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진보위키
河泰慶, 1968년 3월 29일~
하태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이다.
1. 정계 입문 이전 ✎ ⊖
부산 출신으로 1986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1990년대 중반까지 통일 운동에 매진하던 운동권이었다. 즉 민족 해방(NL) 계열의 운동가로서, 1991년 투옥되었고, 1993년에 출소했다. 당시 그의 스승은 문익환으로, 문익환은 남한 정부의 허가 없이 방북했다가 고초를 당했는데, 하태경은 문익환이 조직한 "통일맞이"라는 단체에서 통일 운동을 했다.
문익환이 만년에 운동권의 틀을 벗어나기 위해 NL 주류인 운동권의 모임인 범민련으로부터 벗어나 좀 더 대중화된 조직을 만들려고 하자, 범민련 주류와 문익환은 갈등을 빚었는데, 1994년 스승이던 문익환이 사망하자, 하태경은 우파로 전향한다. 본인은 "북한이 문익환을 프락치로 비난하는 팩스를 보내서 문 목사가 사망하는 것을 보고 북한의 실상을 알았다"라고 주장하는데(1), 또 다른 한편에서는 중국에 유학 갔을 때, 탈북자를 접하고 지상낙원이던 북한의 실상을 깨달아 전향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 어쨌든 문익환의 말년에 범민련과 크게 갈등을 빚었고, 이것이 하태경 전향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듯하다. 전향 후인 1990년대 말에는 북한운동인권가로 일했다.
문익환이 만년에 운동권의 틀을 벗어나기 위해 NL 주류인 운동권의 모임인 범민련으로부터 벗어나 좀 더 대중화된 조직을 만들려고 하자, 범민련 주류와 문익환은 갈등을 빚었는데, 1994년 스승이던 문익환이 사망하자, 하태경은 우파로 전향한다. 본인은 "북한이 문익환을 프락치로 비난하는 팩스를 보내서 문 목사가 사망하는 것을 보고 북한의 실상을 알았다"라고 주장하는데(1), 또 다른 한편에서는 중국에 유학 갔을 때, 탈북자를 접하고 지상낙원이던 북한의 실상을 깨달아 전향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 어쨌든 문익환의 말년에 범민련과 크게 갈등을 빚었고, 이것이 하태경 전향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듯하다. 전향 후인 1990년대 말에는 북한운동인권가로 일했다.
2. 정계 입문 이후 ✎ ⊖
하태경은 2012년 한나라당에 입당해서 국회의원 공천을 받고 당선되었다. 이후 박근혜의 선거운동을 지원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최순실 게이트가 밝혀지자 박근혜 탄핵을 주장하면서 바른정당의 창당 멤버가 된다. 이후 바른정당은 안철수의 국민의당과 합당하여 바른미래당이 되었다.
남성이 역차별 당하고 있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남성만 국방의 의무를 지니게 하거나 남성의 무리한 데이트 비용과 결혼 비용 지불에 대해 역차별이라고 주장하였다. # HTTPS 차단에 대해서는 중국, 북한과 같은 국가가 아니냐라는 비판을 했다. #
바른미래당과 자유한국당이 통합된 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남성이 역차별 당하고 있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남성만 국방의 의무를 지니게 하거나 남성의 무리한 데이트 비용과 결혼 비용 지불에 대해 역차별이라고 주장하였다. # HTTPS 차단에 대해서는 중국, 북한과 같은 국가가 아니냐라는 비판을 했다. #
바른미래당과 자유한국당이 통합된 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진보위키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