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72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비만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肥滿 / Obesity 체중이 정상 BMI 기준[* >=25 과체, >=30 비만. 단 아시아는 >=23 과체중, >=25 비만이다.]을 초과하는 것. 단 BMI만으로는 지방과 근육이 구분되지 않기에,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선 [[inter:나무위키:체성분 검사]][* 흔히 인바디라고 부르는 것.] 등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BMI가 정상이나 저체중이라도 중성지방 등이 과다하면 복부비만 등으로 분류된다.] 경증, 중등도, 중증 등으로 분류되며, [[inter:나무위키:고도비만]]이란 분류도 있다. 현대 사회에선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https://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overweight-or-obese-population/indicator/english_86583552-en|#]]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21|##]] 질병으로도 분류되어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식이 요법,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 시각 == 비만인에 대해 나태하다거나 노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시각이 있으나, 비만은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도 있으므로 이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가령 정제 고탄수화물 식품이나 육류, 정크 푸드 등의 섭취가 비만의 주요 원인인데, 이러한 식품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접근하기 쉬우며, 따라서 과체중과 비만은 부와 교육 수준과 연결된 사회적 불평등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과거 부의 상징이었던 비만이 현대에는 가난의 상징이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비만은 단순히 식욕 억제로만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탄수화물 중독과 항상성 등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및 심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영상 == [youtube(FTxaAOAX2gM)]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肥滿 / Obesity 체중이 정상 BMI 기준[* >=25 과체, >=30 비만. 단 아시아는 >=23 과체중, >=25 비만이다.]을 초과하는 것. 단 BMI만으로는 지방과 근육이 구분되지 않기에,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선 [[inter:나무위키:체성분 검사]][* 흔히 인바디라고 부르는 것.] 등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BMI가 정상이나 저체중이라도 중성지방 등이 과다하면 복부비만 등으로 분류된다.] 경증, 중등도, 중증 등으로 분류되며, [[inter:나무위키:고도비만]]이란 분류도 있다. 현대 사회에선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https://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overweight-or-obese-population/indicator/english_86583552-en|#]]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21|##]] 질병으로도 분류되어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식이 요법,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 시각 == 비만인에 대해 나태하다거나 노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시각이 있으나, 비만은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도 있으므로 이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가령 정제 고탄수화물 식품이나 육류, 정크 푸드 등의 섭취가 비만의 주요 원인인데, 이러한 식품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접근하기 쉬우며, 따라서 과체중과 비만은 부와 교육 수준과 연결된 사회적 불평등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과거 부의 상징이었던 비만이 현대에는 가난의 상징이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비만은 단순히 식욕 억제로만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탄수화물 중독과 항상성 등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및 심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영상 == [youtube(FTxaAOAX2gM)]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