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L (비교)

r2 ➤ r3
2[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외부:https://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412132711/https://wiki.nex32.net/%EC%86%8C%ED%94%84%ED%8A%B8/sdl|링크]])scontent-hkg1-1.xx.fbcdn.net/v/t39.30808-6/300563902_492189539579515_167741350232372314_n.png?_nc_cat=109&ccb=1-7&_nc_sid=783fdb&_nc_ohc=lqscde61isYAX8UcOfk&_nc_ht=scontent-hkg1-1.xx&oh=00_AfA2r-VwTz2rhpkvWgvR8p9Tq1qRWjAjb1PD6rxCmKsORQ&oe=65C57502|width=400]]
3Simple DirectMedia Layer (SDL, 심플 다이렉트미디어 레이어)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짜여진 크로스플랫폼의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이다. GNU GPL 기반의 자유 공개 소프트웨어이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비디오, 오디오, 입력 장비의 계층을 추상화하여 크로스플랫폼 상에서 복잡한 작업을 최소화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눅스, [[FreeBSD]], 안드로이드 등의 오픈소스 OS는 물론이고 윈도우, 맥OS X 등의 상용 OS까지 모두 지원함으로서 상용 프로젝트에서도 널리 사용될 정도의 범용적 위치를 획득하고 있다.
6DOS를 비롯한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그래픽모드를 기동하기 위해서 각자의 프로그램에서 그래픽모드 초기화와 사운드 드라이버 별 시스템 관리를 직접해왔다. 그러나 시대가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으로 전환되고 통합된 기능으로 OS에서 시스템을 관리하게 되었고, 그래픽카드를 비롯한 각종 그래픽가속장치와 기능이 확장되면서 이를 일일이 프로그램 별로 제작-관리하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SDL은 이러한 뿔뿔이 흩어진 환경차이를 극복하고 다수의 환경에서 동일한 API를 통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발 도구이다.
37BeOS 및 [[하이쿠OS (Haiku Operation System)]]의 경우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BDirectWindow를, 사운드를 위해서는 BSoundPlayer가 사용된다.
43* [[http://www.libsdl.org/|홈페이지]]
44
45[Include(틀:가져옴,O=넥스32 위키, C=[[http://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s://web.archive.org/web/20210412132711/https://wiki.nex32.net/%EC%86%8C%ED%94%84%ED%8A%B8/sdl|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