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히루타 마사토 蛭田昌人 / Hiruta Masato | |
성별 | 남성 |
직업 | 게임기획, 게임연출, 게임각본, 게임감독 |
소속 | 엘프 |
출생일 | 1988년 10월 15일 |
취미 | 레이싱, 오토바이 |
데뷔 | 립스틱 어드벤쳐1 |
대표작 | 드래곤 나이트 시리즈, 급생 시리즈, 사쿠 시리즈 |
활동 | 게임, 애니메이션 |
히루타 마사토는 일본의 성인향 게임을 개발하던 게임 개발자로, 게임디자이너, 게임시나리오라이터를 담당했다. 1989년 4월, 이전에 근무하던 페어리테일에서 동료 2명과 함께 퇴직하여 90년대를 대표하는 성인향 게임 개발사인 엘프(élf)를 세웠으며, 초대 사장으로서 취임했다. 2000년 사장직을 사임하고 표면적으로 은퇴했다. 그러나 현재도 엘프의 최대주주인 상태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엘프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80~90년대 게임 개발자 대부분이 그렇듯 게임 개발에 관한 사항을 제외한 개인 정보가 극히 밝혀지지 않아 본명 이외의 고향, 나이 등 대부분이 베일에 싸여있다.
그러나 그의 개인 프로필과 무관하게 그의 능력은 업계에서 누구나 인정하는 바로, 엘프 초창기부터 최고 부흥기를 이끈 모든 게임들 - 드래곤나이트 시리즈, 동급생 시리즈, 유작 형제 시리즈와 노노무라 병원 사람들, 카와라자키가 일족 등을 모두 직접 집필한 사람으로, 성인용 게임 업계에서는 살아있는 전설 그 자체이다. 특히 스스로가 할만큼 했다고 느낀 시기에 시원하게 사퇴함으로서 더더욱 전설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만들어냈다.
단순히 야한 씬이 나오는 게임이 아니라 게임의 시나리오 자체를 성인이 즐길 수 있는 유희로서 만들어 냄으로서, 텍스트를 글을 읽는 것만으로 쾌감을 느끼게 만드는 천부적인 재능을 십분 발휘, 수많은 장르와 수많은 분야를 넘나들며 정말 당시 이 게임을 하던 젊은이(?)들 대부분을 야게임 전선에 몸을 내던지게 만든 장본인이다.
1. 연혁 ✎ ⊖
히루타 마사토는 1988년 유한회사 키라라의 성인게임 브랜드인 페어리테일에 입사하여 성인용 게임 개발에 참여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너무나 빡빡한 일정과 원하는 작품을 마음껏 만들 수 없는 불만감에 같은 회사에서 근무하던 원화가 아비루 토시히로(阿比留壽浩), 프로그래머 카나오 쥰(金尾淳)과 의기 투합해 자신들의 브랜드인 엘프(élf)로 도키도키! 셔터 찬스!를 개발한다. 이후 1989년 4월 퇴사하여 주식회사 엘프를 설립한다.
독립 이후 드래곤 나이트, DE-JA, ELLE, 동급생 등의 작품을 만들어 연달아 대히트, 90년대 초반, 말그대로 하늘을 찌를듯한 인기를 누렸다. 1992년에는 세부 브랜드인 실키즈를 설립하여 엘프와는 다른 분위기의 게임을 만들어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하는데, 카와라자키가 일족 또한 이 때 집필한 작품이다. 이 시기 엘프는 PC9801 뿐만 아니라 IBM-PC 계열의 DOS로도 게임을 이식하여 국내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큰 반향을 얻어 엘프의 흥행과 더불어 히루타 마사토의 이름 또한 국내에 많은 이들의 기억속에 남게 되었다. 1995년에는 엘프 브랜드의 유작, 동급생2 등을 내며 엘프도, 히루타 마사토 본인도 전성기를 구가한다.
