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43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생물학
(편집) (42)
(편집 필터 규칙)
16849,17695
==== 혈액학(Hematology) ==== 혈액의 구성 성분과 그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가 '''혈액학(Hematology)'''이다. 혈액은 일종의 조직으로 분류되는데, 액체 성분인 '''혈장(Plasma)'''이 매우 많아서 액체성을 띤다.[* 혈장 내에 녹아 있는 단백질과 다른 고분자 물질들 때문에 혈장은 점성이 좀 있는 액체이다.]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에서 혈액에 대해 나오기만 하면 그냥 다 혈액학으로 봐도 무방하다. 혈액의 비액체성 성분[* 일부 텍스트에서는 고체성이라고 하는데, 고체성은 잘못된 표현이다. 혈구는 엄밀히 말해서 고체가 아니다.]인 '''혈구(Blood Corpuscle)'''는 '''적혈구(Red Blood Cell)'''와 '''백혈구(White Blood Cell)''', '''혈소판(Platelet)'''으로 나뉜다. 적혈구는 핵이 없고 가운데가 눌려 있는 도넛형 세포로, 헤모글로빈이 풍부하여 산소 운반 기능을 수행한다. 산소 운반은 기본적으로 화학퍼텐셜과 흡착 에너지의 차이에 관계되어 있는데, 이 주제는 생리학에서 통계물리학을 이용해 다루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백혈구는 적혈구가 아닌 세포성 혈구를 총칭해서 가리키는 말이다.[* 많은 책에서 잘못 가르치고 있다. 참고로 이 문서에 실린 정의가 정확한 것이다.] 따라서 B세포, T세포, 대식세포 등 다양한 세포성 혈구들은 모두 백혈구로 통칭해서 쓴다. 백혈구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피부 밑에 상처가 있거나 면역 기능에 이상이 있는 부위에 그 수가 높아져 피가 끈적끈적하게 만든다.[* 보통 한의학에서 어혈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런 것이다.] 혈소판은 비세포성 혈구로, 혈액 응고 기능을 담당한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혈액학(Hematology) ==== 혈액의 구성 성분과 그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가 '''혈액학(Hematology)'''이다. 혈액은 일종의 조직으로 분류되는데, 액체 성분인 '''혈장(Plasma)'''이 매우 많아서 액체성을 띤다.[* 혈장 내에 녹아 있는 단백질과 다른 고분자 물질들 때문에 혈장은 점성이 좀 있는 액체이다.]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에서 혈액에 대해 나오기만 하면 그냥 다 혈액학으로 봐도 무방하다. 혈액의 비액체성 성분[* 일부 텍스트에서는 고체성이라고 하는데, 고체성은 잘못된 표현이다. 혈구는 엄밀히 말해서 고체가 아니다.]인 '''혈구(Blood Corpuscle)'''는 '''적혈구(Red Blood Cell)'''와 '''백혈구(White Blood Cell)''', '''혈소판(Platelet)'''으로 나뉜다. 적혈구는 핵이 없고 가운데가 눌려 있는 도넛형 세포로, 헤모글로빈이 풍부하여 산소 운반 기능을 수행한다. 산소 운반은 기본적으로 화학퍼텐셜과 흡착 에너지의 차이에 관계되어 있는데, 이 주제는 생리학에서 통계물리학을 이용해 다루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백혈구는 적혈구가 아닌 세포성 혈구를 총칭해서 가리키는 말이다.[* 많은 책에서 잘못 가르치고 있다. 참고로 이 문서에 실린 정의가 정확한 것이다.] 따라서 B세포, T세포, 대식세포 등 다양한 세포성 혈구들은 모두 백혈구로 통칭해서 쓴다. 백혈구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피부 밑에 상처가 있거나 면역 기능에 이상이 있는 부위에 그 수가 높아져 피가 끈적끈적하게 만든다.[* 보통 한의학에서 어혈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런 것이다.] 혈소판은 비세포성 혈구로, 혈액 응고 기능을 담당한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