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1차 리비아 내전
(편집) (10)
(편집 필터 규칙)
11757,12404
== 결과 == 카다피 정권이 붕괴한 후 시민군은 녹색 혁명을 상징하는 기존 국기에서 왕정 시절의 국기로 바꾼다. 새로 들어선 임시정부는 이슬람주의파와 세속주의파 간의 갈등으로 분열됐고 2014년에는 다시 내전이 일어나기도 했다. 카다피 정권이 사라지고 힘의 공백이 생긴 현재 리비아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통합정부의 파예즈 사라지 총리, 리비아 동부 국토를 장악한 할리파 하프타르 군사령관, 동부 도시 토브룩에 소재한 토브룩 정부의 하원 이장 아그라 살레, 트리폴리 내 고등 평의회 의장 칼레드 미슈리 등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다에쉬 등 극단주의 무장단체들은 세력들 간의 갈등을 이용해 2017년 중반까지 시르테(Sirte)를 포함한 여러 해안 도시의 통제권을 얻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도 2009년 기준 1인당 GDP가 $1만 6400에 달하던 리비아는 연속된 내전으로[*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94636|리비아 국민소득, 1만6400달러에 달해]] 2016년 기준 $4035[* 세계은행 기준]까지 추락했다. 풍요로운 복지국가 리비아는 순식간에 전쟁난민이 넘치는 나라가 되어버렸음은 두 말 할 것 없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결과 == 카다피 정권이 붕괴한 후 시민군은 녹색 혁명을 상징하는 기존 국기에서 왕정 시절의 국기로 바꾼다. 새로 들어선 임시정부는 이슬람주의파와 세속주의파 간의 갈등으로 분열됐고 2014년에는 다시 내전이 일어나기도 했다. 카다피 정권이 사라지고 힘의 공백이 생긴 현재 리비아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통합정부의 파예즈 사라지 총리, 리비아 동부 국토를 장악한 할리파 하프타르 군사령관, 동부 도시 토브룩에 소재한 토브룩 정부의 하원 이장 아그라 살레, 트리폴리 내 고등 평의회 의장 칼레드 미슈리 등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다에쉬 등 극단주의 무장단체들은 세력들 간의 갈등을 이용해 2017년 중반까지 시르테(Sirte)를 포함한 여러 해안 도시의 통제권을 얻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도 2009년 기준 1인당 GDP가 $1만 6400에 달하던 리비아는 연속된 내전으로[*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94636|리비아 국민소득, 1만6400달러에 달해]] 2016년 기준 $4035[* 세계은행 기준]까지 추락했다. 풍요로운 복지국가 리비아는 순식간에 전쟁난민이 넘치는 나라가 되어버렸음은 두 말 할 것 없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