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lembert's principle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달랑베르가 발견한 고전역학에서의 원리로, 고전적인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기초적인 원리이다.
목차1. 달랑베르의 원리2. 달랑베르의 원리의 수식화3. 영상 1. 달랑베르의 원리 ✎ ⊖
달랑베르의 원리는 구속력 혹은 반작용 힘의 가상 변위에 대한 일의 양은 0이라는 것을 말한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δW=∑i=13N(Fi−pi˙)δxi=02. 달랑베르의 원리의 수식화 ✎ ⊖
n개의 입자로 이루어진 계의 운동법칙을 뉴턴의 운동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n˙=Fn+Cn 여기서
Cn은
n번째 입자에 작용하는 구속력이다. 여기에 가상변위
δxi로 내적을 취해주면
∑n=1Npn˙⋅δxn=∑n=1N(Fn+Cn)⋅δxn이 되고, 정리를 해주면 다음과 같다.
∑n=1N(Fn+Cn−pn˙)⋅δxn=0달랑베르원리는 구속력이 한 일이 0임을 말한다.
δW=∑n=1NCn⋅δxn=0이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화된 달랑베르의 원리를 얻을 수 있다.
δW=∑n=1N(Fn−pn˙)⋅δxn=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