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SG-1000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945,2226
== 상세 == 세가 SG-1000은 아케이드 시장에서 큰 힘을 발휘하던 세가 (SEGA)에서 아타리를 비롯한 가정용 게임기의 흥행에 대응해서 제작한 게임기이다. 기본적인 생김새 등은 세가의 디자인 풍미를 더한 아타리2600같은 느낌으로, 롬 카트리지 슬롯이나 컨트롤러 등도 아타리의 그것을 그대로 따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SG-1000의 앞머리인 SG는 ‘SEGA GAME’의 약자로서, 세가의 초기 게임기들이 모두 그렇듯 오직 세가 게임만 나오는 세가만의 게임기였다. 발매 초기 모델과 후기 모델이 존재하는데, 본체의 라벨 색상이 초기 모델은 검정색, 후기 모델은 파란색으로 이뤄져있다. 우측 대표 사진이 후기 모델. SG-1000는 앞서 말했듯 아타리의 그것과 유사한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즉 길다란 조이스틱에 스틱 받침에 버튼이 두 개 장착되어있는 형태이다. 1P 컨트롤러가 본체에 고정되어있는 형태로 이뤄져 있는 것이 특징인데, 2P 컨트롤러는 슬롯에 꼽고 뽑을 수 있는 탈착식이다. 이 때문에 후속기종인 SC-1000II과의 호환성을 위해 세가에서 별도 서비스로 확장 케이블 킷(JC-100)을 매장에서 장착해주는 개조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 서비스를 통해 1P 컨트롤러를 제거하고 소켓이 달린 케이블을 연결하면 SC-1000II의 컨트롤러를 연결해 사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시기에 다른 유사 장비들이 다들 그러하듯 키보드가 장비된 SC-3000또한 선보였는데, 이 제품은 SC-1000과는 키보드 유무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는 완전 호환기종이다. 특히 SG-1000은 당시 발매된 MSX 등과 거의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1,5000엔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선보였고, 세가의 게임 개발능력이 더해져 적지 않은 판매량을 보여 세가가 계속해서 게임기를 만들어나가는 원동력을 제공한 기종이다. 비록 1위는 되지 못했으나 자체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후속기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게 된다. 일본 외에도 호주, 뉴질랜드, 대만 및 일부 유럽 국가(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도 발매되었으나, 주력 시장은 일본이었다. 3세대의 최대 히트 게임기인 닌텐도 패밀리 컴퓨터와 같은해 같은날에 발매되었으며, 패밀리에 비해서 CPU 속도는 빠르지만 메모리와 그래픽 처리 능력면에서 떨어지는 점이 발목을 잡았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3세대의 거치형 게임기가 모두 그러했듯 컨트롤러의 범용성, 조작성 면에서 패밀리에게 압도적으로 밀렸기 때문. 이 때부터 닌텐도와의 숙명의 대결 구도를 세우며 기나긴 대립의 길을 걷기 시작하게 된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상세 == 세가 SG-1000은 아케이드 시장에서 큰 힘을 발휘하던 세가 (SEGA)에서 아타리를 비롯한 가정용 게임기의 흥행에 대응해서 제작한 게임기이다. 기본적인 생김새 등은 세가의 디자인 풍미를 더한 아타리2600같은 느낌으로, 롬 카트리지 슬롯이나 컨트롤러 등도 아타리의 그것을 그대로 따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SG-1000의 앞머리인 SG는 ‘SEGA GAME’의 약자로서, 세가의 초기 게임기들이 모두 그렇듯 오직 세가 게임만 나오는 세가만의 게임기였다. 발매 초기 모델과 후기 모델이 존재하는데, 본체의 라벨 색상이 초기 모델은 검정색, 후기 모델은 파란색으로 이뤄져있다. 우측 대표 사진이 후기 모델. SG-1000는 앞서 말했듯 아타리의 그것과 유사한 컨트롤러를 장착하고 있다. 즉 길다란 조이스틱에 스틱 받침에 버튼이 두 개 장착되어있는 형태이다. 1P 컨트롤러가 본체에 고정되어있는 형태로 이뤄져 있는 것이 특징인데, 2P 컨트롤러는 슬롯에 꼽고 뽑을 수 있는 탈착식이다. 이 때문에 후속기종인 SC-1000II과의 호환성을 위해 세가에서 별도 서비스로 확장 케이블 킷(JC-100)을 매장에서 장착해주는 개조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 서비스를 통해 1P 컨트롤러를 제거하고 소켓이 달린 케이블을 연결하면 SC-1000II의 컨트롤러를 연결해 사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시기에 다른 유사 장비들이 다들 그러하듯 키보드가 장비된 SC-3000또한 선보였는데, 이 제품은 SC-1000과는 키보드 유무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는 완전 호환기종이다. 특히 SG-1000은 당시 발매된 MSX 등과 거의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1,5000엔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선보였고, 세가의 게임 개발능력이 더해져 적지 않은 판매량을 보여 세가가 계속해서 게임기를 만들어나가는 원동력을 제공한 기종이다. 비록 1위는 되지 못했으나 자체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후속기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게 된다. 일본 외에도 호주, 뉴질랜드, 대만 및 일부 유럽 국가(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도 발매되었으나, 주력 시장은 일본이었다. 3세대의 최대 히트 게임기인 닌텐도 패밀리 컴퓨터와 같은해 같은날에 발매되었으며, 패밀리에 비해서 CPU 속도는 빠르지만 메모리와 그래픽 처리 능력면에서 떨어지는 점이 발목을 잡았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3세대의 거치형 게임기가 모두 그러했듯 컨트롤러의 범용성, 조작성 면에서 패밀리에게 압도적으로 밀렸기 때문. 이 때부터 닌텐도와의 숙명의 대결 구도를 세우며 기나긴 대립의 길을 걷기 시작하게 된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