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워터가이드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793,inf
== 폐쇄 == 이 웹진의 폐쇄는 한국에서 마이너 문화와 관련된 팬 활동들이 질적 우수함을 갖추면서도 어떻게 그 수준을 지속해갈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 웹진은 2004년 말 내지는 2005년 초엽에 공식적으로 폐쇄 예정 소식을 알렸지만, 실상 폐쇄의 원인이 된 문제 상황 자체는 그보다 훨씬 전부터 있어왔다. 당초 이 웹진을 이끌어가던 두 개의 힘, '기사'와 '이용자층'이 점차 약화되어갔던 것이다. 이중 자유게시판에서 일어났던 분란들과 게시판의 중심이었던 소위 '고수' 이용자들의 이탈 현상은 운영자 입장에서 대응하기 어려웠던 측면이 크다. 오히려 위에서 언급했듯 운영진들의 커뮤니티 운영 정책 자체는 굉장히 이례적이고도 모범적인 편이었다. 그러나 2004년 중반기부터 특히 두드러졌던 기사 수급 부족 현상은 이 웹진 자체의 시스템적 문제에서 비롯된 문제였다고 볼 수 있다. 팬들에 의해 운영되는 웹진들은 대부분 별다른 수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필진들에 대해서도 '사명감'에 비롯된 무료 봉사를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초반에야 어떻게 버텨나간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 필진들이 '생계' 등 팬 활동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면 더이상의 활동을 요구하지 못하게 된다. 웹진들이 필진들에게 꼭 금전적인 대가를 지불하진 않더라도 그외의 무형의 보상(양질의 정보를 제공했다는 것에 대한 만족감 등)을 제공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막거나 늦출 수 있지만, 거기에 성공하는 팬 잡지는 많지 않다. 후기 워터가이드의 기사 부족 현상은 바로 이러한 원인들에 의한 전형적인 위기였다. 필진들이 기사 작성에 대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사를 쓴다는 사실에 대한 만족감도 느끼기 어려워지는 상황이 점점 심화되었던 것이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워터가이드 내부의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는 '자유게시판'과 '감상/비평란'에서조차 워터가이드의 기사에 관심을 주지 않는 현상이 벌어졌었다. 이로 인해 비롯된 기사 수급 부족 현상은 웹진의 정체성까지 뒤흔들 정도가 되었고 - 워터가이드가 초기의 '판타지 문화 웹진'에서 점차 '판타지 커뮤니티'로 변질되어갔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 결국 그 정도가 심화되자 폐쇄 결정에 이르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아무리 열정적인 사람들로 구성된 팬덤이라 하더라도 그 열정을 특정한 성과로 연결시키지 못하면 결국 오래 가지 못하고 변질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Include(틀:가져옴,O=북시위키, C=[[https://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web.archive.org/web/20131006103812/http://booksea.pe.kr/index.php/%EC%9B%8C%ED%84%B0%EA%B0%80%EC%9D%B4%EB%93%9C|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폐쇄 == 이 웹진의 폐쇄는 한국에서 마이너 문화와 관련된 팬 활동들이 질적 우수함을 갖추면서도 어떻게 그 수준을 지속해갈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 웹진은 2004년 말 내지는 2005년 초엽에 공식적으로 폐쇄 예정 소식을 알렸지만, 실상 폐쇄의 원인이 된 문제 상황 자체는 그보다 훨씬 전부터 있어왔다. 당초 이 웹진을 이끌어가던 두 개의 힘, '기사'와 '이용자층'이 점차 약화되어갔던 것이다. 이중 자유게시판에서 일어났던 분란들과 게시판의 중심이었던 소위 '고수' 이용자들의 이탈 현상은 운영자 입장에서 대응하기 어려웠던 측면이 크다. 오히려 위에서 언급했듯 운영진들의 커뮤니티 운영 정책 자체는 굉장히 이례적이고도 모범적인 편이었다. 그러나 2004년 중반기부터 특히 두드러졌던 기사 수급 부족 현상은 이 웹진 자체의 시스템적 문제에서 비롯된 문제였다고 볼 수 있다. 팬들에 의해 운영되는 웹진들은 대부분 별다른 수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필진들에 대해서도 '사명감'에 비롯된 무료 봉사를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초반에야 어떻게 버텨나간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 필진들이 '생계' 등 팬 활동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면 더이상의 활동을 요구하지 못하게 된다. 웹진들이 필진들에게 꼭 금전적인 대가를 지불하진 않더라도 그외의 무형의 보상(양질의 정보를 제공했다는 것에 대한 만족감 등)을 제공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막거나 늦출 수 있지만, 거기에 성공하는 팬 잡지는 많지 않다. 후기 워터가이드의 기사 부족 현상은 바로 이러한 원인들에 의한 전형적인 위기였다. 필진들이 기사 작성에 대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사를 쓴다는 사실에 대한 만족감도 느끼기 어려워지는 상황이 점점 심화되었던 것이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워터가이드 내부의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는 '자유게시판'과 '감상/비평란'에서조차 워터가이드의 기사에 관심을 주지 않는 현상이 벌어졌었다. 이로 인해 비롯된 기사 수급 부족 현상은 웹진의 정체성까지 뒤흔들 정도가 되었고 - 워터가이드가 초기의 '판타지 문화 웹진'에서 점차 '판타지 커뮤니티'로 변질되어갔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 결국 그 정도가 심화되자 폐쇄 결정에 이르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아무리 열정적인 사람들로 구성된 팬덤이라 하더라도 그 열정을 특정한 성과로 연결시키지 못하면 결국 오래 가지 못하고 변질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Include(틀:가져옴,O=북시위키, C=[[https://www.gnu.org/licenses/fdl-1.3.html|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 L=[[http://web.archive.org/web/20131006103812/http://booksea.pe.kr/index.php/%EC%9B%8C%ED%84%B0%EA%B0%80%EC%9D%B4%EB%93%9C|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