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왕따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7 19:31:37 | 조회수 : 11
왕 따돌림의 줄임말. 집단에서 개인을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현상 또는 해당 개인을 칭하는 말이다.

목차

1. 양상
2. 해결
3. 영상

1. 양상

소규모 사회에서 힘없는 개인은 침묵의 공범자들에 의해 고립되고 학대당하며, 이에 동조하지 않으면 자신도 소수의 피해자가 된다는 악순환에 갇힌다. 안타까운 것은 하지 말자고 해서 안하게 되는게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겉보기에는 나쁜 아이가 이상한 아이를 괴롭히는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착한 사람도 가해자/피해자가 되며, 피해자는 사회 구성원들에게 받은 상처를 평생 간직하며 살아가게 된다. 폭력은 단순히 육체적인 상처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상처를 남기고, 그 상처는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

2. 해결

왕따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사회 적응 능력 부족이나 소통 문제만이 원인이라고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해당 개인을 사회생활에 적응하도록 강요하거나 억지로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즉각적인 개입과 가해자에 대한 처벌, 왕따 예방 교육 강화, 피해자 상담 및 심리 치료 지원 등의 확대가 그 예이다. 또한, 소외된 구성원을 위한 사회적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이해하고 공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왕따 문제 해결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책임이다.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인식 개선과 제도적 개선이 병행되어야만 진정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왕따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종합적인 해결 방식과 사회 구성원 모두의 노력을 통해 해결해야 할 복합적인 사회 문제이다.

3.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