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은림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21:14:31 | 조회수 : 29

1978년~

한국의 소설가이자 편집자, 디자이너. 은림은 필명이며, 본명은 최현숙이다. 단행본 등 지면 상에서 은림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딱히 실명을 감추고자 하지는 않는다. 소설가로서는 필명을, 디자이너로서는 실명을 사용함으로써 양 영역을 구분하고자 할 뿐이다. SF작가 박성환과 부부이다.

출생지는 안양이다. 유년기부터 소설과 그림(만화)을 창작해왔다. 이유는 자신이 듣고 싶어 하는 이야기를 아무도 해주지 않기 때문. 처음에는 자신이 생각하던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는 매체가 만화 밖에 없어 만화가가 될 생각을 하였으나, 일본 판타지 소설을 접한 뒤 소설가로 진로를 바꿨다고 한다. 다만 현재도 생계는 그림 쪽으로 해결하고 있고, 감수성 측면에서도 만화 쪽에서 영향을 받기는 했다는 듯.

90년대에는 나우누리 SF 게시판에서 장·단편 소설을 올렸다. 2000년에는 「할머니 나무」로 제1회 황금드래곤문학상 단편 부문을 수상하였고, 이 대회를 계기로 결성된 창작 소모임 환상서고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2003년 8월부터는 환상문학웹진 거울에 합류하여 거울과 전자책, 단편집 등을 통해 작품을 발표해왔다. 환상문학웹진 거울 소속 필진 중 거울에서 출간된 앤솔러지에 가장 많이 작품을 수록한 작가이기도 하다.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 회원이기도 하다.

활동 초기부터 여성성이라는 주제에 천착해왔으며, 여성에 대한 화두를 환상 문학을 통해 풀어내는 형태의 작품 활동을 보여왔다. 특히 여성과 나무를 연결시키는 기법을 즐겨 사용하는 편이다. 초기작에서는 여성과 나무라는 소재 모두 수동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나 최근작으로 올 수록 이들의 능동적인 모습을 부각시키려 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 예로 초기작인 「할머니 나무」에서는 치매에 걸린 여성이 증세가 점점 심해짐에 따라 나무로 몸이 굳어지게 된다. 후기작인 「노래하는 숲」에서는 정원에 못박힌 꽃과 더불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이동하는 주인공 꽃의 모습이 그려진다. 즉 초기작에서 식물이 여성의 강제된 수동성을 상징하는 소재였다면 후기작에서는 여성의 진취성을 상징하는 소재로 사용되었던 셈이다.

최근에는 다른 일에 바빠 창작에는 거의 신경을 못쓰는 상황. 디앤씨미디어의 대중소설 브랜드 이타카의 편집장이기도 하다.

목차

1. 출간작
1.1. 메이저
1.2. 마이너
1.3. 할티노
2. 외부

1. 출간작

1.1. 메이저

연도수록작수록서출판사비고
2014단편집(1)『노래하는 숲』온우주
2009「낙오자」『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시작Miracle
2009「노래하는 숲」『커피잔을 들고 재채기』황금가지
2008「할머니 나무」『한국 환상 문학 단편선』
2008「환상 진화가」『앱솔루트 바디』해토크로스로드 SF 컬렉션
2008「할티노」『판타스틱』(12월호)페이퍼하우스
2001「Sistory」『환상서고 단편집』드림필드
2000「샨 데 크레안」『윈드 드리머』명상

1.2. 마이너

연도수록작수록서
2008「눈 늑대」『2008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2007「노래하는 숲」『2007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2007「고양이 별」『환상문학웹진 거울 외계인 단편선』
2006「환상진화가」『2006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2006「루벨 나이트」『환상문학웹진 거울 흡혈귀 단편선』
2005「낙오자」『2005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2004「할머니 나무」『2004 환상문학웹진 거울 단편선』
2004「시간의 여인」『꿈의 신발』
2004「빈의자」
2004「거울성 이야기」

1.3. 할티노

※ 환상문학웹진 거울 및 이북을 통해 발표된 중단편선. 2004년 발매작. 거울의 첫 개인 중단편선이다.
  • 「할티노」
  • 「할머니 나무」
  • 「SAVING EARTH」
  • 「밤의 연상」
  • 「얼음 공주」
  • 「이상한 무도회」
  • 「태양을 삼키다」
  • 「낙오자」
  • 「숲에 사는 물고기」

2. 외부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북시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할머니 나무」, 「만냥금」, 「엄마꽃」, 「낙오자」, 「환상진화가」, 「노래하는 숲」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