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endre Symbol
이차 잉여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일종의 수론적 함수이다. 이차 잉여 여부를 수치로 나타냈다고 보면 된다.
자연수
n과 홀소수
p에 대하여,
(pn)={1if ∃x∈Z such that x2≡n (mod p) −1if ∄x∈Z such that x2≡n (mod p) 0if p∣n(n∣p)로 표기하기도 한다.
- (n2∣p)=1 (p∤n)
- (1∣p)=1
- (ab∣p)=(a∣p)(b∣p)
- 즉 르장드르 기호는 완전히 곱셈적이다.
- (−1∣p)=(−1)2p−1
- (2∣p)=(−1)8p2−1
- (−1∣p)=(−1)2p−1
오일러의 판정법에 의해 자명하다.
- (2∣p)=(−1)8p2−1
- p−12p−2⋮a≡1(−1)1 (mod p)≡2(−1)2 (mod p)≡3(−1)3 (mod p)≡2p−1(−1)2p−1 (mod p) (a=2p−1 or 2p+1)
- ∏i=12p−12i≡(2p−1)!(−1)∑i=12p−1i
- 22p−1(2p−1)!≡(2p−1)!(−1)8p2−1
- ∴(2∣p)≡22p−1≡(−1)8p2−1
(n∣p)≡n2p−1(modp) 홀소수
p에 대하여
p∤n일 때
nℓ modp ∣ ℓ=1,2,⋯,2p−1의 원소 중
2p보다 큰 것의 개수를
m이라 하자. 이 때,
(n∣p)=(−1)m이다.
(p∣q)(q∣p)=(−1)4(p−1)(q−1)