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게시판 메인
도구
투표
무작위 문서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기타 도구
216.73.216.229
IP
사용자 도구
사용자 설정
로그인
회원 가입
최근 편집
최근 토론
[12:16:26] 잡썰일지/2023-202...
[02:26:44] 잡썰일지
[02:26:31] 잡썰일지/2023-202...
[21:34:17] 운영일지
[16:20:27] 운영일지
[14:13:01] SCP-1169
[22:34:41] SCP-1168
[22:34:02] 완미적타 : 완벽한 그녀
[22:33:40] 종규전설
[22:33:21] 제광박
돌아가기
삭제
이동
파일 올리기
퓨시아
(편집) (4)
(편집 필터 규칙)
2637,3417
== 미디어 == 퓨시아는 베이스에 해당하는 영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및 미디어처리 기능도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불칸 드라이버를 기반으로 그래픽을 처리하는 렌더엔진 에셔(Escher)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서 그래픽적인 GUI 플랫폼으로 구글에서 밀어주고 있는 크로스 플랫폼 GUI 개발환경인 플러터(Flutter)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2017년 5월 실험용 유저 인터페이스인 ‘아르마딜로(Armadillo)‘를 얹은 테스트버전의 영상이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gadgets/2017/05/googles-fuchsia-smartphone-os-dumps-linux-has-a-wild-new-ui/|Google’s “Fuchsia” smartphone OS dumps Linux, has a wild new UI]]]에서 공개되었다. 탭사이즈를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멀티 윈도우를 모바일 상에서도 자연스럽게 구현해보이고 있는 점이 특징.[* [[https://www.youtube.com/watch?v=_7rRK4S9uk0|Fuchsia OS May 2017 Armadillo preview]]] 2018년 3월에는 키보드 마우스를 주요 컨트롤러로 하는 데스크탑 지향 인터페이스 코드명 ‘카피바라(Capybara)‘가 시험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아직까지는 정식공개된 정보가 없는 상황이라 이 인터페이스들이 추후 계속 사용될 것인지, 아니면 어떤 결과물을 향해 개발중인 중간과정인지는 정확치 않다.
(임시 저장)
(임시 저장 불러오기)
기본값
모나코 에디터
normal
namumark
namumark_beta
macromark
markdown
custom
raw
(↪️)
(💎)
(🛠️)
(추가)
== 미디어 == 퓨시아는 베이스에 해당하는 영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및 미디어처리 기능도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불칸 드라이버를 기반으로 그래픽을 처리하는 렌더엔진 에셔(Escher)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서 그래픽적인 GUI 플랫폼으로 구글에서 밀어주고 있는 크로스 플랫폼 GUI 개발환경인 플러터(Flutter)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2017년 5월 실험용 유저 인터페이스인 ‘아르마딜로(Armadillo)‘를 얹은 테스트버전의 영상이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com/gadgets/2017/05/googles-fuchsia-smartphone-os-dumps-linux-has-a-wild-new-ui/|Google’s “Fuchsia” smartphone OS dumps Linux, has a wild new UI]]]에서 공개되었다. 탭사이즈를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멀티 윈도우를 모바일 상에서도 자연스럽게 구현해보이고 있는 점이 특징.[* [[https://www.youtube.com/watch?v=_7rRK4S9uk0|Fuchsia OS May 2017 Armadillo preview]]] 2018년 3월에는 키보드 마우스를 주요 컨트롤러로 하는 데스크탑 지향 인터페이스 코드명 ‘카피바라(Capybara)‘가 시험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아직까지는 정식공개된 정보가 없는 상황이라 이 인터페이스들이 추후 계속 사용될 것인지, 아니면 어떤 결과물을 향해 개발중인 중간과정인지는 정확치 않다.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편집을 전송하면 당신은 이 문서의 기여자로서 본인이 작성한 내용이
CC BY 4.0
에 따라 배포되고, 기여한 문서의 하이퍼링크나 URL로 저작자 표시가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전송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