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진보위키
공리주의(Utilitarianism)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을 목표로 삼는 철학, 윤리학 이론 중 하나이다. 공리주의는, 다수의 행복 이 가장 중요하며, 이로 인해 어쩔수 없이 소수의 권리와 행복은 없어지게되며, 그렇더라도 한명이라도 더 다수의 행복과 권리를 추구하여야 한다는 이론이다.
1. 상황 ✎ ⊖
지금 당신은 기관사다. 만약에 지금 당신이 운전하고 있는 전차가 브레이크가 고장났다고 상상해보라. 당신은 앞을 향해 하염없이 질주하고 있으며, 마침 앞에 5명의 철도공이 일하고 있는것이 보인다. 당신은 어쩔 줄 몰라하며 두려워 한다. 그런데 그 순간, 옆에 있는 비상선로가 보였고 그 비상선로에는 1명의 철도공만이 일하고 있었다. 당신은 핸들을 돌려 선로를 비상선로로 바꿀수는 있다. 당신은, 핸들을 돌리겠는가?
정의란 무엇인가 中
2. 예시 ✎ ⊖
- 5명이 죽는것보다는 1명이 죽는 것이 더 낫다. 피해가 최소화되었기 때문이다.
- 부자 개인의 이익보다는 사회 전체의 이익과 최대 다수의 행복이 더 중요하므로, 재산은 재분배되어야 한다.
3. 비판 및 오류 ✎ ⊖
- 개개인은 공리극대화에 이용되는 도구로 전락하며, 존중받지 못한다.
- 소수와 개개인의 주장과 권리가 존중되지 않는다.
- 개개인의 의사가 무시된다. (즉, 다수의 이익을 위해 어쩔수 없이 개개인이 희생당하는데, 이 개개인은 자신의 운명에 대해 결정할 자기결정권이 없어진다.)
- 개개인의 행복을 과연 수치나 숫자로 환산할수 있는것인가?
4. 주창한 사람 ✎ ⊖
- 제러미 벤담
- 존 스튜어트 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