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X68000
(편집) (2)
(편집 필터 규칙)
2040,3381
== 하드웨어 == X68000 시리즈는 모토롤라의 68000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있는데, 동시대의 인텔이 생산하는 x86 프로세서에 비해서는 CPU성능 면에서는 뒤쳐지는 면이 없잖아 있었지만 자체적인 그래픽처리 기능을 갖춘 그래픽칩 을 갖추고 있었고, 규격화된 시스템을 유지했기 때문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가 선보이면서 동시대의 타 PC들(IBM-PC, 맥킨토쉬)에 비해서 훨씬 우수해보이는 성능을 보였다. 특히 그래픽 처리기능 면은 기본적으로 ‘게임기’에 가까운 규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아케이드 게임기에 필적할 정도로 대단한 스펙이었기 때문에 타 PC로는 이식된 적 없는 다수의 아케이드 게임들이 이식되어 나온 바 있다. 당시 기기로서는 거의 최대 성능이라고 할만한 16bit 컬러(65536색) 출력 기능을 지원하며, 다양한 스프라이트 및 그래픽 가속기능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음원 또한 기본적으로 야마하의 FM음원칩과 OKI의 PCM음원을 기본으로 지원하는 등, 사실상 동시기의 게임기와 PC를 압도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물론 샤프의 카피라이트와 달리, 이 시절의 웍스테이션인 썬의 스파크 등의 웍스테이션은 이런 수준을 훨씬 상회하는 본격적 3D 그래픽스를 작업하는 수준이었다. 이에 비해서 X68000은 어디까지나 ‘가정용’기기일 뿐이다) 이러한 요소를 활용하기 위해서 전용 게임패드가 발매되고, 다수의 게임들이 발표되었는데, 32비트의 5세대 게임기가 나오기 전에는 거의 최강급의 고성능 ‘게임기’ 로서 군림했던 기기이다. (물론 이 시점에서 이미 X68000보다 성능 좋은 IBM-PC 호환기종도 있었지만, 그쪽은 PC로 빼놓지 않으면 이야기가 되지 않으니 빼놓도록 한다) 90년 초반에 들어서 등장한 라이벌 기종 FM-TOWNS가 있었는데, 이 쪽은 좀 특이한 기종이니 그쪽 항목을 참조하도록 하자. X68000의 후속기종이라고 할 수 있는 X68030은 CPU클럭을 높이고 메모리를 확장하는 등의 성능을 높인 모델로, X68000과 달리 32bit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있다. 나온 시기를 감안하면 빠른 속도로 부품 가격인하를 단행하며 성능에서 쫓아오는 IBM-PC 호환 기종(일본은 PC9801)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인 것을 알 수 있다. 성능 면에서는 어느정도 따라간다 하더라도, 당시 인텔과 AMD 등이 정말 미친듯한 경쟁을 한참 하던 시기여서 단가 경쟁에서 크게 밀리는 감이 있었다. 모토롤라 측에서 68000 계열의 프로세서 생산을 중단하고 후속으로 PowerPC로 이동할 계획을 세우자, 샤프 측도 Power프로세서를 장착한 X68000을 제작할 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나, 결국 계획을 접고 시장에서 X68000시리즈는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하드웨어 == X68000 시리즈는 모토롤라의 68000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있는데, 동시대의 인텔이 생산하는 x86 프로세서에 비해서는 CPU성능 면에서는 뒤쳐지는 면이 없잖아 있었지만 자체적인 그래픽처리 기능을 갖춘 그래픽칩 을 갖추고 있었고, 규격화된 시스템을 유지했기 때문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가 선보이면서 동시대의 타 PC들(IBM-PC, 맥킨토쉬)에 비해서 훨씬 우수해보이는 성능을 보였다. 특히 그래픽 처리기능 면은 기본적으로 ‘게임기’에 가까운 규격을 갖추고 있으면서, 아케이드 게임기에 필적할 정도로 대단한 스펙이었기 때문에 타 PC로는 이식된 적 없는 다수의 아케이드 게임들이 이식되어 나온 바 있다. 당시 기기로서는 거의 최대 성능이라고 할만한 16bit 컬러(65536색) 출력 기능을 지원하며, 다양한 스프라이트 및 그래픽 가속기능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음원 또한 기본적으로 야마하의 FM음원칩과 OKI의 PCM음원을 기본으로 지원하는 등, 사실상 동시기의 게임기와 PC를 압도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물론 샤프의 카피라이트와 달리, 이 시절의 웍스테이션인 썬의 스파크 등의 웍스테이션은 이런 수준을 훨씬 상회하는 본격적 3D 그래픽스를 작업하는 수준이었다. 이에 비해서 X68000은 어디까지나 ‘가정용’기기일 뿐이다) 이러한 요소를 활용하기 위해서 전용 게임패드가 발매되고, 다수의 게임들이 발표되었는데, 32비트의 5세대 게임기가 나오기 전에는 거의 최강급의 고성능 ‘게임기’ 로서 군림했던 기기이다. (물론 이 시점에서 이미 X68000보다 성능 좋은 IBM-PC 호환기종도 있었지만, 그쪽은 PC로 빼놓지 않으면 이야기가 되지 않으니 빼놓도록 한다) 90년 초반에 들어서 등장한 라이벌 기종 FM-TOWNS가 있었는데, 이 쪽은 좀 특이한 기종이니 그쪽 항목을 참조하도록 하자. X68000의 후속기종이라고 할 수 있는 X68030은 CPU클럭을 높이고 메모리를 확장하는 등의 성능을 높인 모델로, X68000과 달리 32bit 프로세서를 장착하고 있다. 나온 시기를 감안하면 빠른 속도로 부품 가격인하를 단행하며 성능에서 쫓아오는 IBM-PC 호환 기종(일본은 PC9801)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인 것을 알 수 있다. 성능 면에서는 어느정도 따라간다 하더라도, 당시 인텔과 AMD 등이 정말 미친듯한 경쟁을 한참 하던 시기여서 단가 경쟁에서 크게 밀리는 감이 있었다. 모토롤라 측에서 68000 계열의 프로세서 생산을 중단하고 후속으로 PowerPC로 이동할 계획을 세우자, 샤프 측도 Power프로세서를 장착한 X68000을 제작할 계획을 수립한 바 있으나, 결국 계획을 접고 시장에서 X68000시리즈는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