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구스위키

어나니머스의 일반적인 표식이다. 이 "머리없는 사람"은 단체에 리더가 없다는 것과 단체의 익명성을 상징한다.
Anonymous
Knowledge is free.
We are anonymous. We are legion. We do not forgive. We do not forget. Expect us.
지식은 자유롭다.
우리는 이름이 없다. 우리는 군단이다. 우리는 용서하지 않는다. 우리는 잊지 않는다. 우리를 맞이하라.
온라인에서 익명으로 활동하는 다국적 해커 그룹이자 사회 운동 단체. 이름 그대로 익명을 표방하며, 공식적인 조직이나 리더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특정 이념이나 사건에 동의하는 누구나 어논(Anon)이라 칭해지는 일원이 될 수 있으며, 해킹 능력이 있다면 핵티비즘으로 활동에 참여한다.
이들은 정보의 자유와 아나키즘에 가까운 사상을 표방하면서 다양한 사이버 공격과 활동을 진행하며 주로 정부, 대기업, 또는 부패한 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저항 운동을 벌인다. 사이버 자경단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상징적인 이미지로는 가이 포크스 마스크가 있는데, 이는 2005년 영화 브이 포 벤데타에서 유래한 것으로 익명성과 반권위주의적인 메시지를 상징한다.
1. 역사 ✎ ⊖
2003년 4chan의 /b/ 게시판에서 처음 등장했다. 단체명인 Anonymous도 게시판의 닉네임 기본값, Anonymous=익명에서 유래하였다. 처음에는 특별한 목표 없이 단순히 무정부적인 놀이로 시작했고 We are Anonymous도 드립에 가까웠기에 언어유희로 시작된 집단이자 인터넷 밈에 가까웠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유행했던 코XX(1)의 미국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준급 해킹 실력을 보유한 사람들의 참전과 나름의 사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합쳐지며 사이버 공격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주요 활동은 디도스(DDos) 공격, 정보 유출, 해킹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자신들의 목표에 맞는 사건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활동을 벌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준급 해킹 실력을 보유한 사람들의 참전과 나름의 사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합쳐지며 사이버 공격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시작했다. 주요 활동은 디도스(DDos) 공격, 정보 유출, 해킹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자신들의 목표에 맞는 사건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활동을 벌였다.
2. 사건 ✎ ⊖
- Project Chanology
- Operation Payback
- Arab Spring
- Operation Free Korea
- Black Lives Mat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