1996년에는 히루타 마사토는 엘프의 사실상 시나리오작가로서의 후계자로 삼기위해 디자이어와 이브 버스트 에러의 시나리오를 담당한 칸노 히로유키 (菅野ひろゆき)(당시에는 켄노 유키히로)를 영입하여 공동으로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를 완성시켜 많은 게이머들에게 극찬을 받았으나, 정작 칸노 히로유키가 히루타 마사토와의 성향차이나 급여 등의 여러 문제를 이유로 퇴사하고 만다.
이후 정확한 정황은 확인이 어려우나 칸노 퇴사 이후 히루타 마사토가 직접 집필한 작품은 사실상 사라지다시피 하게 된다. 취작이후 이렇다할 작품을 선보이지 않은 채 엘프는 한동안 구작의 리메이크와 윈도우 플랫폼으로의 이식을 하는 시기가 시작된다.
히루타 마사토는 2000년에는 사장직을 시모다 아츠시(下田篤)에게 이양하고 사실상 은퇴, 이후 종적이 묘연한 상태이다. 엘프의 구원투수로서 귀작을 집필 했다는 것 까지는 밝혀졌으나 이후 겉으로 드러난 활동을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독립 이후 드래곤 나이트, DE-JA, ELLE, 동급생 등의 작품을 만들어 연달아 대히트, 90년대 초반, 말그대로 하늘을 찌를듯한 인기를 누렸다. 1992년에는 세부 브랜드인 실키즈를 설립하여 엘프와는 다른 분위기의 게임을 만들어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하는데, 카와라자키가 일족 또한 이 때 집필한 작품이다. 이 시기 엘프는 PC9801 뿐만 아니라 IBM-PC 계열의 DOS로도 게임을 이식하여 국내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큰 반향을 얻어 엘프의 흥행과 더불어 히루타 마사토의 이름 또한 국내에 많은 이들의 기억속에 남게 되었다. 1995년에는 엘프 브랜드의 유작, 동급생2 등을 내며 엘프도, 히루타 마사토 본인도 전성기를 구가한다.
1996년에는 히루타 마사토는 엘프의 사실상 시나리오작가로서의 후계자로 삼기위해 디자이어와 이브 버스트 에러의 시나리오를 담당한 칸노 히로유키 (菅野ひろゆき)(당시에는 켄노 유키히로)를 영입하여 공동으로 이 세상의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를 완성시켜 많은 게이머들에게 극찬을 받았으나, 정작 칸노 히로유키가 히루타 마사토와의 성향차이나 급여 등의 여러 문제를 이유로 퇴사하고 만다.
이후 정확한 정황은 확인이 어려우나 칸노 퇴사 이후 히루타 마사토가 직접 집필한 작품은 사실상 사라지다시피 하게 된다. 취작이후 이렇다할 작품을 선보이지 않은 채 엘프는 한동안 구작의 리메이크와 윈도우 플랫폼으로의 이식을 하는 시기가 시작된다.
히루타 마사토는 2000년에는 사장직을 시모다 아츠시(下田篤)에게 이양하고 사실상 은퇴, 이후 종적이 묘연한 상태이다. 엘프의 구원투수로서 귀작을 집필 했다는 것 까지는 밝혀졌으나 이후 겉으로 드러난 활동을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2. 시나리오 ✎ ⊖
히루타 마사토는 수많은 작품을 작업한 만큼 특정 장르를 가리지 않고 시나리오를 도전,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왔다. 국내에서는 도스판 동급생의 대히트로 인해서 한국내에서는 연애물을 주로 쓴 시나리오작가처럼 인식되고 있으나 사실은 히루타 마사토만큼 다양한 장르를 성공으로 이끈 작가도 드물다.
