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레드위키
敬稱 / Style, Courtesy title
경칭은 군주, 왕가의 일원, 귀족 등을 높여 부르는 방식이다.
1. 상세 ✎ ⊖
동양과 서양 모두에서 높으신 분들에 대한 특별한 호칭의 체계는 독자적으로 발전하였으나, 그 복잡성은 유럽이 좀 더 심한 편이다.
2. 유럽 ✎ ⊖
2.1. 왕족 및 고급 귀족(Style) ✎ ⊖
2인칭 호칭은 Your이 앞에 붙으며 3인칭 호칭은 성별에 따라 His/Her이 붙는다. 영어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통치가문인지, 혹은 통치가문이었던 적이 있는지 여부가 같은 작위 내에서 경칭의 고하를 결정한다.
- His/Her Imperial Majesty(HIM) : 황제, 황후에 대한 경칭
- His/Her Imperial Highness(HIH) : 황실 구성원에 대한 경칭
- His/Her (Royal) Majesty(HM) : 왕, 왕비에 대한 경칭
- His/Her Royal Highness(HRH) : 왕실 구성원, 통치하는 영토가 있는 대공이나 공(公) 등에 대한 경칭
- His/Her Grand Ducal Highness(HGDH) : 대공가문의 구성원에 대한 경칭
- His/Her Highness(HH) : 통치하는 영토가 있는 공작 및 공작부인에 대한 경칭
- His/Her Grace : 비통치가문 및 비왕족인 공작 및 공작부인에 대한 경칭
- His/Her Serene Highness(HSH) : 슈탄데스헤어(1)인 퓌르스트(Fürst)의 경칭. 독일어로는 Seine/Ihre Durchlaucht라고 한다.
- His/Her Illustrious Highness(HIllH) : 슈탄데스헤어인 백작의 경칭. 독일어로는 Seine/Ihre Erlaucht라고 한다.
통치가문인지, 혹은 통치가문이었던 적이 있는지 여부가 같은 작위 내에서 경칭의 고하를 결정한다.
2.2. 일반 귀족(Courtesy title) ✎ ⊖
공작급 이상의 고급 귀족들의 경칭이 상당히 어지러운 것과는 달리 후작급부터는 꽤 단순해진다.
백작 이상급 귀족의 후계자인 맏아들은 아버지가 작위를 여러 개 가진 경우 그중 차상위에 해당하는 작위를 자신의 작위처럼 이름 앞에 붙여 사용할 수 있다.
- The Most Honourable : 후작
- The Right Honourable(The Rt. Hon.) : 백작, 자작, 남작
- Lord : 남작 본인, 후작의 차남 이하 아들
- Lady : 공작, 후작, 백작의 모든 딸들
- The Honourable : 백작의 차남 이하 아들, 자작과 남작의 모든 자녀들
- Sir : 준남작(2), 기사(3)
백작 이상급 귀족의 후계자인 맏아들은 아버지가 작위를 여러 개 가진 경우 그중 차상위에 해당하는 작위를 자신의 작위처럼 이름 앞에 붙여 사용할 수 있다.
3. 동양 ✎ ⊖
동양에선 황제, 황후, 황태후 등에게는 폐하(陛下)를 사용하였으며 왕, 왕비, 왕대비 등에게는 전하(殿下)를, 왕세자에게는 저하(低下)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도 합하, 각하, 경, 공, 마마 등의 여러 경칭을 사용하였다.
4. 초소형국민체 ✎ ⊖
군주정을 정치 체제로 택한 서양 문화권 초소형국민체의 군주들이 자신과 나라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상당히 신경쓰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귀족사회 및 경칭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지 않아서 자신의 작위에 맞지 않는 잘못된 경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4.1. 사례 ✎ ⊖
- 라도니아 공화왕국 : Her Majesty
- 시랜드 공국 : His Royal Highness
- 칼라하임 남작령 : The Right Honourable
- 아틀란티움 제국 : His Imperial Majesty
- 애더미아 제국 : His Imperial Majesty
- 이단 왕국 : His Royal Majesty
- 탈로사 왕국 : His Majesty
- 플란드렌시스 대공국 : His Royal Highness
- 헛리버 공국 : His Royal High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