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3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9:03:51] 석두여수
[19:03:49] 초희귀매물 힐러로 살아남...
[20:24:51] 스텔싱
[20:24:32] 김철민
[20:24:22] S.E.S. 갤러리
[00:16:44] MZ세대
[00:16:21] 지싱
[00:16:20] MZ세대
[00:16:18] 헌터들이 집착하는 정신상...
[23:36:50] 장가행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코시 열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Cauchy sequence 수열이 진행될 수록 임의의 원소들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점열이다. == 정의 == === 실수와 복소수에서 === 실수열 (또는 복소수열) [math(\{x_n\}_{n=1}^{\infty})]에 대해, 임의의 양수 [math(\epsilon)]에 대해 양의 정수 [math(N)]이 존재하여 임의의 정수 [math(m,n\ge N)]에 대해 [math(|x_n-x_m|<\epsilon)]이면 [math(\{x_n\}_{n=1}^{\infty})]을 코시 수열이라 한다. === 거리공간에서 === [math((X,d))]를 [[거리공간]]이라 하자. 점열 [math(\{x_n\}_{n=1}^{\infty})]에 대해, 임의의 양수 [math(\epsilon)]에 대해 양의 정수 [math(N)]이 존재하여 임의의 정수 [math(m,n\ge N)]에 대해 [math(d(x_n,x_m)<\epsilon)]이면 [math(\{x_n\}_{n=1}^{\infty})]을 코시 열이라 한다. == 완비성 == 거리공간 [math((X,d))]에서 임의의 [math(X)]의 코시 열이 [math(X)] 위의 점으로 수렴하면 [math((X,d))]를 완비거리공간이라고 한다. 완비거리공간에서 임의의 코시 열은 수렴한다. === 예시 === * [math(\mathbb{R})], [math(\mathbb{C})]는 완비거리공간이다. * [math(\mathbb{Q})]는 완비거리공간이 아니다. == 참고문헌 == * Croom, Fred H (1989). ''Principles of Topology''. Singapore: Thomson. ISBN 9812432884 == 영상 == [youtube(m0g4qpdCkfE)]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분류:가져온 문서/오메가]] Cauchy sequence 수열이 진행될 수록 임의의 원소들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점열이다. == 정의 == === 실수와 복소수에서 === 실수열 (또는 복소수열) [math(\{x_n\}_{n=1}^{\infty})]에 대해, 임의의 양수 [math(\epsilon)]에 대해 양의 정수 [math(N)]이 존재하여 임의의 정수 [math(m,n\ge N)]에 대해 [math(|x_n-x_m|<\epsilon)]이면 [math(\{x_n\}_{n=1}^{\infty})]을 코시 수열이라 한다. === 거리공간에서 === [math((X,d))]를 [[거리공간]]이라 하자. 점열 [math(\{x_n\}_{n=1}^{\infty})]에 대해, 임의의 양수 [math(\epsilon)]에 대해 양의 정수 [math(N)]이 존재하여 임의의 정수 [math(m,n\ge N)]에 대해 [math(d(x_n,x_m)<\epsilon)]이면 [math(\{x_n\}_{n=1}^{\infty})]을 코시 열이라 한다. == 완비성 == 거리공간 [math((X,d))]에서 임의의 [math(X)]의 코시 열이 [math(X)] 위의 점으로 수렴하면 [math((X,d))]를 완비거리공간이라고 한다. 완비거리공간에서 임의의 코시 열은 수렴한다. === 예시 === * [math(\mathbb{R})], [math(\mathbb{C})]는 완비거리공간이다. * [math(\mathbb{Q})]는 완비거리공간이 아니다. == 참고문헌 == * Croom, Fred H (1989). ''Principles of Topology''. Singapore: Thomson. ISBN 9812432884 == 영상 == [youtube(m0g4qpdCkfE)] [Include(틀:가져옴2,O=오메가,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