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9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6:01:15] 목이케이
[16:01:13] 롯데리아 갤러리
[15:32:31] 孝
[15:15:42] 효도
[21:33:05] 논리적 오류
[18:47:59] 논리적 오류
[00:47:19] 마쓰춘
[00:47:13] 유덕화
[00:47:00] 이위당관
[00:46:47] 해양경찰 마이너 갤러리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진보주의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진보위키]] 進步主義 / Progressivism 기존 정치·경제·사회 체제에 대항하면서 변혁을 통해 개혁적으로 바꾸려는 성향, 사회태도를 말한다. 기존 사회체제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보수주의]]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으나 진보는 시대적ㆍ역사적 배경에 따라 상대성을 띠는 개념이다. 진보로 분류할 수 있는 여러 사상이나 정치 집단이 있으며, 그 스펙트럼도 다양하다. 그렇기에 보수주의와는 전혀 별개의 개념이나 보수주의는 기본적으로 철학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진보주의와는 갭이 매우 크다. 2010년대에는 진보주의를 자칭하거나, 주류 정치/언론 등지에서 진보주의라고 불리는 세력이라 하면 보통 좌파 전체를 의미한다기 보다는 세계화와 다원주의를 지지하는 [[자유주의|리버럴]] 세력을 의미하는 바가 크다. 그렇기 때문에 외려 좌익들보다는 유럽의 중도성향 리버럴들이 기존 중도좌파, 중도우파를 기성세력이라 부르고 극우나 극좌는 반동 혹은 퇴보라고 부르며 진보주의를 자처하고 있다. 전통적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자나 사회주의자, 극좌 트로츠키주의자도 진보주의를 자처하기도 하나 리버럴들이 더 많이 사용한다. 진보주의가 곧 모두 좌익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개혁이나 실용성, 평등, 관용, 빠르게 발전한다는 등의 여러가지 개념을 축소시킨 것에 가까우며, 진보를 좌익과 동일시 하는 지역은 주로 [[한국]]과 [[미국]]이다. 다만 진보주의는 정치적으로나 철학적으로 보수주의처럼 완벽히 정의가 불가능해서 중도 리버럴도 좌익 ~ 극좌세력도 사전적 의미의 진보주의에 속할 수 있다. 즉 진보주의라고 해도 어떤 부분에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ex. 세계화냐 평등이냐, 소수자냐 계급이냐, 문화냐 경제 중 어느 부분에 더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신좌파에 영향받은 현대적) 좌파자유주의와 사회주의가 갈린다. 서구 언론등에서 재정보수주의자인 마크롱이나 오바마 등이 진보주의자라고 묘사하는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다.[* 버락 오바마는 민주당내 당파세력인 New Democrat Coalition에 속해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문화적 좌파+사회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적인 종합적으로는 중도~중도좌파적 입장을 취한다. 마크롱은 한술 더 떠서 경제적으론 제정보수주의보다 더 우익적인 경제적 자유주의를 추구하는 중도 정치인이다. 허나 둘은 사회문화적으로는 좌파이며, 세계화를 추구한다.] == 영상 == [youtube(FaekDdu9GpA)] [Include(틀:가져옴2, O=진보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CC BY-NC-SA 3.0]])]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진보위키]] 進步主義 / Progressivism 기존 정치·경제·사회 체제에 대항하면서 변혁을 통해 개혁적으로 바꾸려는 성향, 사회태도를 말한다. 기존 사회체제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보수주의]]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으나 진보는 시대적ㆍ역사적 배경에 따라 상대성을 띠는 개념이다. 진보로 분류할 수 있는 여러 사상이나 정치 집단이 있으며, 그 스펙트럼도 다양하다. 그렇기에 보수주의와는 전혀 별개의 개념이나 보수주의는 기본적으로 철학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진보주의와는 갭이 매우 크다. 2010년대에는 진보주의를 자칭하거나, 주류 정치/언론 등지에서 진보주의라고 불리는 세력이라 하면 보통 좌파 전체를 의미한다기 보다는 세계화와 다원주의를 지지하는 [[자유주의|리버럴]] 세력을 의미하는 바가 크다. 그렇기 때문에 외려 좌익들보다는 유럽의 중도성향 리버럴들이 기존 중도좌파, 중도우파를 기성세력이라 부르고 극우나 극좌는 반동 혹은 퇴보라고 부르며 진보주의를 자처하고 있다. 전통적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자나 사회주의자, 극좌 트로츠키주의자도 진보주의를 자처하기도 하나 리버럴들이 더 많이 사용한다. 진보주의가 곧 모두 좌익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개혁이나 실용성, 평등, 관용, 빠르게 발전한다는 등의 여러가지 개념을 축소시킨 것에 가까우며, 진보를 좌익과 동일시 하는 지역은 주로 [[한국]]과 [[미국]]이다. 다만 진보주의는 정치적으로나 철학적으로 보수주의처럼 완벽히 정의가 불가능해서 중도 리버럴도 좌익 ~ 극좌세력도 사전적 의미의 진보주의에 속할 수 있다. 즉 진보주의라고 해도 어떤 부분에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ex. 세계화냐 평등이냐, 소수자냐 계급이냐, 문화냐 경제 중 어느 부분에 더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신좌파에 영향받은 현대적) 좌파자유주의와 사회주의가 갈린다. 서구 언론등에서 재정보수주의자인 마크롱이나 오바마 등이 진보주의자라고 묘사하는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다.[* 버락 오바마는 민주당내 당파세력인 New Democrat Coalition에 속해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문화적 좌파+사회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적인 종합적으로는 중도~중도좌파적 입장을 취한다. 마크롱은 한술 더 떠서 경제적으론 제정보수주의보다 더 우익적인 경제적 자유주의를 추구하는 중도 정치인이다. 허나 둘은 사회문화적으로는 좌파이며, 세계화를 추구한다.] == 영상 == [youtube(FaekDdu9GpA)] [Include(틀:가져옴2, O=진보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CC BY-NC-SA 3.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