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62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채미가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采薇歌 고사리(薇)를 캐는(采) 노래(歌)라는 뜻으로, 사기의 [[백이]]열전(史记·伯夷列传)편에 수록되어 있다. 다만 시 자체는 누가 지었는지 알려진 바 없다.[* 백이와 숙제가 지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문헌적 근거가 없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2&aid=0002112236|#]]] == 원문 == >登彼西山兮,采其薇矣。 >以暴易暴兮,不知其非矣。 >神農虞夏,忽焉沒兮,吾適安歸矣? >籲嗟徂兮,命之衰矣。 >---- >저 서산[* 수양산을 뜻하며, 뇌수산이라고도 한다.]에 올라, 고사리를 캔다. >포악함으로 포악함을 바꾸면서도, 잘못을 알지 못한다. >신농과 우, 하[* 각각 우순과 하우를 말한다.]는 어느새 없어졌으니, 우리는 어디로 돌아갈건가 >아, 탄식하노라, 팔자가 쇠했구나 == 트리비아 == 동명의 유명 한정식 식당이 [[서울]]에 있다. == 영상 == [youtube(OvVEKCHmTFM)]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采薇歌 고사리(薇)를 캐는(采) 노래(歌)라는 뜻으로, 사기의 [[백이]]열전(史记·伯夷列传)편에 수록되어 있다. 다만 시 자체는 누가 지었는지 알려진 바 없다.[* 백이와 숙제가 지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문헌적 근거가 없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2&aid=0002112236|#]]] == 원문 == >登彼西山兮,采其薇矣。 >以暴易暴兮,不知其非矣。 >神農虞夏,忽焉沒兮,吾適安歸矣? >籲嗟徂兮,命之衰矣。 >---- >저 서산[* 수양산을 뜻하며, 뇌수산이라고도 한다.]에 올라, 고사리를 캔다. >포악함으로 포악함을 바꾸면서도, 잘못을 알지 못한다. >신농과 우, 하[* 각각 우순과 하우를 말한다.]는 어느새 없어졌으니, 우리는 어디로 돌아갈건가 >아, 탄식하노라, 팔자가 쇠했구나 == 트리비아 == 동명의 유명 한정식 식당이 [[서울]]에 있다. == 영상 == [youtube(OvVEKCHmTFM)]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