Σωκράτης | Socrates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1. 비판 ✎ ⊖
소크라테스의 철학이 반민주주의적이라는 비판이 있으며 이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문제다. 그의 사상인 현인에 의한 통치는 과두정 지지로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그의 제자들 중 알키비아데스나 철인정치를 주장했던 플라톤처럼 아테네의 민주정과는 거리가 먼 인물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삼십인 정권 당시 민주정을 지지하던 많은 아테네 시민들이 죽임을 당하거나 망명을 떠났음에도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 남았는데, 이에 대해 고대 희랍 · 로마의 분노론이란 서적에서는 삼십인 정권이 폭정을 벌이리라는 것을 알았다면 공범이고 몰랐다면 어리석었다며 그를 비판하였다. #
이는 그가 사형을 당하게 된 사건에서도 나타나는데, 그가 사형을 당한 것이 소피스트들의 모함 때문이었다는 주장도 있으나 그가 재판에 임한 태도 또한 적지 않게 작용하였다. 그가 기소된 죄 자체가 사형을 당할 정도 까지는 아니었으나, 그는 재판정에서 중우정치를 비판하며 배심원들을 모욕할 수 있는 표현도 서슴치 않았다. 1차 표결에서 유죄가 났음에도 이런 태도는 유지되었고, 결국 2차 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다.
실제로 그의 철학책에서는 자유나 평등과 같은 민주적 가치 보다는 국가를 절대시하고 어느정도 보수적인 면이 존재하였다. 그 당시 아테네는 더 자유롭고 진보적인 나라였기에 그의 철학은 일종의 반동이었고, 사형 또한 단지 하나의 사건에 대한 결과가 아닌 소크라테스의 행동과 사상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그가 사형을 당하게 된 사건에서도 나타나는데, 그가 사형을 당한 것이 소피스트들의 모함 때문이었다는 주장도 있으나 그가 재판에 임한 태도 또한 적지 않게 작용하였다. 그가 기소된 죄 자체가 사형을 당할 정도 까지는 아니었으나, 그는 재판정에서 중우정치를 비판하며 배심원들을 모욕할 수 있는 표현도 서슴치 않았다. 1차 표결에서 유죄가 났음에도 이런 태도는 유지되었고, 결국 2차 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다.
실제로 그의 철학책에서는 자유나 평등과 같은 민주적 가치 보다는 국가를 절대시하고 어느정도 보수적인 면이 존재하였다. 그 당시 아테네는 더 자유롭고 진보적인 나라였기에 그의 철학은 일종의 반동이었고, 사형 또한 단지 하나의 사건에 대한 결과가 아닌 소크라테스의 행동과 사상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