말 그대로 건전한 비판이 아닌 근거가 없는 비방이나 비난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수준이다. == 반공주의자들의 역사왜곡에 대한 반박 == 유튜브나 몇몇 인터넷 사이트들에 달린 호치민에 대한 댓글들을 보면 반공주의자들의 편향된 견해를 찾기 쉽다. 그러나 정작 이들이 하는 주장들이 체계적으로 반박을 하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것이 상당히 심각한 오류를 가져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따라서 이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알 필요도 있을 것이다. === 토지개혁 학살 === 토지개혁은 호치민에 대해 비판할 때, 많이 사용되는 소재이기도 하다. 특히나 호치민에 대해 비판을 하는 이들은 토지개혁의 사망자가 10만 명 이상이 된다는 주장을 하곤 한다. 물론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토지개혁은 프랑스와의 전쟁을 치르던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대략 2년간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분 과오가 있었으며, 적잖은 희생자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일각에서 주장하는 10만 명 처형설은 지극히 과장된 추산이다. 이후 베트남의 기밀문서가 공개된 것에 따르면 대략 1만 3,000명에서 1만 5,000명 정도라고 한다. 심지어 미국의 역사학자 가레스 포터는 자신의 저서 <평화는 거부되었다 Peace Denied>에서 "이러한 추산(수만 명 혹은 수십만 명 처형설)은 베트남을 탈출하여 미국에서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증언에 기반하고 있다"면서, 자신의 계산으로는 북부에서 숙청당한 사람은 2,500명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토지개혁을 긍정하는 사람들도 대략 그정도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산들을 종합해 볼때 호치민이 단행한 북베트남의 토지개혁의 희생자 수치는 2,500명에서 15,000명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여기서 생긴 무고한 희생자들에 대해 호치민은 최고지도자로써 당 내에서 자아비판을 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생긴 희생자에 대해 북베트남 공산당은 완화된 조치를 취함과 동시에 억울한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정책을 폈으며, 이러한 일화는 호치민을 수십년간 연구한 미국인 학자 윌리엄 J. 듀이커의 저서 <호치민 평전>에도 상당히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반공주의자들의 비판과는 별개로 토지개혁은 상당히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1955년부터 1959년까지 농업 분야에서 쌀 산출량은 360만 톤에서 520만 톤으로 증가했고, 산업 분야에서는 1955년에 단지 17개였던 공장이 1959년에는 107개 국영공장이 건설됐다. 문화 영역에서는 우선 문맹을 퇴치됐고, 1959년 당시 일반 학교 학생 수는 두 배로, 중등 직업학교 학생 수는 여섯 배로, 대학생 수는 일곱 배로 증가했다. 당시 의사의 수도 80% 증가했다. 그리고 대략 2년 동안 진행된 토지개혁으로 인하여 베트남민주공화국 농민의 절반 정도인 2백만 이상의 농민 가족들이 토지를 분배받았다. 이런 점에서 토지개혁은 성공적이었고, 1957년이나 1958년에는 토지개혁으로 인한 불협화음은 사라지게 됐다. === 베트남 전쟁 전범 === 미제국주의의 침략전쟁이 베트남 전쟁에 대해 반공주의적 도그마로 접근하는 이들은 그 침략전쟁에서 침략자들을 무찌른 주체였던 북베트남과 베트콩 그리고 그들의 상징적인 지도자 호치민에게 전범이라는 타이틀을 달기도 한다. 이는 민주화운동가이자 저항적 언론인이었던 리영희가 자신의 저서 <전환시대의 논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베트남 전쟁에 제국주의 앞잡이 군대를 보냈던 박정희와 대한민국 사회가 주장했던 논리이기도 하다. 물론 이것은 베트남 전쟁을 냉전시기 미국이 추구했던 반공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일 뿐,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매우 먼 주장이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 이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북위 17도선을 기점으로 남북분단되었다. 당시 남북분단의 전제조건은 2년 이내에 통일을 위한 총선거를 치르는 것이었고, 총선거는 남북을 아우르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총선을 방해하고 일방적으로 파기해 버린 것은 미국의 아이젠 하워 대통령과 남베트남의 부패한 제국주의 앞잡이인 응오딘지엠이었다. 이들이 총선을 거부한 이유는 당시 민중의 80%가 호치민과 공산당을 지지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1971년 대니얼 엘스버그가 폭로한 <펜타곤 페이퍼>에도 잘 설명되어 있으며,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 정권은 말 그대로 미국의 창조물이었던 것이다. 오히려 총선을 주장한 것은 호치민과 북베트남이었다. 총선을 거부한 미국은 이런 일련의 과정속에서 남벤트남을 자신들의 군사기지와 반공기지로 만들었고, 1960년대 들어서 노골적으로 변했다. 즉 총선 거부 이후 미국이 남베트남에 개입하는 과정도 베트남 침략의 한 과정이었으며, 1964년 통킹만 사건의 조작은 말 그대로 침략전쟁을 가속화 하기 위한 하나의 구실이었다. 이처럼 베트남 전쟁을 일으킨 것은 침략자 미제국주의이며,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호치민은 절대로 침략자가 아니다. === 월남패망 이후 숙청 === 미제국주의가 일으킨 베트남 전쟁은 1975년 북베트남과 베트콩의 승리 즉, 민족해방전쟁에서의 독립운동 세력의 승리로 끝이났다. 통일을 이룩한 베트남은 당연히 과거 괴뢰국 남베트남에 협력했던 반동들에 대한 숙청 및 청산작업에 나섰다. 이후 베트남을 탈출하는 이른바 보트피플이 발생했는데, 대략 100만 가까이 되는 숫자가 베트남을 떠났다. 보트피플 발생과 더불어 베트남 통일 이후의 재교육 사업과 청산작업 과정에서 가혹처사를 받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물론 세간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국제적으로 우려했던 대규모의 학살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재교육 과정도 대부분의 하위직 공무원은 3일간의 집체교육과 반성문만으로 과거의 행위에 대해서 책임을 면제받는 수준이었다. 가혹처사를 받았던 이들도 대부분 10년 이내에 풀려났으며, 15년 이상 감옥에 있던 이들은 거의 없었다. 통일된 지 10년 후인 1985년에는 수용소에 억류된 자의 수는 수천 명 정도만 남았다는 점에서, 일각에서 주장하는 수십만 혹은 수백만 학살이나 처형 그리고 구금과 같은 이야기들은 근거가 전혀 없는 주장들이다. 거기다 호치민은 미국의 침략에 맞선 투쟁이 전개되던 1969년에 사망했다. 따라서 1975년 통일 이후의 일부 억울한 사례에 대해 호치민의 책임을 묻는 것 자체가 몰역사적인 시각이다. [Include(틀:가져옴, O=좌파도서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deed.ko|CC BY 4.0]], L=[[https://web.archive.org/web/20210224110343/https://leftlibrary.kr/index.php?title=%ED%98%B8%EC%B9%98%EB%AF%BC&curid=137&diff=961&oldid=942|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