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00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23:35:12] 경상남도
[23:34:05] 경기도
[21:53:52] 임정득
[21:53:37] HE-SYSTEM
[21:52:25] 문신, 헤나 갤러리
[06:51:29] 세종특별자치시
[23:39:28] 세종특별자치시
[23:37:22] 인천광역시
[23:37:04] 인천광역시
[23:35:30] 대한민국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공작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공작(公爵, Duke[* 듀크])은 일반적인 귀족제인 오등작(五等爵)에서 가장 높은 작위이다. == 상세 == [Include(틀:오등작)] 그럭저럭 흔했던 백작 이하급의 작위와는 달리 공작의 작위는 춘추전국시대의 [[중국]]에서 드문 편에 속하였다. 하지만 시대가 지나면 지날수록 공작의 작위도 점차 유명무실해지며 흔히 주어지는 작위가 되었다. 한편 고려[* 원간섭기 제외]는 오등작제를 운용하며 국공, 군공의 작위를 수여하였는데 대표적인 고려의 공작은 조선국공 이자겸이다. 또한 [[조선]]도 초기에는 오등작을 수여하였지만 곧 폐지하였다. 유럽에서 공작은 권세 있는 귀족, 왕가의 일원 등이 가진 작위이다. 공작이 다스리는 영지는 공작령이라 하며, 독립국이라면 공국(Duchy)이라 한다. 역시 공국으로 번역되는 Principality와는 다른 개념이다. == 초소형국민체 == 왕국이나 제국을 칭하는 [[초소형국민체]]에서나 공작의 작위가 일반 귀족에게 주어진다. 각 초소형국민체마다 공작의 가치는 달라서 남발되는 경우도 있고, 진짜 공적이 있거나 왕실의 일원에게만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헛리버 공국]]에선 레너드 공의 일곱 자녀들이 모두 가지고 있는 작위이다. 문제는 여기 명백히 공국(Principality)이라는 점. == 인물 == * 아르만도 디아츠 * 화림 * 노섬벌랜드 공작 == 트리비아 == 중세 유럽 이후 [[중국]]에서는 유럽의 귀족 작위를 공작으로 번역하기도 했다고 한다. == 영상 == [youtube(vluG7Wc-dgI)]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80312101645/http://red.wi.kiwi/%EA%B3%B5%EC%9E%91|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레드위키]] 공작(公爵, Duke[* 듀크])은 일반적인 귀족제인 오등작(五等爵)에서 가장 높은 작위이다. == 상세 == [Include(틀:오등작)] 그럭저럭 흔했던 백작 이하급의 작위와는 달리 공작의 작위는 춘추전국시대의 [[중국]]에서 드문 편에 속하였다. 하지만 시대가 지나면 지날수록 공작의 작위도 점차 유명무실해지며 흔히 주어지는 작위가 되었다. 한편 고려[* 원간섭기 제외]는 오등작제를 운용하며 국공, 군공의 작위를 수여하였는데 대표적인 고려의 공작은 조선국공 이자겸이다. 또한 [[조선]]도 초기에는 오등작을 수여하였지만 곧 폐지하였다. 유럽에서 공작은 권세 있는 귀족, 왕가의 일원 등이 가진 작위이다. 공작이 다스리는 영지는 공작령이라 하며, 독립국이라면 공국(Duchy)이라 한다. 역시 공국으로 번역되는 Principality와는 다른 개념이다. == 초소형국민체 == 왕국이나 제국을 칭하는 [[초소형국민체]]에서나 공작의 작위가 일반 귀족에게 주어진다. 각 초소형국민체마다 공작의 가치는 달라서 남발되는 경우도 있고, 진짜 공적이 있거나 왕실의 일원에게만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헛리버 공국]]에선 레너드 공의 일곱 자녀들이 모두 가지고 있는 작위이다. 문제는 여기 명백히 공국(Principality)이라는 점. == 인물 == * 아르만도 디아츠 * 화림 * 노섬벌랜드 공작 == 트리비아 == 중세 유럽 이후 [[중국]]에서는 유럽의 귀족 작위를 공작으로 번역하기도 했다고 한다. == 영상 == [youtube(vluG7Wc-dgI)] [Include(틀:가져옴,O=레드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deed.ko|CC BY-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80312101645/http://red.wi.kiwi/%EA%B3%B5%EC%9E%91|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