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최근 수정 시각 : 2023-09-07 00:33:03 | 조회수 : 29

한국어의 1인칭 복수 대명사. 우리의 낮춤말은 '저희'이다. 하지만 이 단어는 타국을 칭할 때나 집단 내에 자기보다 높은 사람이 있을 때 사용하면 안 된다.

목차

1. 한국어에서의 특이한 용법
2. 가두는 우리
3. 영상

1. 한국어에서의 특이한 용법

일단 우리, 저희의 사용례를 보자.
  • 주격

ㄱ:우리 지금 길 잃었냐?
ㄴ:우리 돈 없는데.

1인칭 복수 주격으로 사용되었다.
  • 소유격 1

ㄱ:저희 회사는 고객을 우선시 합니다.
ㄴ:제품에 문제가 생기셨다면, 저희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세요.

이 정도는 영어에서도 our company 등을 소비자들에게 보내는 격식있는 문서에 쓰긴 한다. 목적격으로도 contact us 등으로 쓰이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 소유격 2

ㄱ:우리 남편 참 웃겨.
ㄴ:우리집에서는 우리 큰 아들이 제일 웃겨.

보다시피 우리 뒤의 명사가 식구나 집에 관련한 것일 경우 1인칭 단수 소유격으로 쓰이고 있다. 가족이나 집 뿐만이 아니라 소속된 집단 등으로도 쓴다. 예를 들면 우리 학교, 우리 반. 이렇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대화도 가능하다.

ㄱ:노가다 그만 뛰고 우리 식당에서 같이 일 해.
ㄴ:그게 너네 식당이지 왜 우리 식당이여.

여기서 우리 식당은 내가 일 하는 식당이다. 그렇다면 이런 예문도 만들 수 있다.

ㄱ:인사해요. 우리 남편, 필립이예요
ㄴ:우리 와이프로부터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필립입니다. 반갑습니다.


그러나 남자친구, 여자친구, 그냥 친구는 우리라고 안 붙인다.

ㄱ:우리 남자친구 너무 멋있어.
ㄴ:응. 우리 남자친구 너무 훌륭해.
A:으이구. 내 여자친구들.


이렇게 우리 남자친구가 되면 일부다처가 되어버린다.

2. 가두는 우리

pen

우리를 이용하면 동물들을 쉽게 한 장소에 가두어 둘 수 있다. 보통 철이나 나무를 이용해 지으며 우리에 갇히는 동물로는 닭, 원숭이, 소, 돼지 등이 있다.

3. 영상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자유인사전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