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5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02:26:44] 잡썰일지
[02:26:31] 잡썰일지/2023-202...
[21:34:17] 운영일지
[16:20:27] 운영일지
[14:13:01] SCP-1169
[22:34:41] SCP-1168
[22:34:02] 완미적타 : 완벽한 그녀
[22:33:40] 종규전설
[22:33:21] 제광박
[22:32:33] 마오빙창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하이쿠OS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521,1654
== 역사 == BeOS를 만들던 Be사는 경영악화로 2001년 Palm사에 인수합병되었는데, 이후 Palm 측은 BeOS 개발을 중단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많은 사용자를 거느린 운영체제는 아니었으나 빠른 속도와 간결한 인터페이스로 매니악한 유저층을 거느리고 있던 BeOS는 여러 형태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개설되어 개발이 진행되었다. 그 중 현재 살아남은 것은 OpenBeOS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개발 중 프로젝트 명이 변경되어 ‘하이쿠’라는 이름의 운영체제로 완성이 되어가고 있다. BeOS 개발 중단 직후 오픈소스 진영에서 일어난 BeOS의 후속 프로젝트는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Cosmoe와 Blue Eyed OS 프로젝트는 이미 안정화를 걷고있는 리눅스나 BSD 커널을 기반으로 BeOS의 API를 재구성하여 리눅스나 BSD의 커널 위에서 BeOS를 끌어안으려고 했으나, OpenBeOS 프로젝트는 운영체제의 바닥부터 전부 새롭게 작성하려고 했으며, 이 계획은 현재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러 기존의 BeOS에서 사용하던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파일(바이너리) 단계에서 호환이 된다. 2004년 OpenBeOS 프로젝트는 Palm 측에서 상표권 문제 여지를 제기함에 따라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이름을 공모하였고, 공모 결과로 현재의 프로젝트 명칭인 하이쿠를 새 이름으로 정했다. 일본 고유의 시 형식인 하이쿠처럼 BeOS의 우아함과 단순함을 그대로 계승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2009년 9월부터 불안정버전인 ‘R1 알파1’ 버전을 배포하였으며, 2011년 6월 20일 알파3 버전에서는 안정화가 상당히 이루어져 후원금 지원자에게는 디스크 배포를 진행하는 등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따로 디스크를 구매하지 않아도 인터넷에서 Anyboot이나 ISO 포맷으로 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으며, VMware용의 이미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서 가상PC에 설치해볼 수 있다. 또한 가상머신 이미지 외의 설치용 이미지에는 라이브 기능이 기본으로 들어있어 실제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디스크로 부팅해서 간단한 라이브 테스트를 실시해볼 수 있다. 현재 이 프로젝트는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비영리 기관인 Haiku Incorportated가 맡고 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역사 == BeOS를 만들던 Be사는 경영악화로 2001년 Palm사에 인수합병되었는데, 이후 Palm 측은 BeOS 개발을 중단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많은 사용자를 거느린 운영체제는 아니었으나 빠른 속도와 간결한 인터페이스로 매니악한 유저층을 거느리고 있던 BeOS는 여러 형태로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개설되어 개발이 진행되었다. 그 중 현재 살아남은 것은 OpenBeOS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개발 중 프로젝트 명이 변경되어 ‘하이쿠’라는 이름의 운영체제로 완성이 되어가고 있다. BeOS 개발 중단 직후 오픈소스 진영에서 일어난 BeOS의 후속 프로젝트는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Cosmoe와 Blue Eyed OS 프로젝트는 이미 안정화를 걷고있는 리눅스나 BSD 커널을 기반으로 BeOS의 API를 재구성하여 리눅스나 BSD의 커널 위에서 BeOS를 끌어안으려고 했으나, OpenBeOS 프로젝트는 운영체제의 바닥부터 전부 새롭게 작성하려고 했으며, 이 계획은 현재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러 기존의 BeOS에서 사용하던 거의 모든 프로그램이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파일(바이너리) 단계에서 호환이 된다. 2004년 OpenBeOS 프로젝트는 Palm 측에서 상표권 문제 여지를 제기함에 따라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이름을 공모하였고, 공모 결과로 현재의 프로젝트 명칭인 하이쿠를 새 이름으로 정했다. 일본 고유의 시 형식인 하이쿠처럼 BeOS의 우아함과 단순함을 그대로 계승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2009년 9월부터 불안정버전인 ‘R1 알파1’ 버전을 배포하였으며, 2011년 6월 20일 알파3 버전에서는 안정화가 상당히 이루어져 후원금 지원자에게는 디스크 배포를 진행하는 등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따로 디스크를 구매하지 않아도 인터넷에서 Anyboot이나 ISO 포맷으로 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으며, VMware용의 이미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서 가상PC에 설치해볼 수 있다. 또한 가상머신 이미지 외의 설치용 이미지에는 라이브 기능이 기본으로 들어있어 실제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디스크로 부팅해서 간단한 라이브 테스트를 실시해볼 수 있다. 현재 이 프로젝트는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비영리 기관인 Haiku Incorportated가 맡고 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