그가 집필한 대표작으로 판타지(드래곤 나이트), SF 서스펜스(ELLE), 연애(동급생), 어드벤쳐(DE-JA), 추리 서스펜스(노노무라병원 사람들), 던전형 서스펜스(유작)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장르에 다양한 분야를 도전한 시나리오라이터 자체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것만으로도 대단하다고 할만하다. 거기다 이 작품들이 모두 일정 이상의 히트를 기록했고 엘프를 유명세로 올리는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다시한번 놀랄만하다.
그러나 히루타 마사토의 진짜 능력은 어떠한 장르에서도 본연의 목표인 ‘재미’를 놓치지 않는다는데 그 포인트가 있다. 어떤 작품이라도 위트를 잊지 않으며, 주인공이 혼잣말로 내뱉는 내용에서조차 절묘한 위트를 담고있다. 물론 성인용 게임개발자이기 때문에 화장실 유머에 가까운 내용도 많지만 이러한 것을 통해서 분위기를 풀어주는 것이다. 또한 심각할 때는 더할나위 심각한 분위기로 흐름의 고삐를 죄어당기기 때문에 그 격차가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이야기에 몰입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거기에 그가 집필한 내용의 거의 모든 내용에는 주인공이 모르고 있던 요소로 인한 반전적인 요소가 적건 크건 존재하며, 이 반전포인트에서 생기는 문제 해결과 감동요소를 자연스럽게 묘사하는 능력은 그의 독보적인 강점이었다.
더불어 그가 쓰는 글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의 완결성과 무결성의 강조이다. 그가 집필한 시나리오는 정반합을 철저하게 따지는 완결된 시나리오를 지향하며 개그로 마무리 짓더라도 벌여놓은 판은 반드시 덮고 지나가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물론 그도 사람인지라 구멍은 얼마든지 있다) 이러한 이야기의 완결성과 무결성에서 오는 카타르시스는 특히 그가 집필한 서스펜스물에서 빛을 발하는데, 특히 던전형 서스펜스물인 유작은 위저드리 시리즈와 같은 1인칭 던전형 이동 시스템과 엘프 특유의 포인트&클릭 시스템을 더해 게임의 밀도를 더할나위 없이 높여주며, 시간 단위로 촘촘한 전개를 완성해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그가 쓴 시나리오는 대체로 등장인물의 수가 극과 관련된 인물에 제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관관계 등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확실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러한 인간관계에서 뭍어나오는 섬세한 심리묘사와 수많은 반전은 그의 글을 읽은 이들을 휘어잡는 매력포인트이다.
그가 집필한 대표작으로 판타지(드래곤 나이트), SF 서스펜스(ELLE), 연애(동급생), 어드벤쳐(DE-JA), 추리 서스펜스(노노무라병원 사람들), 던전형 서스펜스(유작)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장르에 다양한 분야를 도전한 시나리오라이터 자체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것만으로도 대단하다고 할만하다. 거기다 이 작품들이 모두 일정 이상의 히트를 기록했고 엘프를 유명세로 올리는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다시한번 놀랄만하다.
그러나 히루타 마사토의 진짜 능력은 어떠한 장르에서도 본연의 목표인 ‘재미’를 놓치지 않는다는데 그 포인트가 있다. 어떤 작품이라도 위트를 잊지 않으며, 주인공이 혼잣말로 내뱉는 내용에서조차 절묘한 위트를 담고있다. 물론 성인용 게임개발자이기 때문에 화장실 유머에 가까운 내용도 많지만 이러한 것을 통해서 분위기를 풀어주는 것이다. 또한 심각할 때는 더할나위 심각한 분위기로 흐름의 고삐를 죄어당기기 때문에 그 격차가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이야기에 몰입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거기에 그가 집필한 내용의 거의 모든 내용에는 주인공이 모르고 있던 요소로 인한 반전적인 요소가 적건 크건 존재하며, 이 반전포인트에서 생기는 문제 해결과 감동요소를 자연스럽게 묘사하는 능력은 그의 독보적인 강점이었다.
