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5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어나니머스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구스위키]] [[외부:https://pbs.twimg.com/profile_images/1808365058210340864/_LqAfNrF_400x400.jpg|width=300]] {{{-1 어나니머스의 일반적인 표식이다. 이 "머리없는 사람"은 단체에 리더가 없다는 것과 단체의 익명성을 상징한다.}}} Anonymous >Knowledge is free. >We are anonymous. We are legion. We do not forgive. We do not forget. Expect us. >지식은 자유롭다. >우리는 이름이 없다. 우리는 군단이다. 우리는 용서하지 않는다. 우리는 잊지 않는다. 우리를 맞이하라. 온라인에서 익명으로 활동하는 다국적 해커 그룹이자 사회 운동 단체. 이름 그대로 익명을 표방하며, 공식적인 조직이나 리더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특정 이념이나 사건에 동의하는 누구나 어논(Anon)이라 칭해지는 일원이 될 수 있으며, 해킹 능력이 있다면 핵티비즘으로 활동에 참여한다. 이들은 정보의 자유와 아나키즘에 가까운 사상을 표방하면서 다양한 사이버 공격과 활동을 진행하며 주로 정부, 대기업, 또는 부패한 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저항 운동을 벌인다. 사이버 자경단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상징적인 이미지로는 가이 포크스 마스크가 있는데, 이는 2005년 영화 브이 포 벤데타에서 유래한 것으로 익명성과 반권위주의적인 메시지를 상징한다. == 역사 == 2003년 4chan의 /b/ 게시판에서 처음 등장했다. 단체명인 Anonymous도 게시판의 닉네임 기본값, Anonymous=익명에서 유래하였다. 처음에는 특별한 목표 없이 단순히 무정부적인 놀이로 시작했고 We are Anonymous도 드립에 가까웠기에 언어유희로 시작된 집단이자 인터넷 밈에 가까웠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유행했던 코XX[* 코찰청, 코터폴 등 코+정보/수사기관 명칭들]의 미국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준급 해킹 실력을 보유한 사람들의 참전과 나름의 사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합쳐지며 사이버 공격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주요 활동은 디도스(DDos) 공격, 정보 유출, 해킹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자신들의 목표에 맞는 사건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활동을 벌였다. == 사건 == * Project Chanology 사이언톨로지교에서 자신들의 홍보 영상에 대해 [[유튜브]]에 삭제 요구를 한 것을 인터넷 검로 규정하고 사이버 공격과 오프라인 시위를 했던 사건. * Operation Payback 2010년 토렌트 사이트에 대한 Ddos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인터넷 불법 복제에 반대하는 이들에 대한 조직적 공격을 했던 사건. 여기에서 이어져 위키리크스에 대한 압박에 대항 카드사 등에 대한 공격도 행해졌다. * Arab Spring 2011년 아랍의 봄에 인터넷 차단 시스템 공격과 정보 확산 도움에 일조했다. * Operation Free Korea 2013년 북한의 웹사이트를 해킹 및 공격하였다. * Black Lives Matter Black Lives Matter를 지지하며 경찰 사이트를 해킹하는 등의 행동을 했다. == 영상 == [youtube(GptTU8ApQcQ)] [Include(틀:가져옴,O=구스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50329223017/http://gooswiki.com:80/index.php?title=%EC%96%B4%EB%82%98%EB%8B%88%EB%A8%B8%EC%8A%A4|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구스위키]] [[외부:https://pbs.twimg.com/profile_images/1808365058210340864/_LqAfNrF_400x400.jpg|width=300]] {{{-1 어나니머스의 일반적인 표식이다. 이 "머리없는 사람"은 단체에 리더가 없다는 것과 단체의 익명성을 상징한다.}}} Anonymous >Knowledge is free. >We are anonymous. We are legion. We do not forgive. We do not forget. Expect us. >지식은 자유롭다. >우리는 이름이 없다. 우리는 군단이다. 우리는 용서하지 않는다. 우리는 잊지 않는다. 우리를 맞이하라. 온라인에서 익명으로 활동하는 다국적 해커 그룹이자 사회 운동 단체. 이름 그대로 익명을 표방하며, 공식적인 조직이나 리더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특정 이념이나 사건에 동의하는 누구나 어논(Anon)이라 칭해지는 일원이 될 수 있으며, 해킹 능력이 있다면 핵티비즘으로 활동에 참여한다. 이들은 정보의 자유와 아나키즘에 가까운 사상을 표방하면서 다양한 사이버 공격과 활동을 진행하며 주로 정부, 대기업, 또는 부패한 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저항 운동을 벌인다. 사이버 자경단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상징적인 이미지로는 가이 포크스 마스크가 있는데, 이는 2005년 영화 브이 포 벤데타에서 유래한 것으로 익명성과 반권위주의적인 메시지를 상징한다. == 역사 == 2003년 4chan의 /b/ 게시판에서 처음 등장했다. 단체명인 Anonymous도 게시판의 닉네임 기본값, Anonymous=익명에서 유래하였다. 처음에는 특별한 목표 없이 단순히 무정부적인 놀이로 시작했고 We are Anonymous도 드립에 가까웠기에 언어유희로 시작된 집단이자 인터넷 밈에 가까웠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유행했던 코XX[* 코찰청, 코터폴 등 코+정보/수사기관 명칭들]의 미국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준급 해킹 실력을 보유한 사람들의 참전과 나름의 사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합쳐지며 사이버 공격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주요 활동은 디도스(DDos) 공격, 정보 유출, 해킹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자신들의 목표에 맞는 사건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활동을 벌였다. == 사건 == * Project Chanology 사이언톨로지교에서 자신들의 홍보 영상에 대해 [[유튜브]]에 삭제 요구를 한 것을 인터넷 검로 규정하고 사이버 공격과 오프라인 시위를 했던 사건. * Operation Payback 2010년 토렌트 사이트에 대한 Ddos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인터넷 불법 복제에 반대하는 이들에 대한 조직적 공격을 했던 사건. 여기에서 이어져 위키리크스에 대한 압박에 대항 카드사 등에 대한 공격도 행해졌다. * Arab Spring 2011년 아랍의 봄에 인터넷 차단 시스템 공격과 정보 확산 도움에 일조했다. * Operation Free Korea 2013년 북한의 웹사이트를 해킹 및 공격하였다. * Black Lives Matter Black Lives Matter를 지지하며 경찰 사이트를 해킹하는 등의 행동을 했다. == 영상 == [youtube(GptTU8ApQcQ)] [Include(틀:가져옴,O=구스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50329223017/http://gooswiki.com:80/index.php?title=%EC%96%B4%EB%82%98%EB%8B%88%EB%A8%B8%EC%8A%A4|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