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美主義 / Anti-Americanism
미국 자체나 미국의 외교적 정책을 반대하거나 혐오하는 성향을 말한다.
미국 자체나 미국의 외교적 정책을 반대하거나 혐오하는 성향을 말한다.
1. 성향 ✎ ⊖
모든 좌파가 무조건적인 반미관을 가지고 있다는 일반적인 오해가 있지만, 일부 극우 정치 집단도 반미관을 갖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반미주의자들은 미국이 패권주의를 추구하고, 독재자를 지원하고, 침략전쟁을 일으키고, 다른 나라의 내정에 간섭하고, 경제제재를 통해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미국 헤게모니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모두 반미인 것은 아니다. 유럽의 일부 중도좌파 자유주의자들은 미국 패권을 어느정도 비판하면서도 반미주의를 옹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좌파 아나키스트들도 반미주의에 대한 입장이 미국 자체에 반대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서방 진영의 개념에 반대하는 것인지에 따라 모호할 수 있다. 물론 서구 문화에 대한 혐오감을 가진 반미주의자도 있다. 인도의 VHP 및 시브 세나 정당과 같은 그룹이 서양 문화의 배제에 대해 힌두교 문화의 수호를 위해서라는 이유로 반미 견해를 정당화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친미 또는 반미가 반드시 우익 또는 좌익 이데올로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만의 좌파 진영, 유럽의 중도 좌파 진영, 쿠르드족은 친미 성향이 있는 반면, 러시아와 비서구 지역의 일부 우익 집단은 반미적 시각을 갖고 있다.
그러나 미국 헤게모니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모두 반미인 것은 아니다. 유럽의 일부 중도좌파 자유주의자들은 미국 패권을 어느정도 비판하면서도 반미주의를 옹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좌파 아나키스트들도 반미주의에 대한 입장이 미국 자체에 반대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서방 진영의 개념에 반대하는 것인지에 따라 모호할 수 있다. 물론 서구 문화에 대한 혐오감을 가진 반미주의자도 있다. 인도의 VHP 및 시브 세나 정당과 같은 그룹이 서양 문화의 배제에 대해 힌두교 문화의 수호를 위해서라는 이유로 반미 견해를 정당화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친미 또는 반미가 반드시 우익 또는 좌익 이데올로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만의 좌파 진영, 유럽의 중도 좌파 진영, 쿠르드족은 친미 성향이 있는 반면, 러시아와 비서구 지역의 일부 우익 집단은 반미적 시각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