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65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김현
(편집) (15)
(편집 필터 규칙)
8418,9355
==== 프랑스 이론 수입상 ==== 김현의 이론적 업적으로는 프랑스의 문학 비평 이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한 것이 특히 높이 평가된다. 미셸 푸코, 가스통 바슐라르, 르네 지라르 등 오늘날까지도 한국 지성계의 교양처럼 자리잡은 이 프랑스인 학자들은 상당수가 김현 혹은 김현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 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 김현 자신이 펴낸 『르네 지라르 혹은 폭력의 구조』는 당시로서는 탁월한 지라르 입문서로 평가되었으며, 르네 지라르의 『폭력과 성스러움』을 번역한 역자들 또한 김현을 통해 지라르를 접했다고 밝힌 바 있다.[* 르네 지라르 저, 김진식·박무호 역, 「역자 후기」, 『폭력과 성스러움』(서울: 민음사, 2000), 503~504쪽.] 동료 비평가들이 프랑스 이론을 수입해오며 저지른 오류들에 대해 지적한 적도 있다. 가령 르네 지라르의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을 『소설의 이론』이라는 제목으로 편역한 김윤식은 번역 과정에서 상당한 오역을 저질렀고, 김치수 또한 같은 저작을 지나칠 정도로 욕망의 삼각형 이론 중심으로 이해한다며 비판했었다. 이러한 점에서도 간접적으로 드러나듯, 김현은 르네 지라르를 비롯한 프랑스 계통의 이론가들에 대해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다. 문제는 김현이 그 프랑스 이론에 지나치게 집착한데다 수입해온 학자들의 주장에 비해 이론적으로 크게 진전한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김현의 저술에서 프랑스문학 이론을 그대로 적용시킨 부분을 걷어낸 나머지 부분은 김현이 비평가로서 누린 명성에 비하면 상당히 '얕아 보이는' 게 사실이다. 그가 성실한 서평자로서 탁월한 견해를 내놓고 당시로선 유려한 문체를 보였던 것은 물론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김현 기저의 이론적 빈약함마저 정당화해주지는 못한다. 즉, 서평가 및 문장가로서의 명성이 지나치게 강조된 결과 이론적 약점마저 거기에 묻어간 측면이 있었다는 것이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프랑스 이론 수입상 ==== 김현의 이론적 업적으로는 프랑스의 문학 비평 이론을 체계적으로 소개한 것이 특히 높이 평가된다. 미셸 푸코, 가스통 바슐라르, 르네 지라르 등 오늘날까지도 한국 지성계의 교양처럼 자리잡은 이 프랑스인 학자들은 상당수가 김현 혹은 김현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 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 김현 자신이 펴낸 『르네 지라르 혹은 폭력의 구조』는 당시로서는 탁월한 지라르 입문서로 평가되었으며, 르네 지라르의 『폭력과 성스러움』을 번역한 역자들 또한 김현을 통해 지라르를 접했다고 밝힌 바 있다.[* 르네 지라르 저, 김진식·박무호 역, 「역자 후기」, 『폭력과 성스러움』(서울: 민음사, 2000), 503~504쪽.] 동료 비평가들이 프랑스 이론을 수입해오며 저지른 오류들에 대해 지적한 적도 있다. 가령 르네 지라르의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을 『소설의 이론』이라는 제목으로 편역한 김윤식은 번역 과정에서 상당한 오역을 저질렀고, 김치수 또한 같은 저작을 지나칠 정도로 욕망의 삼각형 이론 중심으로 이해한다며 비판했었다. 이러한 점에서도 간접적으로 드러나듯, 김현은 르네 지라르를 비롯한 프랑스 계통의 이론가들에 대해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다. 문제는 김현이 그 프랑스 이론에 지나치게 집착한데다 수입해온 학자들의 주장에 비해 이론적으로 크게 진전한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김현의 저술에서 프랑스문학 이론을 그대로 적용시킨 부분을 걷어낸 나머지 부분은 김현이 비평가로서 누린 명성에 비하면 상당히 '얕아 보이는' 게 사실이다. 그가 성실한 서평자로서 탁월한 견해를 내놓고 당시로선 유려한 문체를 보였던 것은 물론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김현 기저의 이론적 빈약함마저 정당화해주지는 못한다. 즉, 서평가 및 문장가로서의 명성이 지나치게 강조된 결과 이론적 약점마저 거기에 묻어간 측면이 있었다는 것이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