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62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김산
(편집) (4)
(편집 필터 규칙)
1991,inf
== 사망 후 == 중국공산당은 덩샤오핑 집권 이후인 김산의 처형을 명령한 캉성을 사후출당하고 (캉성의 출당명목은 문화대혁명 당시 사인방과 어울리면서 국정을 농단한 혐의였다) ,1983년 김산을 복권했다. 대한민국 정부도 2005년 김산에게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다. 북한 측도 김산을 혁명열사릉에 안장하고 기념하고 있다. 김산의 자서전은 1941년 님웨일즈에 의해 출판되었으나, 출판사가 영세한데다가 한국이라는 나라는 미국 독자들에게 매우 생소했기 떄문에 거의 알려지지 않다가, 미국과 번역판이 나온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리영희 교수 또한 일본 서점에서 김산의 존재를 알게 됐다. 1980년대 처음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김산과 님웨일즈는 주로 필담으로 의견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김산은 영문독해는 문제가 없었으나 영어를 거의 말할 수 없었다고 한다. 김산은 아들 하나(고영광)를 남겼는데, 문화대혁명 이후 당에 아버지의 복권을 강력하게 청원했고, 결국 덩샤오핑 집권 이후 김산은 복권되어 당적이 모두 회복되었다. [Include(틀:가져옴, O=진보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10331132316/https://jinbowiki.org/wiki/index.php?title=%EA%B9%80%EC%82%B0&curid=3438&action=history|링크]])]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사망 후 == 중국공산당은 덩샤오핑 집권 이후인 김산의 처형을 명령한 캉성을 사후출당하고 (캉성의 출당명목은 문화대혁명 당시 사인방과 어울리면서 국정을 농단한 혐의였다) ,1983년 김산을 복권했다. 대한민국 정부도 2005년 김산에게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다. 북한 측도 김산을 혁명열사릉에 안장하고 기념하고 있다. 김산의 자서전은 1941년 님웨일즈에 의해 출판되었으나, 출판사가 영세한데다가 한국이라는 나라는 미국 독자들에게 매우 생소했기 떄문에 거의 알려지지 않다가, 미국과 번역판이 나온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리영희 교수 또한 일본 서점에서 김산의 존재를 알게 됐다. 1980년대 처음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김산과 님웨일즈는 주로 필담으로 의견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김산은 영문독해는 문제가 없었으나 영어를 거의 말할 수 없었다고 한다. 김산은 아들 하나(고영광)를 남겼는데, 문화대혁명 이후 당에 아버지의 복권을 강력하게 청원했고, 결국 덩샤오핑 집권 이후 김산은 복권되어 당적이 모두 회복되었다. [Include(틀:가져옴, O=진보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210331132316/https://jinbowiki.org/wiki/index.php?title=%EA%B9%80%EC%82%B0&curid=3438&action=history|링크]])]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