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正貿易 / Fair trade
국제무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국가의 농업인과 노동자들의 생계와 노동 조건을 개선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발전한 무역 체계. 생산자에게 합당한 가격을 지불하고, 그들의 노력과 노동을 공정하게 보상하며 서로 돕고 살자는 원칙을 중심으로 농산물, 공예품, 의류, 커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다.
1. 역사 ✎ ⊖
20세기 중반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유럽과 북미에서 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움직임으로 발돋움하였다. 공정무역연맹(Fair Trade Federation)과 세계공정무역기구(World Fair Trade Organization)가 설립되어 공정무역 마크나 공정무역 인증을 부여함으로써 공정무역 제품의 인증 및 관리를 맡고 있다.
2. 원칙 ✎ ⊖
다음과 같은 주요 원칙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 공정한 가격을 통한 생산자의 소득 및 생계 개선
- 생산 과정에서 노동자의 권리 안전 보장 및 존엄성 존중
- 환경 친화적 생산과 자연 자원 보호 촉진을 통한 환경 보호
- 생산지 커뮤니티 발전 지원 및 교육, 의료 등 사회적 인프라 서비스 제공
- 생산자와 소비자 간 정보 교환과 거래과정을 투명하게 하여 투명성과 신뢰성 향상
3. 제품 ✎ ⊖
여러가지 제품이 있으나 특히 커피와 초콜릿이 주요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 제품들이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생산되며, 생산자가 얻는 가격이 공정하지 못한 문제가 특히 심각하기 때문이다.
4. 논란과 비판 ✎ ⊖
공정무역 시스템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이 때문에 소규모 생산자들의 진입장벽이 높아진다고 비판하는 의견도 있다. 또한 일부 기업에서 이름만 공정무역을 내세우고 실제로는 원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