더불어 그가 쓰는 글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의 완결성과 무결성의 강조이다. 그가 집필한 시나리오는 정반합을 철저하게 따지는 완결된 시나리오를 지향하며 개그로 마무리 짓더라도 벌여놓은 판은 반드시 덮고 지나가려는 노력을 기울였다.(물론 그도 사람인지라 구멍은 얼마든지 있다) 이러한 이야기의 완결성과 무결성에서 오는 카타르시스는 특히 그가 집필한 서스펜스물에서 빛을 발하는데, 특히 던전형 서스펜스물인 유작은 위저드리 시리즈와 같은 1인칭 던전형 이동 시스템과 엘프 특유의 포인트&클릭 시스템을 더해 게임의 밀도를 더할나위 없이 높여주며, 시간 단위로 촘촘한 전개를 완성해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그가 쓴 시나리오는 대체로 등장인물의 수가 극과 관련된 인물에 제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상관관계 등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확실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러한 인간관계에서 뭍어나오는 섬세한 심리묘사와 수많은 반전은 그의 글을 읽은 이들을 휘어잡는 매력포인트이다.
3. 취미 ✎ ⊖
오토바이를 상당히 좋아하며, 1995년 회사의 절정기에는 개인 오토바이 팀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동급생2의 미나미카와 요코는 그의 이러한 취향이 반영된 캐릭터로 알려져있다. 요코의 바이크가 괜히 고퀄리티로 도트작업된 것은 아니었던 듯.
4. 은퇴 후 행방 ✎ ⊖
히루타 마사토는 2000년 엘프 사장직을 사임하고 은퇴, 정확한 종적을 파악할 수가 없는 상태이다. 엘프의 구원투수로 외주 원고를 작성해주는 등의 활동을 한다는 ‘엘프’측의 발표 외에는 아무런 대외 활동도 밝히고 있지 않다. 때문에 궁금증이 궁금증을 불러내어 소문이 소문을 부르면서 실종설, 이민설, 심지어 납치설 등이 나돌아 다닐 정도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한동안의 완전 손을 끊었던 것과 달리 현재도 엘프의 대주주로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여기서는 크리에이터로서의 그의 활동이 종료된 것인가에 대해서만 추측해본다.
4.1. 가명 활동설 ✎ ⊖
많은 설들 중 상당히 신빙성 있는 설이 바로 히루타 마사토 가명 복귀설로, 2000년 퇴사 후 2001년 귀작을 만들 당시 엘프는 ‘히루타 마사토에게 외주를 주었다’고 발표를 했다. 이야기는 여기서부터 시작되는데, 이를 통해서 히루타 마사토가 죽거나 납치되지는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4.1.1. 모닝무스코 ✎ ⊖
그리고 2004년, 하급생2가 발매되었는데, 이 작품의 시나리오라이터는 ‘모닝무스코’라고 표기되어있으나, 정확하게 누구인지도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전에 무엇을 했던 작가인지, 이후에 무엇을 했는지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어휘 구사방식 등이 변하기는 했으나 특유의 분위기나 흐름 등이 히루타 마사토와 상당히 유사해 이 때 당시에도 모닝무스코=히루타 마사토가 아닌가 하는 의혹이 상당히 나돌았으나 엘프 측에서는 일절 해명을 하지 않았다.
4.1.2. 토텐 메이카이 ✎ ⊖
이후 2005년부터 엘프의 주력 시나리오라이터로 등장한 것이 토텐 메이카이(土天冥海)다. 모닝무스코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경력도 존재도 알려지지 않은 채로, YELLOW PIG에서 엘프로 이적했다는 것만이 알려진 토텐 메이카이는 네토라레 물인(듯한 분위기로 홍보한) 미육의 향기을 시작으로 엘프에서의 시나리오라이터로 데뷔한다.
