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81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혼전순결
(편집)
(불러오기)
(편집 필터 규칙)
婚前純潔 / premarital chastity 결혼하기 전까지 성관계를 맺지 않고 순결을 지키는 것. 처녀성과 연계되어 일반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이 다짐하거나 강요되는 것이 많다. == 이유 ==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남성의 입장에선 처녀성에 대한 가치부여 또는 자신이 지켜왔음[* 실제론 못했거나 그러지 않았더라도(…)]에도 여성이 그러지 않았다면, 여성의 입장에선 자신 이전에 다른 여성을 사랑하고 성적 관계를 가졌다는 사실이 부정적임에서 서로의 혼전순결을 원하게 된다. 물론 종교적인 측면도 있으며, 원칙을 세운 후 나이가 들수록 더욱 완고해지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끝까지 지켜지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 지키기 == 혼전순결을 지키지 못한 것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보통 남성의 설득에 의한 여성의 포기가 많다. 이후 나쁜 결말로 설득한 남성과 이별할 경우, 양측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감정적 충돌의 야기를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일부 종교에서 여성의 정조만큼 남성의 정숙함을 강조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현대에는 생물학적 아버지를 의학과 피임을 통해 파악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기에, 자신의 자식임을 확인하기 위해 순결이 좋은 판별법이 되었다. 조혼에 가까울 정도로 결혼 나이가 어렸던 것도 있다. == 트리비아 == 현대에도 이슬람 국가와 같은 곳에선 혼전순결을 지키지 않으면 명예살인이 이뤄질 정도로 중요하게 취급받는다. [[일본]]에서는 왠지 3D가 아닌 2D에서 히로인의 순결을 따진다. 이른바 [[inter:나무위키:비처녀 논란]]이라 불리며, 심기체 이론 같은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지키면 좋지만 지키기 어려운 정도의 관점으로 보며, [[한국]]에서는 2000년대만 해도 중시되었으나 현대에는 종교적 문제를 제외하면 보기 드물게 되었다. == 영상 == [youtube(J6MN_wORA5E)]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婚前純潔 / premarital chastity 결혼하기 전까지 성관계를 맺지 않고 순결을 지키는 것. 처녀성과 연계되어 일반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이 다짐하거나 강요되는 것이 많다. == 이유 ==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남성의 입장에선 처녀성에 대한 가치부여 또는 자신이 지켜왔음[* 실제론 못했거나 그러지 않았더라도(…)]에도 여성이 그러지 않았다면, 여성의 입장에선 자신 이전에 다른 여성을 사랑하고 성적 관계를 가졌다는 사실이 부정적임에서 서로의 혼전순결을 원하게 된다. 물론 종교적인 측면도 있으며, 원칙을 세운 후 나이가 들수록 더욱 완고해지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끝까지 지켜지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 지키기 == 혼전순결을 지키지 못한 것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보통 남성의 설득에 의한 여성의 포기가 많다. 이후 나쁜 결말로 설득한 남성과 이별할 경우, 양측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감정적 충돌의 야기를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일부 종교에서 여성의 정조만큼 남성의 정숙함을 강조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현대에는 생물학적 아버지를 의학과 피임을 통해 파악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기에, 자신의 자식임을 확인하기 위해 순결이 좋은 판별법이 되었다. 조혼에 가까울 정도로 결혼 나이가 어렸던 것도 있다. == 트리비아 == 현대에도 이슬람 국가와 같은 곳에선 혼전순결을 지키지 않으면 명예살인이 이뤄질 정도로 중요하게 취급받는다. [[일본]]에서는 왠지 3D가 아닌 2D에서 히로인의 순결을 따진다. 이른바 [[inter:나무위키:비처녀 논란]]이라 불리며, 심기체 이론 같은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지키면 좋지만 지키기 어려운 정도의 관점으로 보며, [[한국]]에서는 2000년대만 해도 중시되었으나 현대에는 종교적 문제를 제외하면 보기 드물게 되었다. == 영상 == [youtube(J6MN_wORA5E)]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