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84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2:06:41] 07th Expansio...
[12:06:22] 비스크돌은 사랑을 한다 ...
[22:28:23] 몰락영애 아니거든요!
[20:33:31] 홍진호
[20:33:17] SCP-1170
[23:56:07] 응 아니야
[12:16:26] 잡썰일지/2023-202...
[02:26:44] 잡썰일지
[02:26:31] 잡썰일지/2023-202...
[21:34:17] 운영일지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고정폭 글꼴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488,inf
== 종류 == 좀 읽기 편하고 확실히 I과 l, 0과 O 등이 잘 구분되는 것들 중 대부분 유려한 모노스페이스 폰트들은 비 유니코드 문자 언어권에서 만들어져서 ASCII나 ANSI나 일부 유니코드 기호만 포함하고, 한글, 한자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Monaco나 Consolas 같은 걸 적용하면, 한글만 그냥 허접한 기본 글씨고 로마자 등은 이쁘게 있으면 약간 섭섭하다. 그래서 에디터나 터미널에 따라 비 ASCII문자를 따로 설정 할 수 있다면, 나눔 코딩 등 한글 특화 폰트로 바꾸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일본인들은 위화감 상관 없이 그냥 여타 고정폭 글꼴 + Noto Sans Mono 등 기본형 유니코드 고정폭 산스 폰트를 같이 쓰는 모양. 코딩용 ANSI 폰트와 일본어의 폰트 모양이 확연히 구분되어 있어, 나쁘지 않다고. 한국인들도 이렇경우가 많지만, 일본인들은 비율적으로 절대다수이다. 일본인들은 은근히 심심한 코딩 폰트를 쓴다. 한자의 문제일까. * [[https://neodgm.dalgona.dev/|Neo둥근모꼴]]: 과거 김중태 [[http://ith.kr/|IT문화원]]장이 만들었던, 한글 도스 환경의 VT 에뮬레이터 등에 쓰인 비트맵 글꼴을 트루타입 폰트로 복각한 것으로, 지금은 상당히 규모가 큰 프로젝트가 되었다. 노스텔직한 감성이 특징. 비트맵 글꼴을 흉내낸 글꼴이다 보니, 글자도 굵고 읽기 나쁘지 않다. 한글, 로마자, ASCII + ANSI 문자, 그 외 유니코드 문자들이 통일성이 있어서 신경이 덜 쓰인다. 물론, 각종 ligature 들도 제공된다. 물론 한자나 일본어가 들어간다면 또 이야기가 달라진다. * 나눔고딕 코딩: 네이버에서 만든 것. 정갈한 것으로 유명한 한글 글꼴이다. 나눔고딕의 모서리가 둥근 게 싫으면 나눔바른코딩 기반의 D2 Coding도 있다. Ligature도 지원한다. * Noto Sans Mono: 유니코드 문자, 특히 동아시아 문자에 특화 되었다. Adobe의 오픈소스 서체인 Source Han Code 글꼴에 모든 유니코드를 담으려는 구글 프로젝트. 다소 심심한 편으로 나쁘진 않다. 한자(간, 번, 신자체), 가나 등도 지원이 잘 된다. * DejaVu: GNOME의 VERA 폰트에 포함된 모노스페이스 서체로 유명하다. 우분투에서도 Ubuntu Mono 채용 전에 이걸 주로 썼다. * Courier: 전통의 강호. 굵지 않은, 얇은 서체이다. * Monaco: Sublime Text 에디터의 폰트. 개성있는 깔끔한 폰트. 로마자 언어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역시 ligature도 지원.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10928035912/https://licentium.net/w/index.php?title=%EA%B3%A0%EC%A0%95%ED%8F%AD_%EA%B8%80%EA%BC%B4&oldid=26996|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종류 == 좀 읽기 편하고 확실히 I과 l, 0과 O 등이 잘 구분되는 것들 중 대부분 유려한 모노스페이스 폰트들은 비 유니코드 문자 언어권에서 만들어져서 ASCII나 ANSI나 일부 유니코드 기호만 포함하고, 한글, 한자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Monaco나 Consolas 같은 걸 적용하면, 한글만 그냥 허접한 기본 글씨고 로마자 등은 이쁘게 있으면 약간 섭섭하다. 그래서 에디터나 터미널에 따라 비 ASCII문자를 따로 설정 할 수 있다면, 나눔 코딩 등 한글 특화 폰트로 바꾸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일본인들은 위화감 상관 없이 그냥 여타 고정폭 글꼴 + Noto Sans Mono 등 기본형 유니코드 고정폭 산스 폰트를 같이 쓰는 모양. 코딩용 ANSI 폰트와 일본어의 폰트 모양이 확연히 구분되어 있어, 나쁘지 않다고. 한국인들도 이렇경우가 많지만, 일본인들은 비율적으로 절대다수이다. 일본인들은 은근히 심심한 코딩 폰트를 쓴다. 한자의 문제일까. * [[https://neodgm.dalgona.dev/|Neo둥근모꼴]]: 과거 김중태 [[http://ith.kr/|IT문화원]]장이 만들었던, 한글 도스 환경의 VT 에뮬레이터 등에 쓰인 비트맵 글꼴을 트루타입 폰트로 복각한 것으로, 지금은 상당히 규모가 큰 프로젝트가 되었다. 노스텔직한 감성이 특징. 비트맵 글꼴을 흉내낸 글꼴이다 보니, 글자도 굵고 읽기 나쁘지 않다. 한글, 로마자, ASCII + ANSI 문자, 그 외 유니코드 문자들이 통일성이 있어서 신경이 덜 쓰인다. 물론, 각종 ligature 들도 제공된다. 물론 한자나 일본어가 들어간다면 또 이야기가 달라진다. * 나눔고딕 코딩: 네이버에서 만든 것. 정갈한 것으로 유명한 한글 글꼴이다. 나눔고딕의 모서리가 둥근 게 싫으면 나눔바른코딩 기반의 D2 Coding도 있다. Ligature도 지원한다. * Noto Sans Mono: 유니코드 문자, 특히 동아시아 문자에 특화 되었다. Adobe의 오픈소스 서체인 Source Han Code 글꼴에 모든 유니코드를 담으려는 구글 프로젝트. 다소 심심한 편으로 나쁘진 않다. 한자(간, 번, 신자체), 가나 등도 지원이 잘 된다. * DejaVu: GNOME의 VERA 폰트에 포함된 모노스페이스 서체로 유명하다. 우분투에서도 Ubuntu Mono 채용 전에 이걸 주로 썼다. * Courier: 전통의 강호. 굵지 않은, 얇은 서체이다. * Monaco: Sublime Text 에디터의 폰트. 개성있는 깔끔한 폰트. 로마자 언어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역시 ligature도 지원. [Include(틀:가져옴,O=자유인사전,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10928035912/https://licentium.net/w/index.php?title=%EA%B3%A0%EC%A0%95%ED%8F%AD_%EA%B8%80%EA%BC%B4&oldid=26996|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