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비만

최근 수정 시각 : 2023-03-27 08:39:27 | 조회수 : 13
肥滿 / Obesity

체중이 정상 BMI 기준(1)을 초과하는 것. 단 BMI만으로는 지방과 근육이 구분되지 않기에,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선 체성분 검사(2) 등을 필요로 한다.(3) 경증, 중등도, 중증 등으로 분류되며, 고도비만이란 분류도 있다.

현대 사회에선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 ## 질병으로도 분류되어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식이 요법,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목차

1. 시각
2. 영상

1. 시각

비만인에 대해 나태하다거나 노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시각이 있으나, 비만은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도 있으므로 이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가령 정제 고탄수화물 식품이나 육류, 정크 푸드 등의 섭취가 비만의 주요 원인인데, 이러한 식품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접근하기 쉬우며, 따라서 과체중과 비만은 부와 교육 수준과 연결된 사회적 불평등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역설적으로 과거 부의 상징이었던 비만이 현대에는 가난의 상징이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비만은 단순히 식욕 억제로만 극복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탄수화물 중독과 항상성 등 인체의 복잡한 생리적 및 심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2. 영상

(1) >=25 과체, >=30 비만. 단 아시아는 >=23 과체중, >=25 비만이다.
(2) 흔히 인바디라고 부르는 것.
(3) 이 경우 BMI가 정상이나 저체중이라도 중성지방 등이 과다하면 복부비만 등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