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悪ノ娘 | |
한국어명 | 악의 소녀 |
수록앨범 | EXIT TUNES PRESENTS Vocarhythm feat.初音ミク |
발매일 | 2008년 4월 6일 |
작사 | 악의P(悪ノP:mothy) |
작곡 | |
편곡 | |
부른이 | 카가미네 린 |
우리나라에서는 ‘악의 딸’로 직역되어 널리 알려져 있는 곡으로, 악의P(悪ノP)가 2008년 4월 6일 니코니코동화에 공개한 보컬로이드로 만들어진 DTM곡이다.
악곡이라기 보다는 뮤지컬에 가까운 감각으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인 곡으로, 폭정을 일삼던 나이어린 왕녀가 혁명으로 죽을때까지의 기나긴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 곡이다.
악의P(당시에는 mothy)는 스스로 그림을 그릴 수 없었기 때문에 곡을 피아프로에 업로드해 일러스트를 공모해 해당 일러스트를 포함한 영상을 니코니코동화에 공개한 케이스로, 당시 무명이었던 악의P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을 각오하고 올렸던 것이었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았노라고 회상한 바 있다.
초반에는 좋은 반응도 있었으나, 눈에 띄일만한 반향은 일어나지 않아서 공개 첫 주에 보컬로이드 랭킹 중에서 ‘린’ 랭크에서 2위로 랭크인했으나 첫주 성적은 2000재생에 200마이리스트 등록 정도로 대 히트라는 단어와는 크게 어울리지 않는 성적이었다.
이 반응이 역전된 것은 같은 달의 29일에 공개된 悪ノ召使과의 시너지 효과가 일어나 대히트를 기록, 5월 6일 공개된 보컬로이드 랭킹에서 5위(악의 하인은 3위)로 전체 랭크에 무려 3주나 뒤늦게 랭크인하는데 성공한다. 특히 노래자체보다는 높은 드라마성을 갖춘 이야기에 중점이 맞춰진 곡이다보니 뮤지컬풍의 분위기를 살린 ‘불러보았다’와 해당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PV계열이 잇따라 공개되면서(국내에는 6월 2일 공개된 じじ의 PV1)가 가장 유명하지만, 그 외에도 여러 버전이 나와있다) 오랜기간동안 사랑받는 곡이 되었다.
이에 고무된 악의P도 후속곡을 만들 결심을 하게되었으며, 다음달인 5월 25일에는 후일담을 다룬 regret message를 비롯한 통칭 ‘악의 시리즈’를 만들게 된다. 카가미네 린-렌 남매의 ACT2 버전업이 이루어지자 악의P도 이를 이용해 부족하게 느껴졌던 부분을 개선한 ACT2버전을 제작하여 7월 28일 공개하기도 했다.2)
이듬해에는 악의 소녀 시리즈에 베어있는 죄악의 코드를 ‘교만’으로 정의하고 그 뒤를 잇는 스핀오프 시리즈, 통칭 ‘7대 죄악 시리즈’로 불리우는 7대 죄악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만들기 시작하게 된다.
1. 연극화 ✎ ⊖
처음부터 시나리오성이 강하고 뮤지컬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었던 영향인지, 2008년 11월 극단 브리오슈에서 연극으로 각본을 고쳐 상영한 것을 시작으로 연극화 되었다. 악의P본인이 직접 참여한 것은 아니었으나 보컬로이드곡이 연극화 되었다는 자체가 초유의 사태인지라 많은 주목을 받았다.
2010년 1월 27일부터 30일까지 단독곡이 아닌 악의 소녀, 악의 하인, 리그렛 메시지 세 편을 각본으로 편집한 ‘악의 소녀-광장의 제미니(悪ノ娘~凄艶のジェミニ)‘는 규모 면에서도 첫버전에 비해서 꽤 큰형태로 상영되었다. 크립톤퓨쳐도 스폰서 및 제작협력이라는 입장으로 참여했고, 원작자인 악의P또한 ‘트와일라잇 블랭크’를 작곡해 이 연극에 참여하면서 거의 공식에 가까운 기획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010년 1월 27일부터 30일까지 단독곡이 아닌 악의 소녀, 악의 하인, 리그렛 메시지 세 편을 각본으로 편집한 ‘악의 소녀-광장의 제미니(悪ノ娘~凄艶のジェミニ)‘는 규모 면에서도 첫버전에 비해서 꽤 큰형태로 상영되었다. 크립톤퓨쳐도 스폰서 및 제작협력이라는 입장으로 참여했고, 원작자인 악의P또한 ‘트와일라잇 블랭크’를 작곡해 이 연극에 참여하면서 거의 공식에 가까운 기획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 소설화 ✎ ⊖
악의P가 직접 저술한 악의 소녀 노벨 시리즈가 소설로 발간되고 있다. 악곡에 싣지 못한 부분과 인기를 얻으며 확장된 시리즈의 특성을 추가해 하나의 소설작품으로서 그 시리즈를 확장해나가고 있다.
3. 영상 ✎ ⊖
PV
4. 외부 ✎ ⊖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