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동북공정

최근 수정 시각 : 2023-04-25 22:34:21 | 조회수 : 48
동북공정

東北工程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东北边疆历史与现状系列研究工程)의 준말로, 2002년 ~ 2007년에 중국사회과학원 산하에 있는 변강사지 연구센터에서 진행된 역사 연구이다.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하여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그 면면을 보면 한국 입장에서는 역사공정(空挺)에 가깝다.

목차

1. 배경
1.1. 중화사상
1.2. 공정
1.3. 목적
2. 내용
2.1. 반박
3. 외부
4. 영상

1. 배경

1.1. 중화사상

  • 세계 문명의 중심 중국
  • 만리장성이란 상징적 경계로 중심과 주변이란 이분법적 세계관
  • 한족 중심 → 통일적 다민족구가론으로 학장해 중국 국경선 안의 모든 민족 역사를 중국사에 포함

1.2. 공정

  • 서북공정
  • 서남공정
  • 동북공정
  • 몽골공정
  • 백두산공정
  • 오키나와공정
  • 중화문명 탐원공정: 전설상 인물을 역사적 인물로 둔갑시켜, 역사를 1만년으로 늘리고 아시아 문명 뿌리를 모두 중국으로 해석
  • 하상주 단대공정

1.3. 목적

  • 만주 기반 한국사 국가(1)를 중국사로 편입
  • 소수 민족 분열 두려움, 1990년 이후 조선족 정체성 문제 해결
  • 북한 붕괴 후 동북 3성 경제 개발/지배권 확립, 간도 영유권 확립, 한국/러시아와의 영토 분쟁 방지, 한반도 흡수 통일을 위한 역사적 근거 확보

2. 내용

  • 한반도 북부는 중국의 역사 활동 무대
  • 고조선은 기자, 위만 등 중국인에 의해 발전한 중국의 지방정권
  • 중국의 성현 기자가 고조선을 발전 / 위만이 평양에 나라를 세움
  • 고구려는 조공/책봉관계의 고대 중국 정부의 지방정권
  • 고구려의 건국과 멸망은 중국 영토에서 이뤄진 것
  • 고구려 VS 수, 당은 국내 통일전쟁
  • 고구려 멸망 후 유민은 중국 한족 편입
  • 압록강 입구 단동의 고구려 성에 새로운 성곽을 만들고 만리장성 동단 기점으로 선언
  • 단치샹의 중국역사지도집에서 만리장성이 압록강 넘어 평안도 평양까지 뻗어 있음
  • 왕씨 고려는 고구려가 아닌 신라를 계승한 국가
  • 발해는 중국의 일부
  • 발해 건국 주체는 말갈족
  • 중국 전통 강역 내 위치
  • 당 조공 및 관할 하에 있던 당의 지방정권
  • 발해 수도 상경성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2.1. 반박

  • 기자동래설
  • 평양의 기자묘, 기잣당은 소중화주의 결과물
  • 명나라 멸망 후 청나라 주도권으로 조선중화주의 발생
  • 북벌론 / 북학사상
  • 고구려
  • 고구려 말과 중국의 말이 다름
  • 발해
  • 고구려인 소수 지배층과 말갈족 다수 피지배층으로 구성
  •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구려 계승 명시
  • 고구려 문화 계승

3. 외부

4. 영상

(1)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