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배경음악이라는 의미로, 영문의 Background Music의 약자이다.
음악 감상이 주가 아닌, 다른 작업이나 특정 상황에 뒤에 흐르는 바탕음악을 통칭해서 BGM이라고 부른다. 특정 매체의 주역이 아닌 장식이나 돋보이게 하기 위한 첨부효과로서의 매체로 활용되는 음악을 지칭하며, 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서 적용영역이 넓어져 다양한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1. 상세 ✎ ⊖
고대부터 잔치를 벌일 때 노래하며 술과 식사를 즐기던 것에서 발전하여 바로크 시대에 프랑스 왕족 및 귀족들이 식사시간에 악단을 고용해 음악을 연주하던 것으로 변형되었고, 그리스 등에서 발달한 연극이나 오페라 등에서 상황에 맞춰 음악을 연주하거나 효과음을 넣는 것등이 발전해 현재의 미디어와 결합된 배경음악 개념으로 발달했다.
배경음악의 영역은 매우 넓다. 예를 들어서
가사가 없는 순수 음악인 경우가 많으며, 그런 이유로 클래식 등의 음악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영화, 드라마, 게임, 다큐멘터리, 광고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며, 이러한 음악 분야의 크기는 가요 등에 못지 않게 크다. 단지 가수가 전면에 나서지 않기 때문에 와닿지 않을 뿐이다.
그렇다고 가사가 없는 음악만이 BGM으로 불리우는 것은 아니고, 가사의 유무가 아닌 사용되는 범주가 어느쪽인가가 분류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가사가 있어도 배경음악으로 흐르면 BGM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매체에서 사용되는 BGM은 그 자체로 상품성을 가지고 앨범화 되어 판매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작중에 나오는 음악을 묶어서 내놓는 앨범을 OST라고 부른다.
한국의 인터넷 상에서는 한영 전환이 귀찮다는 이유로 ‘BGM’을 각 음소를 따서 ‘브금‘이라고 읽기도 하는데, 올바른 표현이 아니라 인터넷 은어이다. 때문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BGM을 브금이라고 했다간 찐따취급 받을 수 있으므로 남발하지 말기 바란다.
배경음악의 영역은 매우 넓다. 예를 들어서
- 영화나 드라마에서 캐릭터 간의 이야기가 중심이지만,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배경에 음악을 흐르게 함으로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상황을 강조하는 음악들이 이에 해당한다. 라디오 방송에서 사연을 읽거나 할 때 배경에 음악을 까는 것도 마찬가지로 BGM이라고 한다.
- 게임에서 스테이지 별, 혹은 상황에 맞춰서 나오는 ‘효과음’과는 구분되는 음악적 효과를 BGM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스테이지 별로 흐르는 배경음악이지만, 배경에 흐르는 음악 뿐만 아니라 특정 이벤트를 클리어했을 때 성취감을 주는 음악 등을 재생하는 것은 게임 업계의 오래된 연출 법 중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이스에서 아이템 상자를 열면 나오는 음악 등도 이에 해당한다.
- 마찬가지로 현실에서도 카페나 마트 등에서 커피를 마시거나 쇼핑을 하는 것이 중심이지만 지루하지 않도록 음악을 연주해주는 것도 BGM에 해당한다. 레스토랑, 술집 등에서 연주자 및 레코드를 이용해 음악을 연주해 식사 등의 분위기를 살려주는데 사용하는 음악, 자동차를 운전할 때 카세트나 라디오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것도 BGM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미니홈페이지 계열에 들어갔을 때 자동으로 흘러나오는 배경음악도 BGM이다. 특정 컨텐츠를 찾아서 클릭해서 감상하는 경우라면 BGM이라고 하지 않는다.
가사가 없는 순수 음악인 경우가 많으며, 그런 이유로 클래식 등의 음악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영화, 드라마, 게임, 다큐멘터리, 광고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며, 이러한 음악 분야의 크기는 가요 등에 못지 않게 크다. 단지 가수가 전면에 나서지 않기 때문에 와닿지 않을 뿐이다.
그렇다고 가사가 없는 음악만이 BGM으로 불리우는 것은 아니고, 가사의 유무가 아닌 사용되는 범주가 어느쪽인가가 분류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가사가 있어도 배경음악으로 흐르면 BGM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매체에서 사용되는 BGM은 그 자체로 상품성을 가지고 앨범화 되어 판매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작중에 나오는 음악을 묶어서 내놓는 앨범을 OST라고 부른다.
한국의 인터넷 상에서는 한영 전환이 귀찮다는 이유로 ‘BGM’을 각 음소를 따서 ‘브금‘이라고 읽기도 하는데, 올바른 표현이 아니라 인터넷 은어이다. 때문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BGM을 브금이라고 했다간 찐따취급 받을 수 있으므로 남발하지 말기 바란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