미육의 향기는 ‘엘프 부활의 신호탄’이라는 칭송을 받을 정도의 놀라운 시나리오 완성도와 전성기 시절의 히루타 마사토가 보여주었던 절묘한 심리적 성장과정을 묘사함으로서 토텐메이카이가 히루타 마사토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이 등장하게 된다. 이 때부터 그의 뒤를 캐기 시작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된다.
토텐 메이카이가 소속되어있던 YELLOW PIG는 엘프의 계열사 중 하나로, 2002년 생겨나 카시와자키가 일족과 애자매를 리뉴얼한 바 있으며, 2003년에는 노노무라병원 사람들과 여계가족을 발매하기도 했다. 이어서 엘프와 공동작업으로 카시와자키가 일족2를 제작한다. 이후 YELLOW PIG의 오리지널 작품인 새댁만화경과 남편앞에서 범해져서를 내놓아 재미있고 에로한 텍스트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정작 스탭롤에는 시나리오 라이터가 표기되어있지 않았다. 이후 엘프로 합병된 후 YELLOW PIG의 새댁만화경 완전판이 나오면서 스탭롤에 토텐 메이카이가 추가되게 되는데, 즉 YELLOW PIG의 시나리오 라이터는 토텐 메이카이 였으며 YELLOW PIG에서 시나리오를 작업한 카시와자키가 일족2의 시나리오를 담당했던 작가 또한 토텐 메이카이였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달리 카시와자키가 일족2에는 히루타 마사토의 이름이 들어있지 않다)
이상의 흐름에서 토텐 메이카이=히루타 마사토, 혹은 히루타 마사토가 키우는 후배 및 후배 집단일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 이상의 확인에는 엘프 본사나 관련 업계 측의 확인 이외에는 진척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저 추측만 할 뿐이다.
미육의 향기는 ‘엘프 부활의 신호탄’이라는 칭송을 받을 정도의 놀라운 시나리오 완성도와 전성기 시절의 히루타 마사토가 보여주었던 절묘한 심리적 성장과정을 묘사함으로서 토텐메이카이가 히루타 마사토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이 등장하게 된다. 이 때부터 그의 뒤를 캐기 시작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된다.
토텐 메이카이가 소속되어있던 YELLOW PIG는 엘프의 계열사 중 하나로, 2002년 생겨나 카시와자키가 일족과 애자매를 리뉴얼한 바 있으며, 2003년에는 노노무라병원 사람들과 여계가족을 발매하기도 했다. 이어서 엘프와 공동작업으로 카시와자키가 일족2를 제작한다. 이후 YELLOW PIG의 오리지널 작품인 새댁만화경과 남편앞에서 범해져서를 내놓아 재미있고 에로한 텍스트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정작 스탭롤에는 시나리오 라이터가 표기되어있지 않았다. 이후 엘프로 합병된 후 YELLOW PIG의 새댁만화경 완전판이 나오면서 스탭롤에 토텐 메이카이가 추가되게 되는데, 즉 YELLOW PIG의 시나리오 라이터는 토텐 메이카이 였으며 YELLOW PIG에서 시나리오를 작업한 카시와자키가 일족2의 시나리오를 담당했던 작가 또한 토텐 메이카이였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달리 카시와자키가 일족2에는 히루타 마사토의 이름이 들어있지 않다)
이상의 흐름에서 토텐 메이카이=히루타 마사토, 혹은 히루타 마사토가 키우는 후배 및 후배 집단일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 이상의 확인에는 엘프 본사나 관련 업계 측의 확인 이외에는 진척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저 추측만 할 뿐이다.
4.2. 야생의 히루타 마사토 사건 ✎ ⊖
니코니코동화에서 나온 이야기로, 2009년 4월 1일 류노스케P(りゅうのすけP)라는 업로더가 자신의 블로그에 ‘D2i 제작일지’에 ‘오늘은 뭔가 이상하다’ 라던가 ‘4월 1일은 나의 날’ 등을 붙인 ‘인사’라는 글을 올렸는데, 내용은 “류노스케P는 히루타 마사토를 대표로하는 크리에이터 집단으로, ‘동급생2i프로젝트’라는 작품을 만들고 있다”라는 내용이었다.
