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151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2:06:41] 07th Expansio...
[12:06:22] 비스크돌은 사랑을 한다 ...
[22:28:23] 몰락영애 아니거든요!
[20:33:31] 홍진호
[20:33:17] SCP-1170
[23:56:07] 응 아니야
[12:16:26] 잡썰일지/2023-202...
[02:26:44] 잡썰일지
[02:26:31] 잡썰일지/2023-202...
[21:34:17] 운영일지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You raise me up
(편집) (1)
(편집 필터 규칙)
919,1743
== 배경 == 기본적으로는 아일랜드 민요인 Londonderry Air(런던데리의 노래, 영어로는 보통 Danny boy로 불림)를 베이스로 편곡한 노래로, 아일랜드 민요, 켈트 음악의 분위기가 은은한 곡이었기 때문에 원곡의 분위기를 크게 바꾸지 않고 곡의 길이와 연주를 바꾼 것이 중심이다. 처음에는 기악곡으로 만들어 ‘조용한 이야기(Silent Story)‘라는 제목을 붙일 예정이었으나 소설가인 브렌던 그레이엄에게 가사를 부탁한 후 가사의 반복구를 제목으로 변경했다. 첫 수록 앨범인 ‘Once in a Red Moon’에 수록된 판본은 아일랜드 출신 가수 브라이언 케네디(Brian Kennedy)가 노래를 담당했다. 원래는 투어 공연에도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2002년 아시아 투어 참여 전에 병으로 인해 결장하게되어 대신 노르웨이 출신 가수 얀 베르네르 다니엘센(Jan Werner Danielsen)이 투어에 참가해 대신 노래를 담당했다. 다니엘센은 후에 이 곡을 녹음하기도 했으나 당시에는 앨범으로 출시되지는 않았다가 2010년 다니엘센의 컴필레이션 앨범 ‘One More Time - The Very Best Of’에 수록되어 공개되었다. 유명세는 엄청나지만 약간 특이한 배경도 하나 가지고 있는데, 다른 가수가 커버한 버전은 챠트에 오른 적이 적잖이 있고 많은 성가 앨범에도 수록되는 곡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오리지널 곡은 빌보드 챠트 등의 국제적 챠트에는 올라간 적이 한번도 없다. 아일랜드계 노르웨이 듀오인 시크릿 가든의 인지도가 당시 낮았던 탓도 있고 앨범을 발매한 데카 레코드가 유니버설 뮤직 산하의 유럽의 작은 음반사라는 것도 영향이 있었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배경 == 기본적으로는 아일랜드 민요인 Londonderry Air(런던데리의 노래, 영어로는 보통 Danny boy로 불림)를 베이스로 편곡한 노래로, 아일랜드 민요, 켈트 음악의 분위기가 은은한 곡이었기 때문에 원곡의 분위기를 크게 바꾸지 않고 곡의 길이와 연주를 바꾼 것이 중심이다. 처음에는 기악곡으로 만들어 ‘조용한 이야기(Silent Story)‘라는 제목을 붙일 예정이었으나 소설가인 브렌던 그레이엄에게 가사를 부탁한 후 가사의 반복구를 제목으로 변경했다. 첫 수록 앨범인 ‘Once in a Red Moon’에 수록된 판본은 아일랜드 출신 가수 브라이언 케네디(Brian Kennedy)가 노래를 담당했다. 원래는 투어 공연에도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2002년 아시아 투어 참여 전에 병으로 인해 결장하게되어 대신 노르웨이 출신 가수 얀 베르네르 다니엘센(Jan Werner Danielsen)이 투어에 참가해 대신 노래를 담당했다. 다니엘센은 후에 이 곡을 녹음하기도 했으나 당시에는 앨범으로 출시되지는 않았다가 2010년 다니엘센의 컴필레이션 앨범 ‘One More Time - The Very Best Of’에 수록되어 공개되었다. 유명세는 엄청나지만 약간 특이한 배경도 하나 가지고 있는데, 다른 가수가 커버한 버전은 챠트에 오른 적이 적잖이 있고 많은 성가 앨범에도 수록되는 곡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오리지널 곡은 빌보드 챠트 등의 국제적 챠트에는 올라간 적이 한번도 없다. 아일랜드계 노르웨이 듀오인 시크릿 가든의 인지도가 당시 낮았던 탓도 있고 앨범을 발매한 데카 레코드가 유니버설 뮤직 산하의 유럽의 작은 음반사라는 것도 영향이 있었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