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좌파도서관
완전히 자동화된 화려한 공산주의(Fully Automated Luxury Communism, FALC)는 2019년 출판된 아론 바스타니의 저서이자 공산주의의 한 갈래로,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하여 '럭셔리한' 생활을 누구나 영위할 수 있도록 만들자고 주장한다.
1. 이들의 주장 ✎ ⊖
1.1. 자본주의의 패망 ✎ ⊖
자본주의의 종말보다 세계의 종말을 상상하는 편이 더 쉽다.
자본주의 질서가 영원할 것이라고 믿는 신앙, 즉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자본주의는 현실 그 자체로 받아들여진다고 말한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브렉시트, 트럼프 당선 등을 소개하며, 기존의 권위에 불만을 가졌기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조차 자본주의라는 신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위기라고 말한다. 자본주의의 신도들은 지금까지 자본주의가 거둔 성과를 내세우지만, 자본주의의 재생산성 자체를 위협할만한 위기 다섯가지를 피해갈 수 없으리라 말한다.
1.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
2. 자원 부족(에너지, 광물, 물)
3. 사회의 고령화
4. 증가하는 빈곤층과 잉여 계층
5.새로운 기계의 시대의 도래
2008년 이후 여러가지 부정적인 지표가 드러나자 좌우진영 모두 급진적인 정치가 부활했다. 트럼프와 코빈, 브렉시트와 포데모스, 버니 샌더스와 시리자의 등장이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종언을 고하고 있다. 2008년 위기는 앞으로 닥쳐올 실패한 경제 모델의 여파의 첫 번째 단게일 뿐이며, 앞서 언급한 5가지 위기가 우리의 삶 자체에 실존적 위협을 제기한다.
1.2. 대변혁 ✎ ⊖
과학기술은 신의 선물이다.
아마도 생명 다음으로 신이 주신 선물일 것이다.
프리먼 다이슨
FALC는 농업을 '1차 대변혁', 산업을 '2차 대변혁', 정보화를 '3차 대변혁'이라고 말한다. 경쟁의 결과 나타난 혁신을 추구하는 경향, 노동을 대체하고 생산성에 목매는 경향이 결국 기술 혁신으로 이어져 3차 대변혁을 만들어냈다며, 이 3차 대변혁의 흐름을 잘만 타면 무한 공급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근거한 비현실적인 풍요를 이룩할 수 있다고 말한다.
1.3. 행복추구권 우선 ✎ ⊖
가난한 사람은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FALC는 누구나 자신의 행복에 필요한 자원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추구한다. 또한 FALC는 주거, 교육, 교통, 의료, 정보와 같은 자원을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없다면 결코 자유를 누릴 수 없다고 말한다.
2. 이들의 비판 ✎ ⊖
2.1. 마르크스주의 ✎ ⊖
마르크스가 말한 "시스템을 전복한 노동자의 혁명"은 없었고, 그 이유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자본주의 스스로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 중 하나가 "공간적 해결"으로, 노동자들의 투쟁성은 임금이 싸고 이익이 많이 나는 곳으로 생산을 재배치하면 끝난다는 부르주아의 해결책이다. 나머지 하나는 "기술적 해결"으로, 자본가 사이의 경쟁으로 일어난 기술혁신이 시장 자본주의를 실패하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근대성이 최고조에 달한 곳에서 혁명이 시작되리라 예견한 이유가 바로 이 3차 대변혁을 말한 것이라고도 주장한다. 의지나 지적 능력의 부족 때문이 아닌 역사에 따른 필연이라고 서술한다.
2.2. 현실사회주의 ✎ ⊖
FALC는 20세기 초의 공산주의와 전혀 다르며, 겨울 궁전을 급습하는 식으로 이룰 수 있는 목표도 아니다. 3차 대변혁 이전에 공산주의를 실현한다는 것은 1차 대변혁 전에 잉여생산물을 얻거나, 2차 대변혁 전에 전기를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현실사회주의가 실패한 이유는 재생 에너지, 자동화와 정보화 같은 공산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조건이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이며, 3차 대변혁이 이루어진 지금에서야 공산주의로의 진행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소비에트 연방에 대해서는 복합적인 평가를 내리는데, 군부의 정권 장악 등을 비판하면서도 70년간 유지된 것을 가장 놀라운 정치적 성과라고 서술하고 있다.
현실사회주의가 실패한 이유는 재생 에너지, 자동화와 정보화 같은 공산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조건이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이며, 3차 대변혁이 이루어진 지금에서야 공산주의로의 진행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소비에트 연방에 대해서는 복합적인 평가를 내리는데, 군부의 정권 장악 등을 비판하면서도 70년간 유지된 것을 가장 놀라운 정치적 성과라고 서술하고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좌파도서관에서 가져왔으며 CC BY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