‘동급생2i’는 동급생과 아이돌마스터의 콜라보레이션을 한 동인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이야기였으나 류노스케P라는 업로더가 만든 작품의 시나리오 퀄리티가 상당히 높은 점 등의 이유로 실제로 믿어던 사람도 꽤나 많았다.
실상은 4월 1일 만우절 이벤트로 올린 농담으로, 다음날은 해명 글이 같은 블로그에 올라와 오해는 풀렸으나, 이 사건의 글에 달린 댓글 중 “이 사건에는 ‘야생의 히루타 마사토(野生の蛭田昌人)' 태그를 붙이자”는 내용이 호응을 얻어 니코니코동화에 업로드되는 동급생2i 프로젝트 영상에는 이후 ‘야생의 히루타 마사토’ 태그가 붙게 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이 태그는 만우절 이벤트를 기리는 내용의 것이지 히루타 마사토 본인과는 일절 관계가 없다.
‘동급생2i’는 동급생과 아이돌마스터의 콜라보레이션을 한 동인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이야기였으나 류노스케P라는 업로더가 만든 작품의 시나리오 퀄리티가 상당히 높은 점 등의 이유로 실제로 믿어던 사람도 꽤나 많았다.
실상은 4월 1일 만우절 이벤트로 올린 농담으로, 다음날은 해명 글이 같은 블로그에 올라와 오해는 풀렸으나, 이 사건의 글에 달린 댓글 중 “이 사건에는 ‘야생의 히루타 마사토(野生の蛭田昌人)' 태그를 붙이자”는 내용이 호응을 얻어 니코니코동화에 업로드되는 동급생2i 프로젝트 영상에는 이후 ‘야생의 히루타 마사토’ 태그가 붙게 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이 태그는 만우절 이벤트를 기리는 내용의 것이지 히루타 마사토 본인과는 일절 관계가 없다.
5. 참여 ✎ ⊖
제목 | 발매일 | 기종 | 브랜드 | 가격 | 기타 |
립스틱어드벤쳐1 | 1988-10-15 | PC8801 PC8801 MSX2 | 페어리테일/아이데스 | 6800 엔 | |
두근두근!셔터찬스!! | 1988-12-08 | PC8801, PC9801 | 엘프 | ||
두근두근!셔터찬스!! 별매 데이터집(3편 동시발매) | 1989-02-08 | PC8801, PC9801 | 엘프 | ||
살인 드레스2 | 1989 | PC8801 PC9801 | 페어리테일/아이데스 | 6800 엔 | |
프라이빗 스쿨 | 1989-03-13 | PC9801 | 엘프 | ||
핑키퐁키 (3부작 동시발매) | 1989-07-13 | PC9801 | 엘프 | ||
드래곤 나이트1 | 1989-11-17 | PC9801 | 엘프 | ||
데자 | 1990-06-15 | PC9801 | 엘프 | ||
드래곤 나이트2 | 1990-11-30 | PC9801 | 엘프 | ||
폭시2 | 1991-04-04 | PC9801 | 엘프 | ||
엘(ELLE,[él]) | 1991-06-13 | PC9801 | 엘프 | ||
드래곤 나이트3 | 1991-12-14 | PC9801 | 엘프 | ||
데자2 | 1992-06-25 | PC9801 | 엘프 | ||
동급생 | 1992-12-17 | PC9801, IBM | 엘프 | DOS판 | |
워즈 워쓰 | 1993-07-22 | PC9801 | 엘프 | ||
드래곤 나이트4 | 1994-02-25 | PC9801, IBM | 엘프 | ||
동급생2 | 1995-01-31 | PC9801, IBM | 엘프 | ||
동급생2 스페셜 디스크 | 1995-01-31 | PC9801, IBM | 엘프 | ||
유작 | 1995-08-25 | PC9801, IBM | 엘프 | DOS판 | |
노노무라 병원 사람들 | 1995-04-26 | SS | 엘프 | 세가새턴 참전작 | |
하급생 | 1996-06-07 | PC9801, IBM | 엘프 | DOS판 | |
