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내셔널리즘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23:44:38 | 조회수 : 68
국민주의내셔널리즘


Nationalism

내셔널리즘은 크게 말해서 국민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정치적으로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운동을 말한다. 국민주의나 국가주의라고도 번역하며, 약간의 정의에서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주의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극단적 사례는 전체주의가 있다. 민족주의의 우편향 정도에 따라 국수주의 혹은 자문화 중심주의와 제국주의, 국가 통제주의적인 전체주의로 돌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반해 좌파 민족주의는 민족심 추구의 한계를 정하고 있다.

목차

1. 기원
2. 민족주의와 차이
3. 종류
4. 영상

1. 기원

프랑스 혁명이 국민주의의 시초이다. 그 이후로 나폴레옹이 국민을 내세워 유럽을 정복했기 때문에 국민주의의 유용함을 알게 된 비프랑스의 지배층들이 제각각 국민주의를 배우게 된 것이 국민주의가 세계화된 계기가 되었다.

국민주의 사관에서는 국민주의가 고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근대중심적인 판단이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않다. 역사학자인 베네딕트 앤더슨에 따르면 역사가한테는 민족이 근대성을 띄지만 민족주의자들에게는 민족이 고대성을 띄기 때문이다. 특정 국가 영토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들이 자신들이 특정 국민이라는 것을 인식하려면 공교육부터 필요하지만 19세기 이전엔 공교육 체계가 존재하지 않았고 신분제 사회였기 때문에 귀족과 평민이 같은 국민이라는 것은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좌파적인 생각이었다.

앤더슨은 전근대 시절에는 종교 공동체이거나 왕족 국가 형태인데 유럽 지역에서 종교 개혁이 일어나면서 라틴어의 권위가 추락하고 지역어를 국가 언어로 사용하면서 각각의 민족(nation)이 형성되었다. 그러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과 같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럽에서 온 아메리카인(크리올) 중심으로 독립 운동이 일어나자 nationalism이 생겼다고 한다.(1)

2. 민족주의와 차이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일본이 Nationalism을 번역하면서 생겼는데 현재는 오역이기 때문에 국민주의라는 말이 더 맞다. 당시 일본이 민족이라는 혈연적인 단어로 번역한 이유는 프랑스가 아닌 독일에서 국민주의를 수입했기 때문이다.

독일의 국민주의는 프랑스의 국가 중심 국민주의에 대항하여 게르만족이라는 문화 중심의 국민주의를 창시했다. 당시 일본과 중국은 독일에서 국민주의를 배웠으며 한국은 중국, 일본으로부터 국민주의를 배웠기 때문에 민족 중심의 국민주의가 성행하게 된 것이다.

즉, 우리가 말하는 민족주의의 정의는 민족 국민주의(Ethnic nationalism)에 가까우며, 이는 특정 민족이나 혈연적 특성에 기반한 정체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3. 종류

  • 좌파 국민주의
  • 시민 국민주의
  • 민족 국민주의
  • 정체성형 국민주의
  • 퀴어 국민주의
  • 레즈비언 국민주의

4. 영상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보위키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