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7.11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9:28:28] 용과같이 시리즈 마이너 ...
[16:01:15] 목이케이
[16:01:13] 롯데리아 갤러리
[15:32:31] 孝
[15:15:42] 효도
[21:33:05] 논리적 오류
[18:47:59] 논리적 오류
[00:47:19] 마쓰춘
[00:47:13] 유덕화
[00:47:00] 이위당관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
(편집) (11)
(편집 필터 규칙)
9206,11417
=== 기업 및 단체 === * 아리스+ (아리스플러스) 소재지가 도쿄인 성인용 게임 메이커. <여동생 메이커 EX 시리즈>, <내 여동생 진 여동생 대섬멸 시스칼립스>, <여동생×여동생 ~시스콘 러브스토리~> 등을 제작했고, 여름 코믹에는 기업 부스를 출점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제12화 및 B파트 아이캐치에 등장하는 가공의 게임 디스크는 모두 '아리스+' 제조업체 로고가 새겨져 있다. * 오타쿠 아가씨 모여라~ 사오리 버지나가 주재하는 여성 오타쿠 전용 SNS 커뮤니티. 회원은 총 20명 가량. 기반이 된 SNS는 초대 없이 등록 가능한 제도로 되어 있다. 애니나 게임 이야기를 나눌 상대가 필요했던 키리노의 고민을 해결해 주려고 쿄스케가 (마나미의 조언을 받아) 'SNS에서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을 친구 추가해 봐라' 라고 제안했다. 키리노가 이 커뮤니티를 선택한 것은, 연상의 남자는 거리껴진다는 이유도 있었고, 오프라인 모임을 곧 여는 이 커뮤니티라면 넷카마 행세를 하는 회원도 없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라노베 #1권. (126~127쪽)] 이 커뮤니티의 회원 중, 키리노와 오프에서도 친분이 생긴 것은 사오리와, 쿠로네코로 이 두 명은 쿄스케와도 친구처럼 지내게 된다. * 프리티 가든 아키하바라에 있는 메이드 카페. '오타쿠 아가씨 모여라~'의 제1회 오프라인 모임은 여기서 치러졌다. 종업원들의 메이드복 차림은 짧은 치마로 귀여움을 우선했고, 프렌치 메이드 스타일이며, 손님의 취향에 따라 점원이 어떤 호칭으로 불러줄 수 있는가 선택할 수 있다. 원작에서 쿄스케가 주문한 것은 카레라이스였는데, '수제'라는 명칭과 달리 레토르트 카레였다고. 한편 애니메이션에서는 오므라이를 주문했고, 케찹으로 원하는 문구를 써 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실제 메이드 카페인 '큐어 메이드 카페(Cure maid café)'의 취재협력을 받아 모델로 사용했기 때문에 프리티 가든의 주변 풍경은 큐어 메이드 카페가 위치한 지스토어 아키바 주변의 풍경이었고, 실제로 큐어 메이드 카페에서는 본 작품의 공식 행사로서 원작에 등장하는 메뉴가 기간 한정 판매되었다. 한편 원작에서는 아키하바라 전자상가에서 프리티 가든까지의 구체적인 길과, 건물의 외관이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큐어 메이드 카페와는 위치와 모양이 일치하지 않고, 갖춰진 메뉴도 다르다. * 이터널 블루 (ETERNAL BLUE) 후지마 미사키가 대표이사로 있는 고급 화장품 제조기업으로, 본사는 유럽에 있다. 약칭 이터너(エタナー). 엠블렘은 원작에서는 인어, 애니메이션에서는 세 마리의 돌고래이다. 사오리가 키리노들과 만난지 얼마 되지 않은 무렵, 키리노 앞으로 동인지 택배를 보낼 때, 이 브랜드의 박스가 사용되었다(하지만 결과적으로 키리노의 오해를 만드는 계기가 되고 만다). * 이터널 시스터 미카가미 코우키가 미사키에게서 배당받은 개인 브랜드로, 약칭 'EBS. 코우키가 여름 코믹 참가시에는 동아리 이름으로 사용했다. * 타무라 가게 코우사카네의 이웃집, 타무라네가 꾸리는 과자 가게. * 미디아스키 웍스 신쥬쿠에 있는 출판사. 뇌격 문고라는 문고 레이블과 휴대폰 소설의 서적판 간행 등을 다루고 있다. 모에계 라이트 노벨도 취급하는 '뇌격 문고 편집'과, 여성향 휴대폰 소설을 담당하는 '모바일 서적과' 등 실제 모델인 아스키 미디어 웍스, 전격 문고와 비슷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대외적 이미지를 고려해 허구의 명의를 사용했다. 작중의 미디아스키 웍스나, 뇌격 문고는 편집자끼리 서로 닉네임으로 불러야 한다는 풍습이 있다. * 휴대폰 i Club 원작에 등장하는 웹사이트로, 모바일 단말기를 위해 웹에 블로그와 게시판을 설치하고, 휴대폰 소설을 게시해 공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 소설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기있는 소설은 단행본으로 간행하고 있다. 작중에서는 키리노가 이 사이트에서 <여동생 하늘>을 발표, 이후 계정의 암호를 도난당한 사건을 겪는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사이트 대신 '북업'이라는 휴대폰 소설 투고 사이트로 등장한다. * {{{#!folding 5권 이후 스포일러 * 게임 연구부 쿄스케가 다니는 고등학교의 부활동부. 주요 활동은 동인 게임 제작과 이벤트 참여로, 규율은 느슨한 편이고 유령부원도 많다. 