노노무라 병원 사람들 | 1996-09-27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DOS판은 실키즈 발매 | |
이 세상에서 사랑을 노래한 소녀 YU-NO | 1996-12-26 | PC9801 | 엘프 | ||
하급생 | 1996-04-25 | SS | 엘프 | 세가새턴판, 음성탑재 | |
유작 윈도우판 | 1997-05-30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 |
도작 | 1997-05-30 | PC9801, IBM | 엘프 | ||
동급생2 | 1997-08-29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 |
카와라자키가 일족 | 1997-10-31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DOS판은 실키즈 발매 | |
이 세상에서 사랑을 노래한 소녀 YU-NO | 1997-12-04 | SS | 엘프 | 세가새턴판, 음성탑재 | |
취작 | 1998-03-27 | 윈도우즈 | 엘프 | ||
동취생 | 1998-03-27 | 윈도우즈 | 엘프 | 엘프 팬클럽회지 38권에 수록 | |
하급생 | 1998-06-26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 |
유작 리뉴얼판 | 1999-02-26 | 윈도우즈 | 엘프 | 유작의 그래픽 및 사운드 리뉴얼판 | |
워즈 워쓰 | 1999-03-25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 |
동급생1 | 1999-08-27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 |
취작 맥버전 | 1999-12-24 | PPC맥 | 엘프 | 맥킨토시판 DOS판은 실키즈 발매 | |
코이히메 | 1999-12-24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DOS판은 실키즈 발매 | |
유작 맥버전 | 2000-03-01 | PPC맥 | 엘프 | 맥킨토시판 | |
애자매 | 2000-05-26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DOS판은 실키즈 발매 | |
하급생 맥버전 | 2000-06-23 | PPC맥 | 엘프 | 맥킨토시판 | |
엘(ELLE,[él]) | 2000-09-29 | 윈도우즈 | 엘프 | ELLE 리메이크 | |
엘프 어른의 통조림 | 2000-12-22 | 윈도우즈 | 엘프 | 고전시리즈 합본팩 | |
귀작 | 2001-03-30 | 윈도우즈 | 엘프 | ||
귀축탐정 독작 | 2001-06-04 | 윈도우즈 | 엘프 | 엘프 팬클럽 회지 2001년 6월호에 수록 귀작 DVD판에 포함 | |
귀작 DVD판 | 2001-09-28 | 윈도우즈 | 엘프 | ||
카시와자키가 일족2 | 2003-06-06 | 윈도우즈 | 엘프 | ||
노노무라 병원 사람들 카시와자키가 일족 합본 멀티팩 | 2003-10-24 | 윈도우즈 | 엘프 | ||
데자 멀티팩 | 2004-05-28 | 윈도우즈 | 엘프 | ||
하급생2 | 2004-08-27 | 윈도우즈 | 엘프 | ||
워즈 워쓰 XP대응판 | 2004-10-29 | 윈도우즈 | 엘프 | 패치가 아니라 풀 패키지 | |
동급생1 오리지널판 | 2007-03-01 | 윈도우즈 | 엘프 | ||
드래곤 나이트4 (윈도우판) | 2007-06-29 | 윈도우즈 | 엘프 | 윈도우즈판 | |
카시와자키가 일족2 완전판 | 2009-04-23 | 윈도우즈 | 엘프 | DMM 다운로드판 발매. 패키지판은 2010-02-26 발매 | |
귀작 애니메이션 추가 완전판 | 2011-04-28 | 윈도우즈 | 엘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