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체스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외부:https://i.imgur.com/tTH96SN.jpeg|width=400]] chess 서양의 보드게임. 가로 8줄, 세로 8줄로 이루어진 64칸의 판 위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기물을 움직여, 상대방의 킹을 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 장기로도 불리며,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전략 게임 중 하나이다. == 역사 == 체스의 직접적인 기원은 6세기경 고대 인도에서 즐겼던 차투랑가(Chaturanga)라는 게임으로 본다. 이 게임이 페르시아를 거쳐 아랍 세계로 전파되면서 샤트란지(Shatranj)로 발전했고, 이후 유럽으로 넘어가 15세기경 현재와 거의 같은 규칙[* 퀸과 비숍의 강력한 행마법, 폰의 첫 수 두 칸 이동 등]을 갖춘 현대 체스로 완성되었다. == 규칙 == 체스의 승리 조건은 상대방의 킹을 체크메이트시키는 것이다. * 체크: 자신의 기물로 상대방의 킹을 직접 공격하여, 다음 수에 잡힐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 [* 관습적으로 '체크'라고 불러주지만, 공식 대회에서는 굳이 말로 선언하지 않는다.] * 체크메이트: 체크 상태에 놓인 킹이 아래의 세 가지 방법으로도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태. 이 경우, 게임은 즉시 선언한 쪽의 승리로 끝난다. * 킹이 공격받지 않는 다른 칸으로 피할 수 없을 때 * 공격하는 상대 기물을 다른 기물로 잡을 수 없을 때 * 킹과 공격하는 기물 사이를 다른 기물로 막을 수 없을 때 어느 한 대국자가 체크 상태가 아닌데도 움직일 수 있는 말이 없으면 무승부 처리 된다. 이걸 스테일메이트라고 칭한다. 그 외에도 기물 부족(양측 모두 체크메이트 가능한 최소한 기물이 없음), 50수 규칙 등 체크메이트가 불가능한 조건일 경우 무승부가 된다. ---- * 프로모션: 폰이 상대방 진영의 맨 끝 칸(1행 또는 8행)까지 도달하면, 킹을 제외한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원하는 기물 하나로 즉시 승급한다. 대부분 가장 강력한 퀸으로 승급시킨다. * 캐슬링: 킹과 룩을 한 번에 같이 움직이는 특수한 수. 킹을 안전한 곳으로 피신시키고, 구석의 룩을 중앙으로 빠르게 전개하는 효과가 있다. * 앙파상: 상대 폰이 처음 움직일 때 두 칸 전진하여 자신의 폰 옆을 지나칠 경우, 마치 한 칸만 움직인 것처럼 그 폰을 잡을 수 있는 특별한 규칙이다. == 기물 설명 == === 폰 === 앞으로 한 칸 갈 수 있으며, 말을 잡을 때는 앞쪽 대각선으로 잡을 수 있다. 자기 쪽 둘째 줄에서는 두 칸 전진할 수 있다.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쭉 가면 킹을 제외한 다른 말로 승격이 가능하다. === 나이트 === 수직으로 2칸 이동 후 꺾어서 1칸 갈 수 있다. 다른 말을 통과하고 갈 수 있다. 폰 세 개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비숍 === 대각선으로 막히지 않는 한 맘껏 갈 수 있다. 나이트와 동급의 말로 평가받는다. === 룩 === 수직으로 막히지 않는 한 맘껏 갈 수 있다. 폰 다섯 개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퀸 === 8방향으로 막히지 않는 한 맘껏 갈 수 있다. 즉 룩+비숍. 비숍 3개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킹 === 8방향으로 한 칸씩 갈 수 있다. 이 말을 잃으면 패배한다. 상대의 킹을 공격하면 '체크'라고 말해야 한다. == 영상 == [youtube(xjELAcrxAaY)]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외부:https://i.imgur.com/tTH96SN.jpeg|width=400]] chess 서양의 보드게임. 가로 8줄, 세로 8줄로 이루어진 64칸의 판 위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기물을 움직여, 상대방의 킹을 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양 장기로도 불리며,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전략 게임 중 하나이다. == 역사 == 체스의 직접적인 기원은 6세기경 고대 인도에서 즐겼던 차투랑가(Chaturanga)라는 게임으로 본다. 이 게임이 페르시아를 거쳐 아랍 세계로 전파되면서 샤트란지(Shatranj)로 발전했고, 이후 유럽으로 넘어가 15세기경 현재와 거의 같은 규칙[* 퀸과 비숍의 강력한 행마법, 폰의 첫 수 두 칸 이동 등]을 갖춘 현대 체스로 완성되었다. == 규칙 == 체스의 승리 조건은 상대방의 킹을 체크메이트시키는 것이다. * 체크: 자신의 기물로 상대방의 킹을 직접 공격하여, 다음 수에 잡힐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 [* 관습적으로 '체크'라고 불러주지만, 공식 대회에서는 굳이 말로 선언하지 않는다.] * 체크메이트: 체크 상태에 놓인 킹이 아래의 세 가지 방법으로도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태. 이 경우, 게임은 즉시 선언한 쪽의 승리로 끝난다. * 킹이 공격받지 않는 다른 칸으로 피할 수 없을 때 * 공격하는 상대 기물을 다른 기물로 잡을 수 없을 때 * 킹과 공격하는 기물 사이를 다른 기물로 막을 수 없을 때 어느 한 대국자가 체크 상태가 아닌데도 움직일 수 있는 말이 없으면 무승부 처리 된다. 이걸 스테일메이트라고 칭한다. 그 외에도 기물 부족(양측 모두 체크메이트 가능한 최소한 기물이 없음), 50수 규칙 등 체크메이트가 불가능한 조건일 경우 무승부가 된다. ---- * 프로모션: 폰이 상대방 진영의 맨 끝 칸(1행 또는 8행)까지 도달하면, 킹을 제외한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원하는 기물 하나로 즉시 승급한다. 대부분 가장 강력한 퀸으로 승급시킨다. * 캐슬링: 킹과 룩을 한 번에 같이 움직이는 특수한 수. 킹을 안전한 곳으로 피신시키고, 구석의 룩을 중앙으로 빠르게 전개하는 효과가 있다. * 앙파상: 상대 폰이 처음 움직일 때 두 칸 전진하여 자신의 폰 옆을 지나칠 경우, 마치 한 칸만 움직인 것처럼 그 폰을 잡을 수 있는 특별한 규칙이다. == 기물 설명 == === 폰 === 앞으로 한 칸 갈 수 있으며, 말을 잡을 때는 앞쪽 대각선으로 잡을 수 있다. 자기 쪽 둘째 줄에서는 두 칸 전진할 수 있다.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쭉 가면 킹을 제외한 다른 말로 승격이 가능하다. === 나이트 === 수직으로 2칸 이동 후 꺾어서 1칸 갈 수 있다. 다른 말을 통과하고 갈 수 있다. 폰 세 개만큼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비숍 === 대각선으로 막히지 않는 한 맘껏 갈 수 있다. 나이트와 동급의 말로 평가받는다. === 룩 === 수직으로 막히지 않는 한 맘껏 갈 수 있다. 폰 다섯 개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퀸 === 8방향으로 막히지 않는 한 맘껏 갈 수 있다. 즉 룩+비숍. 비숍 3개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킹 === 8방향으로 한 칸씩 갈 수 있다. 이 말을 잃으면 패배한다. 상대의 킹을 공격하면 '체크'라고 말해야 한다. == 영상 == [youtube(xjELAcrxAaY)]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