교실에는 게임 제작에 필요한 장비와 소프트웨어, 전문 서적이 얼추 갖춰져 있는데, 이것들은 설립자이자 부의 부장인 미우라 겐스케가 아르바이트로 벌어들인 사비로 조달되고 있다. }}}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기업 및 단체 === * 아리스+ (아리스플러스) 소재지가 도쿄인 성인용 게임 메이커. <여동생 메이커 EX 시리즈>, <내 여동생 진 여동생 대섬멸 시스칼립스>, <여동생×여동생 ~시스콘 러브스토리~> 등을 제작했고, 여름 코믹에는 기업 부스를 출점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제12화 및 B파트 아이캐치에 등장하는 가공의 게임 디스크는 모두 '아리스+' 제조업체 로고가 새겨져 있다. * 오타쿠 아가씨 모여라~ 사오리 버지나가 주재하는 여성 오타쿠 전용 SNS 커뮤니티. 회원은 총 20명 가량. 기반이 된 SNS는 초대 없이 등록 가능한 제도로 되어 있다. 애니나 게임 이야기를 나눌 상대가 필요했던 키리노의 고민을 해결해 주려고 쿄스케가 (마나미의 조언을 받아) 'SNS에서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을 친구 추가해 봐라' 라고 제안했다. 키리노가 이 커뮤니티를 선택한 것은, 연상의 남자는 거리껴진다는 이유도 있었고, 오프라인 모임을 곧 여는 이 커뮤니티라면 넷카마 행세를 하는 회원도 없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라노베 #1권. (126~127쪽)] 이 커뮤니티의 회원 중, 키리노와 오프에서도 친분이 생긴 것은 사오리와, 쿠로네코로 이 두 명은 쿄스케와도 친구처럼 지내게 된다. * 프리티 가든 아키하바라에 있는 메이드 카페. '오타쿠 아가씨 모여라~'의 제1회 오프라인 모임은 여기서 치러졌다. 종업원들의 메이드복 차림은 짧은 치마로 귀여움을 우선했고, 프렌치 메이드 스타일이며, 손님의 취향에 따라 점원이 어떤 호칭으로 불러줄 수 있는가 선택할 수 있다. 원작에서 쿄스케가 주문한 것은 카레라이스였는데, '수제'라는 명칭과 달리 레토르트 카레였다고. 한편 애니메이션에서는 오므라이를 주문했고, 케찹으로 원하는 문구를 써 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었다.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실제 메이드 카페인 '큐어 메이드 카페(Cure maid café)'의 취재협력을 받아 모델로 사용했기 때문에 프리티 가든의 주변 풍경은 큐어 메이드 카페가 위치한 지스토어 아키바 주변의 풍경이었고, 실제로 큐어 메이드 카페에서는 본 작품의 공식 행사로서 원작에 등장하는 메뉴가 기간 한정 판매되었다. 한편 원작에서는 아키하바라 전자상가에서 프리티 가든까지의 구체적인 길과, 건물의 외관이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큐어 메이드 카페와는 위치와 모양이 일치하지 않고, 갖춰진 메뉴도 다르다. * 이터널 블루 (ETERNAL BLUE) 후지마 미사키가 대표이사로 있는 고급 화장품 제조기업으로, 본사는 유럽에 있다. 약칭 이터너(エタナー). 엠블렘은 원작에서는 인어, 애니메이션에서는 세 마리의 돌고래이다. 사오리가 키리노들과 만난지 얼마 되지 않은 무렵, 키리노 앞으로 동인지 택배를 보낼 때, 이 브랜드의 박스가 사용되었다(하지만 결과적으로 키리노의 오해를 만드는 계기가 되고 만다). * 이터널 시스터 미카가미 코우키가 미사키에게서 배당받은 개인 브랜드로, 약칭 'EBS. 코우키가 여름 코믹 참가시에는 동아리 이름으로 사용했다. * 타무라 가게 코우사카네의 이웃집, 타무라네가 꾸리는 과자 가게. * 미디아스키 웍스 신쥬쿠에 있는 출판사. 뇌격 문고라는 문고 레이블과 휴대폰 소설의 서적판 간행 등을 다루고 있다. 모에계 라이트 노벨도 취급하는 '뇌격 문고 편집'과, 여성향 휴대폰 소설을 담당하는 '모바일 서적과' 등 실제 모델인 아스키 미디어 웍스, 전격 문고와 비슷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대외적 이미지를 고려해 허구의 명의를 사용했다. 작중의 미디아스키 웍스나, 뇌격 문고는 편집자끼리 서로 닉네임으로 불러야 한다는 풍습이 있다. * 휴대폰 i Club 원작에 등장하는 웹사이트로, 모바일 단말기를 위해 웹에 블로그와 게시판을 설치하고, 휴대폰 소설을 게시해 공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 소설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기있는 소설은 단행본으로 간행하고 있다. 작중에서는 키리노가 이 사이트에서 <여동생 하늘>을 발표, 이후 계정의 암호를 도난당한 사건을 겪는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사이트 대신 '북업'이라는 휴대폰 소설 투고 사이트로 등장한다. * {{{#!folding 5권 이후 스포일러 * 게임 연구부 쿄스케가 다니는 고등학교의 부활동부. 주요 활동은 동인 게임 제작과 이벤트 참여로, 규율은 느슨한 편이고 유령부원도 많다. 교실에는 게임 제작에 필요한 장비와 소프트웨어, 전문 서적이 얼추 갖춰져 있는데, 이것들은 설립자이자 부의 부장인 미우라 겐스케가 아르바이트로 벌어들인 사비로 조달되고 있다. }}}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