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44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3:42:09] 평안북도
[13:41:55] 함경남도
[13:40:03] 평안북도
[11:19:06] 평안북도
[11:18:15] 평안남도
[11:14:52] 평안남도
[10:08:21] 평안남도
[10:08:10] 평안남도
[02:34:43] SCP-1172
[13:40:31] 충청북도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모터사이클
(편집) (24)
(편집 필터 규칙)
15064,15749
==== 대만 ==== 대만도 한국과 비슷한 이륜차사를 가지고 있다. 꽤 긴 기간동안 혼다 등에서 대림혼다, 효성스즈끼 같이 대만 내수용 라이센스 생산을 따와 생산을 하던 업체들이 독립해 오토바이를 만들고 있다. 한국과 다른 점이라면, 동남아시아라는 곳이 사시사철 무덥고 시내에 인구가 밀집해있으며, 경제적으로나 법률적으로 서민들이 자가용을 보통 자동차로 소유하고 있기 힘든 지역이다보니, 자연스레 오토바이의 수요가 높은데, 대만의 회사들은 이런 배경으로 오랜시간 꾸준히 동남아시아나 중국 등을 겨냥해 오토바이를 만들어 팔면서 스트리트에 적합한 저배기량, 공랭식 엔진을 만들고, 좁고 사람 많은 곳의 생활성에 맞춘 설계 등에 대해 탁월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 SYM: 삼양공업. 대만을 대표하는 오토바이 제조사. 가성비도 좋고, 요즘은 울프 클래식 이라는 레트로 바이크가 히트쳐서 패션 바이크로도 손색없다. * KYMCO: 광양공업. 대만 제 1의 오토바이 제조사. 위의 SYM과 함께 이전에 혼다 라이센스 생산 기업이였다가, 독립 후 동남아시아에 엄청난 양의 스쿠터를 팔아치우고 있다. 저렴하고 신뢰성 높은 기계를 판다. 역시 레트로 스타일의 카페레이서 바이크인 KCR 125를 판다. 국내에서는 SYM의 울프 클래식 125에 밀려서 구하기 힘들다. 워낙 스쿠터를 많이 만들어 팔기 때문에 국내에도 스쿠터가 많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대만 ==== 대만도 한국과 비슷한 이륜차사를 가지고 있다. 꽤 긴 기간동안 혼다 등에서 대림혼다, 효성스즈끼 같이 대만 내수용 라이센스 생산을 따와 생산을 하던 업체들이 독립해 오토바이를 만들고 있다. 한국과 다른 점이라면, 동남아시아라는 곳이 사시사철 무덥고 시내에 인구가 밀집해있으며, 경제적으로나 법률적으로 서민들이 자가용을 보통 자동차로 소유하고 있기 힘든 지역이다보니, 자연스레 오토바이의 수요가 높은데, 대만의 회사들은 이런 배경으로 오랜시간 꾸준히 동남아시아나 중국 등을 겨냥해 오토바이를 만들어 팔면서 스트리트에 적합한 저배기량, 공랭식 엔진을 만들고, 좁고 사람 많은 곳의 생활성에 맞춘 설계 등에 대해 탁월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 SYM: 삼양공업. 대만을 대표하는 오토바이 제조사. 가성비도 좋고, 요즘은 울프 클래식 이라는 레트로 바이크가 히트쳐서 패션 바이크로도 손색없다. * KYMCO: 광양공업. 대만 제 1의 오토바이 제조사. 위의 SYM과 함께 이전에 혼다 라이센스 생산 기업이였다가, 독립 후 동남아시아에 엄청난 양의 스쿠터를 팔아치우고 있다. 저렴하고 신뢰성 높은 기계를 판다. 역시 레트로 스타일의 카페레이서 바이크인 KCR 125를 판다. 국내에서는 SYM의 울프 클래식 125에 밀려서 구하기 힘들다. 워낙 스쿠터를 많이 만들어 팔기 때문에 국내에도 스쿠터가 많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