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미드 로스트에 등장하는 설정상 한국인인 권진수가 작중 등장인물인 헐리와 마이클과 골프를 하다가 맘먹은대로 안되자 외친 단말마의 외침.
이 에피소드는 본편에 포함된 내용은 아니고 제작해놨다가 수록되지 않은 내용이라서 DVD발매 후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다.
‘으아니 챠!'를 타이틀로 걸었지만 특정 대사가 아니라 전체 맥락 그 자체가 전부 명작이다. 페이퍼타올이 요기잉네와 더불어서 로스트가 남긴 괴이한 한국어의 대표적 대사로 인상을 남기고있다.
어색한 한국어를 너무나 진지하게 외치는 것이 진국. 발음은 둘째치고 열심히 연기하는 대니얼 대 킴의 열의만큼은 진심임에 틀림없다. 단지 열심히 하는만큼 더 개그가 된다는 점이 슬프다.
All your base are belong to us와 비슷한 케이스로 인터넷에서 인기를 끈 것으로 일부 대사를 인용해서 활용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큰 재미를 선사할 수 있다.
1. 영상 ✎ ⊖
권진수 대사 | 영문 각본 |
으아니, 챠! | No, why! |
왜 안들어가는 거야! | Why can’t I hit the ball in the hole? |
너 입 닥쳐! | Shut up! |
너 나 지큼 동정해? | Don’t pitty me! |
하 젠장 되는 일이 하나토 없허! | All I wanted was one thing to go right! |
너두 할말 이써? | Do you want to say something? |
얘기 하지마 이마! 입촘 타무러! 체발! | You don’t talk for once, you dont’t talk! |
헐리하고 마이클한테 어터케 질수고 이써 | How can I lose th both Hurley and Michael?! |
왜 나락같은 섬! | I hate this horrible island! |
내가 머 때무네 이러느지 아무도 날 이해모테! | Why doesn’t anybody understand me? |
난 한번마니라도 햄보카고시픈데 | All I wanted was one moment of happiness! |
왜 나 꽈찌쭈느 햄보칼 수가 업서! | Why! Why can’t I be happy!? |
이 말도 안되는 게임은 누구 만든거야 | Who invented this crazy game? |
너 이러케 드러가야 되는거야 이마! 이러케 이러케! | No! You horrible ball! Why!? |
제발 이거 좀 푸러줘 허 나 미찌게네! | Please take this handcuff off! I’m going crazy! |
다들 나랑 상관업다 이거지? | You don’t care about me, do you? |
그런 눈으로 보지마! | Don’t look at me with pity eyes! |
얻어터지들다! | I’ve beaten men for lesser offenses! |
핫, 챠! | |
이거 그냥 드러가면 얼마나 좋겠는데! 그냥 들어가 이마! 이러케, 이러케 드러가! | No, you horrible ball! Why couldn’t you go in the hole? |
개같은 경우! 왜, 왜! 왜! | You horrible ball! Why why why!? |
되는게 없어… | I’m so alone |
2. 명대사 ✎ ⊖
이 하나의 씬에서 너무나 많은 명대사가 나와서 수많은 사람들이 배를 붙잡고 뒹굴게 만들었다.
이 영상에는 원 각본을 쓴 사람이 의도한 대사와 다르게 정체를 알 수 없는 대사가 된 것이 몇가지 있다. All your base are belong to us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정체를 알 수 없는 형태로 한국어로 말해진 것이 특징. 그 중에 특징적인 것을 몇 가지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으아니! 챠!
왜 나락같은 섬!
난 햄보카고 시픈데 햄보칼수가업서
얻어터지들다!
핫, 챠!
개같은 경우
이 영상에는 원 각본을 쓴 사람이 의도한 대사와 다르게 정체를 알 수 없는 대사가 된 것이 몇가지 있다. All your base are belong to us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정체를 알 수 없는 형태로 한국어로 말해진 것이 특징. 그 중에 특징적인 것을 몇 가지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으아니! 챠!
- 수정 : 으아아! 씨발!
- 설명 : 분에 차서 외치는 단말마. 아마도 챠!는 한국인들이 입에 달고 사는 ‘씨발’이나 ‘썅!'을 각본가가 잘못 들어 쓴 것일 확률이 높다.
- 활용안 : 친구들과 게임을 하다 패배하거나 했을 때 ‘으아니, 챠!'라고 외쳐주면 좋다.
연패 후에는 대사 뒤에 ‘난 햄보카고 시픈데…‘를 붙여주면 더 효과가 좋다.
‘으아아’ 대신 ‘으아니’를 사용해줘도 효과는 발군이다.
왜 나락같은 섬!
- 수정 : 이 개같은 섬!
- 설명 : 섬에 갇혀 미칠 것 같은 심상을 표현한 말로, 섬에 온 이후에 되는게 없는 권진수의 울분을 느낄 수 있다.
- 활용안 : 뭐가 잘 안될 때 ‘섬’ 대신 다른걸 넣어서 외쳐주면 좋다.
격투 게임을 할 때 상대는 스틱을 쓰고 내가 패드를 쓴다면 ‘왜 나락같은 패드!’ 라고 외쳐주자.
난 햄보카고 시픈데 햄보칼수가업서
- 수정 : 난 잠깐이라도 행복해지고 싶을 뿐인데, 왜 그렇게 되질 않는거야!
- 설명 : 되는 일이 너무 없어서 대략 머리 끝까지 분이 차올라 외치는 소리. 말그대로 ‘아 진짜 되는일 하나도 없네’라는 자포자기를 분함으로 표현하면 저런 형태가 되리라.
- 활용안 : 대사가 워낙 길기 때문에 대화에서 쓰기는 좀 힘든편이지만, 블로그 등에서 어떤 일을 기록할 때 쓰면 좋다.
주로 잘 안된일을 기록할 때 상황 설명 후 마지막에 ‘난 햄보카고 시픈데…‘를 추가하면 된다.
대사의 발음을 패러디해서 '~~해서 햄볶아요’ 등으로도 ‘행복하다’를 ‘햄볶다’로 치환해 활용할 수 있다.
얻어터지들다!
- 수정 : 패버린다 니들!
- 설명 : 맛간듯한 권진수를 동정하는 눈으로 보는 두 사람에게 윽박지르는 대사. 얻어맞다의 수동태로 이렇게 쓴 것 같다.
- 활용안 : 상대에게 농담조로 윽박을 가할 때 사용한다.
게임에서 얍삽이를 쓰거나 핵을 쓰는 상대에게 ‘자꾸 그러면 얻어터지들다!'라고 외쳐준다.
핫, 챠!
- 수정 : 에이 씨발!
- 설명 : 분통을 터트리고 약간 가라앉아 체념조로 외치는 욕설.
- 활용안 : 으아니 챠와 비슷하지만 좀 진정되고 나서 혼잣말처럼 외쳐준다. 활용방식은 으아니 챠와 비슷하다.
개같은 경우
- 수정 : 뭐 이런 개같은게 다있어!
- 설명 : 골프 게임을 하다 공이 안들어가서 공탓을 하는 것으로, 그냥 분풀이 대사.
- 활용안 : 뭐가 잘 안될 때 어디서든 쓸 수 있다. 시험을 못봐도, 버스를 놓쳐도 언제나 쓸 수 있다.
그냥 뭐가 잘 안되거나 잘못되었을 때 ‘개같은 경우!'라고 외치면 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